• 제목/요약/키워드: lepidopteran larvae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2초

온대 낙엽수림에 서식하는 나비목 애벌레 다양성에 관한 연구 (Study of Lepidopteran Caterpillar Diversity in a Temperate Deciduous Forest)

  • 최세웅;김낭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61-270
    • /
    • 2014
  • 나비목 종 다양성이 높은 지리산 온대 낙엽수림의 0.1 ha ($33m{\times}33m$) 방형구에서 나비목 애벌레와 기주식물의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방형구에 있는 식물의 종 및 개체수를 확인하고 이들 식물에서 먹이활동을 하는 애벌레를 채집하였다. 조사결과 14과 16종 141개체의 기주식물과, 11과 70종 159개체의 나비목 애벌레가 조사되었다. 나비목 애벌레는 졸참나무에서 가장 많이 채집되어 조사지역에서 선호 기주식물로 조사되었다. 채집된 애벌레의 종 다양성과 종 균등도는 자나방과와 밤나방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나비목 애벌레와 기주식물과의 관계를 알 수 있었으며, 나아가 온대림의 나비목 애벌레의 종 다양성을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곤충 핵다각체병 바이러스 다각체 단백질의 소화액에 의한 분해 (Degradation of Polyhedral Proteins of Nuclear Polyhedrosis Viruses in the Gut Juice of Several Lepidopteran Larvae)

  • 진병래;박범석;우수동;김주읍;강석권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513-519
    • /
    • 1993
  • The alkaline protease in the polyhedra preparation of Spodoptera litura nuclear polyhedrosis virus was successfully inactivated by heating at 100C for 20 minutes. SDS-PAGE analysis indicated that heat inactivated polyhedra is composed of major proteins of 31kDa and presumptive its polymer protein of 62kDa. However, this polyhedra was converted into several smaller molecular weight proteins when treated with midgut juice, but not by treatment with heat-inactivated midgut juice.

  • PDF

Identification of Two Isoforms of Aminopeptidase N in Aedes aegypti Larval Midgut

  • Pootanakit, Kusol;Angsuthanasombat, Chanan;Panyim, Sakol
    • BMB Reports
    • /
    • 제36권5호
    • /
    • pp.508-513
    • /
    • 2003
  • The bacterium Bacillus thuringiensis produces toxin inclusions that are deleterious to target insect larvae. These toxins are believed to interact with a specific receptor protein(s) that is present on the gut epithelial cells of the larvae. In various insect species (in particular those belonging to the lepidopteran class), aminopeptidase N (APN) is one of the two receptor proteins that are considered to be involved in toxin-receptor interactions. However, in mosquitoes, the nature and identity of the receptor protein is unknown. Here, using RT-PCR, we identified two isoforms of the APN transcripts in the Aedes aegypti mosquito larval midgut. These results are congruent with a previous report of multiple isoforms of the APN gene expression in lepidopteran larvae. Which of the two isoforms (or other yet unidentified receptor proteins) is involved in the killing of mosquito larvae remains to be elucidated.

유기농 풋옥수수와 수수의 답전윤환밭과 연속밭에서 나방류 해충들의 발생 및 수량 특성 (Occurrence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Lepidopteran Insect Pests in Green Maizes and Sorghum Crops between Paddy-upland Rotation and Continuing Upland Fields)

  • 조형찬;김민준;윤성탁;이희권;김순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09-425
    • /
    • 2018
  • 유기농 답전윤환밭 및 연속밭의 옥수수 8품종(얼룩찰1호, 흑점2호, 일미찰, 흑진주찰, 찰옥4호, 미백2호, 대학찰)과 수수 7품종(황금찰, 앉은뱅이수수, 목탁수수, 소담찰, DS202, 남풍찰, 동안메)에서 나방류 발생 및 수량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명나방 성충은 년 3회 최성기를 보였고 담배나방류 성충들은 3-4회 최성기를 보였다. 또한 조명나방 유충에 의한 옥수수 및 수수의 잎과 줄기 피해율은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수수의 조명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율은 8월 중순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미흑찰, 얼룩찰1호, 일미찰, 흑점2호, 미백2호 등 옥수수 품종들에 대한 조명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율은 윤환밭과 연속밭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보였고, DS202 품종(83%와 89%)을 제외한 나머지 6종 수수 품종들의 조명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율은 연속밭에서 높거나 비슷하였다(50-92%). 옥수수의 나방 유충에 의한 이삭 피해율은 5%(찰옥4호)에서 38%(흑진주찰)였는데, 대학찰 품종은 답전윤환밭(33%)에서 연속밭(14%)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피해를 입었다. 답전윤환 수수 포장에서 소담찰(94%)과 DS202(82%)가 높은 피해율을 보였고, 연속밭에서는 7개 수수 품종 모두 78% 이상의 피해율을 보였다. 흥미롭게도 답전윤환밭 및 연속밭의 옥수수와 수수 품종들에 대한 조명나방 유충에 의한 평균 피해율과 평균 침입공수 간에는 각 정의 상관관계(옥수수 r=0.69윤환밭, 0.95연속밭; 수수 r=0.93윤환밭, 0.97연속밭)를 보였다. 또한 수확 후, 유기농 윤환밭 및 연속밭 포장에서 나방 유충에 의한 옥수수 8품종들과 수수 7품종들의 평균 피해율과 이삭무게 또는 천립중(g) 간에 부의 상관관계(옥수수 r=-0.38윤환밭, -0.49연속밭; 수수 r=-0.70윤환밭, -0.57연속밭)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는 유기농 옥수수 및 수수 재배포장에서 나방류의 관리가 수량 확보에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저곡창고에서 분리된 Bacilus thuringiensis의 특성조사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d in Granary Dusts)

  • 김호산;박현우;이대원;유용만;유용만;강석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43-248
    • /
    • 1995
  • 효과적인 미생물 제제로 사용할 수 있는 Bacillus thuringiensis 균주들을 분리하기 위하여 경기도 일원의 72군데의 저곡창고에서 먼지를 채취하여 B. thuringiensis의 분포와 독성을 조사하였다. 총 411개의 채취된 저곡창고의 먼지에서 포자와 내독소 단백질을 생산하는 146개에 이르는 많은 수의 B. thuringiensis가 분리되었다. 저곡창고에서 분리된 146개 Bt의 독성 분포는 나비목의 누에 (Bombyx mori)유충에 독성을 띠는 균주가 84%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고, 파리목의 빨간 집모기(Culex pipiens)유충에는 3%, 나비목과 파리목에 동시에 독성을 띠는 균주는 1%였다. 그러나 딱정벌레목의 쌀바구미(Sitophitus oryzae)에 독성을 띠는 균주는 분리되지 않았으며, 내독소 단백질은 형성하지만 독성을 띠지 않는 B. thuringiensis가 12%의 비율로 분리되어 흔히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서 저곡창고는 B. thuringiensis의 유리한 분리장소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Bacillus thuringiensis BT17 균주를 이용한 인시목 유충 방제용 미생물 살충제 생산 (Production of Microbial Insecticide Using Bacillus thuringiensis BT17 for the Control of Lepidopteran Larvae)

  • 안경준;이태근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89-396
    • /
    • 2010
  • 살충성 독소 결정을 생산하는 Bacillus thuringiensis BT17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16S rRNA 유전자 분석 결과 B. thuringiensis serovar colmeri로 동정하였다. BT17 균주는 인시목 유충에 대해 살충성을 보이는 결정성 독소를 soybean meal과 skim milk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30^{\circ}C$, 280 rpm으로 36시간 진탕배양하였을 때 효율적으로 생산하였다. 200 L fermentor에서 배양하였을 때 균수는 24시간에 최대가 되었으나 독소 결정의 수는 36시간까지 증가하였다. 액상의 미생물 살충제 제품을 제조하였으며, 배양액을 $20^{\circ}C$에서 3개월간 보관시 독소 결정의 수는 보관 초기보다 2배까지 증가하였다. BT17 균주가 포함된 살충제 제품의 효능은 파밤나방보다 배추좀나방에서 좋았으며 동물에 대한 독성은 거의 없었다.

곤충병원선충을 이용한 채소해충의 생물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Vegetable Insect Pests with Entomopathogenic Nematodes)

  • 한상찬;김용균;이분조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81-88
    • /
    • 1996
  • Entomopathogenic nematodes, Steinernema carpocapsae, was able to invade and kill the several lepidopteran pests including the beet armyworm, Spodeptera exigua Hubner, which was the most effective target host. The beet armyworms treated with the effective nematode concentrations were died within 48 hrs. The lethal effect of the nematode was varied among the developmental stages of the host. The fifth instar larvae of the beet armyworm was more vulnerable to the nematode than the third instar larvae. Pupae was, however, refractory to the nematode. All three bioessays (topical application, filter paper test, and soil treatment)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the treated nematodes and the mortality of the host. Topical application was the most effective and fast-acting method so that it gave the lethal effect 2 days earlier than did filter paper test at the same number of the treated nematodes. Soil treatment required higher number of the nematodes to get the effective lethality than did filter paper test. The fifth instar larvae of the beet armyworm expressed the specific hemolymph proteins of 5 to 10 kDa in response to nematode infection.

  • PDF

A Highly Pathogenic Strain of Bacillus thuringiensis serovar kurstaki in Lepidopteran Pests

  • Kati, Hatice;Sezen, Kazim;Nalcacioglu, Remziye;Demirbag, Zihni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5권6호
    • /
    • pp.553-557
    • /
    • 2007
  • In order to detect and identify the most toxic Bacillus thuringiensis strains against pests, we isolated a B. thuringiensis strain (Bn1) from Balaninus nucum (Coleoptera: Curculionidae), the most damaging hazelnut pest. Bn1 was characterized via morphological, biochemical, and molecular techniques. The isolate was serotyp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Bn1 was the B. thuringiensis serovar, kurstaki (H3abc).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indicated that Bn1 has crystals with cubic and bipyramidal shapes.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s (PCRs) revealed the presence of the cry1 and cry2 genes. The presence of Cry1 and Cry2 proteins in the Bn1 isolate was confirmed via SDS-PAGE, at approximately 130 kDa and 65 kDa, respectively. The bioassay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nsecticidal activity of the Bn1 isolate were conducted with four distinct insects, using spore-crystal mixtures. We noted that Bn1 has higher toxicity as compared with the standard B.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HD-1). The highest observed mortality was 90% against Malacosoma neustria and Lymantria dispar larvae. Our results show that the B. thuringiensis isolate (Bn1) may prove valuable as a significant microbial control agent against lepidopteran pests.

단감 잎을 가해하는 새로운 나방류 해충 3종 보고 (Three New Lepidopteran Insect Pests of Persimmon Leaf in Korea)

  • 김성연;김정민;장미연;장신애;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11-114
    • /
    • 2015
  • 경남 창원과 진주의 농약 무살포 및 유기농 단감원에서 단감 잎을 가해하는 해충을 조사한 결과 국내에서 단감 해충으로 기록되지 않은 3종을 채집 동정하였다. 동정된 종은 가을뒷노랑밤나방, 푸른빛집명나방, 감잎가는나방(신칭)이었다. 이들의 채집기록, 형태, 기주와 간단한 생태를 조사하여 보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