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related factors

검색결과 639건 처리시간 0.027초

경영학 수업에서 팀 프로젝트활동과 수업만족에 관한 연구 (Team Project Activity and Satisfaction in Business Education)

  • 석영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7호
    • /
    • pp.217-227
    • /
    • 2014
  • 2010년도에 들어서면서 학령인구의 감소와 함께 고등학교 졸업생들의 대학진학률 하향추세로, 대학들은 학생 선발과 양질의 교육콘텐츠 제공이라는 2중의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각 대학은 환경의 변화에 대한 신속한 대응과 동시에 다양하고 전문화된 대학교육서비스(팀기반 프로젝트학습, 사례연구, e-러닝, 액션러닝 등)를 도입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팀기반 프로젝트학습이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측정항목으로 4개 요인(팀 응집력, 팀워크, 팀 성과 및 목표달성)을 설정하고, 설문조사(4개 과목, 34팀, 134명)를 통해서 자료를 수집하여,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했다. 연구모형검증 결과는 팀 응집력${\rightarrow}$팀워크${\rightarrow}$수업만족의 구조가 제시되었으며, 팀 성과와 목표달성은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팀기반 프로젝트학습의 경우 팀응집력이 높아야 수업만족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 청소년의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에 대한 예방행위 경험 관련요인 (Related factors of preventive behavior experiences toward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 adolescents)

  • 박신영;한여정;류소연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17-426
    • /
    • 2016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ed factors of preventive behavior experience toward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 adolescent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72,060 adolescents in 800 schools who completed 2014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Dependent variables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oral health behavior, and oral disease experience. The experience rate of sealant and scaling showed the prevention behavior of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 Data were analyzed by IBM SPSS statistics 20.0. Results: The experience rate of sealant accounted for 26.9%. The experience of sealant was related with gender, school, maternal education level, economic status, vigorous physical activity, smoking, usual stress, fruit consumption, milk consumption, soda consumption, snack consumption, tooth brushing,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periodontal bleeding and pain, mucosal disorders, and bad breath. The experience rate of scaling was 22.6%. The experience of scaling was related with gender, school, city division, learning achievement, maternal education level, economic status, residential type, vigorous physical activity, usual stress, fruit consumption, milk consumption, tooth brushing,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periodontal bleeding and pain, mucosal disorders, and bad breath. Conclusions: To expand preventive oral health behavior in the adolescents,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systematic policy making and monetary establishment in the future.

간호대학생의 비대면 수업 관련 자기주도 학습능력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Related to Online Classes)

  • 이민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7호
    • /
    • pp.441-449
    • /
    • 2021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교육관련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해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COVID-19로 인해 한 학기 이상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간호대학생 115명이며, 2020년 11월 18일부터 12월 1일까지 온라인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상자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성지능의 하부요인 '감성활용' (β=.42, p<.001), 회복탄력성의 하부요인 '통제성' (β=.28, p=.001) 및 비판적 사고성향의 하부요인 '객관성' (β=.27, p<.001)이었고, 설명력은 62.0%이었다.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향상을 위한 연구와 중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며 교육 컨텐츠 제작시에도 이를 고려하기를 제언한다.

Investigating Non-Laboratory Variables to Predict Diabetic and Prediabetic Patients from Electronic Medical Records Using Machine Learning

  • Mukhtar, Hamid;Al Azwari, Sa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9호
    • /
    • pp.19-30
    • /
    • 2021
  • Diabetes Mellitus (DM) is one of common chronic diseases leading to severe health complications that may cause death. The disease influences individuals, community, and the government due to the continuous monitoring, lifelong commitment, and the cost of treatment.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considers Saudi Arabia as one of the top 10 countries in diabetes prevalence across the world. Since most of the medical services are provided by the government, the cost of the treatment in terms of hospitals and clinical visits and lab tests represents a real burden due to the large scale of the disease. The ability to predict the diabetic status of a patient without the laboratory tests by performing screening based on some personal features can lessen the health and economic burden caused by diabetes alone.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prediction of diabetic and prediabetic patients by considering factors other than the laboratory tests, as required by physicians in general. With the data obtained from local hospitals, medical records were processed to obtain a dataset that classified patients into three classes: diabetic, prediabetic, and non-diabetic. After applying three machine learning algorithms, we established good performance for accuracy, precision, and recall of the models on the dataset. Further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data to identify important non-laboratory variables related to the patients for diabetes classification. The importance of five variables (gender, physical activity level, hypertension, BMI, and age) from the person's basic health data were investigated to find their contribution to the state of a patient being diabetic, prediabetic or normal. Our analysis presented great agreement with the risk factors of diabetes and prediabetes stated by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DA) and other health institutions worldwide. We conclude that by performing class-specific analysis of the disease, important factors specific to Saudi population can be identified, whose management can result in controlling the disease. We also provide some recommendations learnt from this research.

SW교육에 참가하는 학생의 학습 지속의도에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ariables Impacting Learning Continuation Intention in Students Participating in SW-Education)

  • 송정범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91-102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SW교육에 참가하는 학생들의 학습 지속의도에 미치는 변인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기술수용모형에 기반하고 IT 도입 관련 기존 연구를 참고하여 주관적 규범, 활동촉진조건, 프로그래밍 관련 자기효능감,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을 요인으로 설정하고, 이 요인과 학습 지속의도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규명하려 하였다. 연구 대상은 SW교육에 참가하는 초등학생 총 204명 대상이며, 1달간 웹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설정한 8개의 가설 중 '주관적 규범은 지각된 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와 '지각된 용이성은 학습지속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는 2개의 가설은 기각되었다. 연구 결과 특징적인 점으로는 첫째, 지각된 용이성은 학습 지속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고 지각된 유용성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 지속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직접적인 설명력이 가장 큰 요인은 프로그래밍 관련 자기효능감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생 SW교육의 효율적 지원을 위해서는 SW교육의 유용성과 학생들의 프로그래밍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벤처기업의 기술제휴 파트너 선정기준 및 성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lliance Partner Selection Criteria and Performance in Korean Venture Companies)

  • 김환진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540-562
    • /
    • 2014
  • 기업 간 기술제휴 성공요인으로 적합한 기술제휴 파트너 선정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그간 기술제휴 파트너 선정기준 및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선정기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마케팅, 국제, 유통, 생산 제휴 등과 같은 일반적 제휴에 관한 파트너 선정 기준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기술제휴 파트너 선정 기준을 도출하고, AHP 기법을 활용하여 총 12명의 국내 벤처기업의 기술제휴 담당자를 대상으로 기술제휴 파트너 선정기준의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또한, 총 215개 벤처기업 기술제휴 담당자에 대한 인식조사를 통해 기술제휴 파트너 선정기준과 기술제휴 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4가지 선정 기준인 과업기준, 파트너기준, 학습기준, 위험기준 및 14개의 세부 항목이 도출되었으며, 기술제휴 파트너 선정기준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는 위험기준, 학습기준, 파트너기준, 과업기준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술제휴 파트너 선정기준과 성과와의 관계는 파트너기준과 과업기준이 기술제휴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조절변수로 포함한 기업규모, 이전제휴관계, 제휴 경험, 국적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와 시사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환자안전보고학습시스템 자료를 활용한 의료정보기술 및 전자의무기록시스템 관련 환자안전사건 분석 (Analyzing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and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Related Patient Safety Incidents Using Data from the Korea Patient Safety Reporting and Learning System)

  • 조단비;이유라;이원;이의선;이재호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57-72
    • /
    • 2021
  • Purpose: At present, there are a variety of serious patient safety incidents related to problems in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HIT), specifically involv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 (EMRs). This emphasizes the need for an enhanced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EMRS). As such, this study analyzed both the nature of and potential to prevent incidents associated with HIT/EMRS based on data from the Korea Patient Safety Reporting and Learning System (KOPS). Methods: This study analyzed patient safety incidents submitted to KOPS between August 2016 and December 2019. HIT keywords were used to extract HIT/EMRS incidents. Each case was reviewed to confirm whether the contributing factors were related to HIT/EMRS (HIT/EMRS-related incidents) and if the incident could have been prevented (HIT/EMRS-preventable incidents). The selected reports were summarized for general clarity (e.g., incident type, and degree of harm). Results: Of the 25,515 obtained reports, 2,664 incidents (10.4%) were HIT-related, while 2,525 (9.9%) were EMRS-related. HIT/EMRS-related incidents were the third largest type of incident followed by 'fall' and 'medication incidents.' More than 80% of HIT/EMRS-related incidents were medication-related,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one-third of the total number of medication incidents. Approximately 10% of HIT/EMRS-related incidents resulted in patient harm, with more than 94% of these deemed as preventable; further, sentinel events were wholly preventable.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improving EMR use/safety standards based on real-world patient safety incidents. Such improvements entail the establishment of long-term plans, research, and incident analysis, thus ensuring a safe healthcare environment for patients and healthcare providers.

Study on driver's distraction research trend and deep learning based behavior recognition model

  • Han, Sangkon;Choi, Jung-I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1호
    • /
    • pp.173-182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운전자의 주의산만을 유발하는 운전자, 탑승자의 동작을 분석하고 핸드폰과 관련된 운전자의 행동 10가지를 인식하였다. 먼저 주의산만을 유발하는 동작을 환경 및 요인으로 분류하고 관련 최근 논문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논문을 기반으로 주의산만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인 핸드폰과 관련된 10가지 운전자의 행동을 인식하였다. 약 10만 개의 이미지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SURF를 통해 특징을 추출하고 3가지 모델(CNN, ResNet-101, 개선된 ResNet-101)로 실험하였다. 개선된 ResNet-101 모델은 CNN보다 학습 오류와 검증 오류가 8.2배, 44.6배가량 줄어들었으며 평균적인 정밀도와 f1-score는 0.98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또한 CAM(class activation maps)을 활용하여 딥러닝 모델이 운전자의 주의 분산 행동을 판단할 때, 핸드폰 객체와 위치를 결정적 원인으로 활용했는지 검토하였다.

예비 수학교사의 수학 학습동기 특징 분석 (Analysis on Features of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Motivation in Learning Mathematics)

  • 이종학;김소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491-50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예비 수학교사들의 수학에 대한 학습동기를 측정 및 분석함으로써, 예비 수학교사들의 정의적 측면을 이해하고 유능한 수학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수학교사 전문성 개발의 시사점을 찾아 보고자 하였다. 학습동기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통해 학습동기를 구성하는 3가지 요소를 추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예비 수학교사들의 수학 학습동기를 조사할 자체 설문도구를 개발하였다. 한 지방의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대학생활 동안 예비 수학교사들이 겪는 전반적인 수학 수업에서의 학습동기와 그 구성 요소인 가치, 자기효능감, 흥미에 대한 특징, 그리고 미래의 수학교사로서 선호하는 학습동기 유발 방법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예비 수학교사들의 전반적인 학습동기는 학년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학습동기의 3가지 구성 요소 중 자기효능감과 흥미 요소에서 학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래의 수학교사로서 학생들의 수학 학습동기를 유발하는데 주로 선호하는 방법은 수학 학습의 흥미를 유도하는 유형이었으며, 구조적인 측면이나 수학 학습의 관련성을 중시하는 유형은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따라서 학습동기를 강화시키기 위해 예비 수학교사들의 자기효능감과 학습의 흥미 또는 즐거움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으며, 수학교사로서의 전문성 개발 측면에서 수학 학습동기 유발 형태에 대한 여러 가지의 다양한 소재 개발의 경험을 시켜줄 학습지도 방안을 준비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주고 있다.

GOCI 위성영상과 기계학습을 이용한 한반도 연안 수질평가지수 추정 (Estimation of Water Quality Index for Coastal Areas in Korea Using GOCI Satellite Data Based on Machine Learning Approaches)

  • 장은나;임정호;하성현;이상균;박영규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21-234
    • /
    • 2016
  • 우리나라는 대규모 산업단지와 대도시들이 연안에 집중되면서 연안의 오염이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이러한 연안 오염을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위성 영상을 이용한 연안 수질평가지수 모니터링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수질평가지수란 저층 산소포화도, 엽록소 농도, 투명도, 용존무기질소 및 용존무기인 농도를 수질평가 항목으로 구성하여 해양환경관리법에 따른 해양환경기준을 통해 해역별로 기준을 설정하여 산출하는 지수이다. 이 연구는 한반도 주변의 연안지역을 대상으로 2011년부터 2013년까지의 현장관측 자료 및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 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연안 표층 해수에 대한 기계학습 기반의 두 가지 수질평가지수 추정 기법을 개발하였다. 첫 번째 방법으로는 GOCI 반사도를 이용하여 추정된 수질평가 항목들로 수질평가지수를 계산하였고, 두 번째 방법은 GOCI 반사도 및 산출물(엽록소 농도, 총 부유물질, 용존유기물)을 이용하여 수질평가지수를 추정하였다. 기계학습으로는 Random Forest(RF), Support Vector Regression (SVR), Cubist를 사용하였다. 수질평가 항목 추정에서 투명도의 정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모든 수질평가 항목 추정에서 세 가지 기계학습 중 RF의 정확도가 가장 높았다. 하지만 추정된 수질평가 항목들로 계산한 수질평가지수는 추정된 수질평가 항목들의 오차와 저층 산소포화도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정확도가 높지는 않았다. 반면 GOCI 반사도와 산출물을 이용하여 추정한 수질평가지수는 현장 관측 기반 수질평가지수와 비교했을 때 첫 번째 방법보다 정확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엽록소 농도가 수질평가지수 추정에 가장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