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module

검색결과 549건 처리시간 0.031초

유비쿼터스 환경을 위한 SCORM 기반의 학습지원 프레임워크 (The SCORM Based Learning Support Framework for Ubiquitous Environment)

  • 정화영;홍봉화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661-667
    • /
    • 2010
  • 많은 기존의 E-러닝은 SCORM과 LMS를 연동하고 있다. 또한 U-러닝은 E-러닝의 하나의 트랜드로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U-러닝에서 기존의 SCORM과 LMS를 연동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매우 미흡하게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SCORM과 LMS를 연동한 U-러닝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자 한다. U-러닝에서 사용하는 각기 다른 모바일 기기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모바일 기기 변환모듈과 학습객체 재구성 모듈을 이용하였다. 특히 모바일 기기 정보는 모바일 기기 메타데이터를 사용하여 저장하고 관리하였다.

PDA기반 멀티미디어 학습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ultimedia Learning System based PDA)

  • 이순기;김창수;심규박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6권2호
    • /
    • pp.163-170
    • /
    • 2004
  • The rapid exchanges of mobile computing environment and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are providing many effects for learning activity of students. Recently, PDA system developers which are studying memory capacity, communication speed and size of screen support techniques to be capable of learning from students in the wireless or moving environment. In this viewpoints, this paper has a purpose to design multimedia learning system to be able to do with sound lecture contents. The implemented system largely consists of two parts which have the teacher module and students module. The one manages learning progress of students, class management, bulletin board and etc. The other is capable of using studying and bulletin functions. The main idea of this research is focus to upgrade the effect of learning without almost treating the existing studies, which can be listening sound lecture and also seeing text and image at the same time.

방송콘텐츠 기반 e-PBL을 위한 온라인 학습모듈 설계 및 개발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online learning modules for the broadcasting content-based e-PBL)

  • 정준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05-115
    • /
    • 2012
  • 본 연구는 방송콘텐츠를 일방향적인 정보전달도구의 차원이 아닌 풍부한 내용이 담긴 소프트웨어, 즉 단순히 정보를 제공하던 것에서 지식구성과 창출 과정을 촉진하는 학습자원으로서의 가능성에 주목하고, 이러한 가능성을 e-Learning의 교수 학습모형 중에 하나인 e-PBL을 통해 구체적으로 구현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온라인 학습환경 설계 및 개발에 무게중심을 두고 연구를 진행했다. 특히,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커뮤니티 개발을 비롯하여 방송콘텐츠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적 방안들이 집약된 학습모듈 설계 및 개발과정에 초점을 두었다. 또한 이를 적용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함으로서 학습모듈이 갖는 차별성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NCS 학습모듈 만족도 분석을 통한 건설 교과 실무과목 수업 활성화 방안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Construction Practical Cours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atisfaction Level in NCS Learning Module)

  • 이재훈;김선우;박완신;장영일;김태훈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63-83
    • /
    • 2020
  • 본 연구는 NCS 학습모듈을 효과적으로 실무과목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계획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건설 교과 실무과목 수업에 활용되는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학습모듈, 진로 및 현장실습, 실습환경 등에 대해 충청권(대전광역시 포함) 소재 공립 특성화고등학교 교사 및 학생의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로는 첫째, NCS 학습모듈을 활용한 실무과목 수업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둘째, NCS 학습모듈을 활용한 실무과목 수업 후 교사의 진로 및 현장실습 지도 측면, 학생의 진로결정 및 현장실습에 대한 만족도는 어느 정도인가, 셋째, 개발된 NCS 학습모듈 및 이를 활용한 실무과목 수업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NCS 관련 교사의 연수횟수(유무) 또는 학생의 현장실습 유무가 영향이 있는가로 설정하여 구명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와 학생의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학생은 전반적으로 모든 항목에서 만족하는 편을 보인 반면, 교사는 '내용수준', '흥미', '필요지식', '기술습득(기술수행수준)', '실무능력향상(기술수행수준)', '실험실습장규모', '실험실습장기자재' 항목 등에서 불만족하는 편을 보였다. 개발된 NCS 학습모듈 및 이를 활용한 실무과목 수업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NCS 관련 교사의 연수횟수(유무) 또는 학생의 현장실습 유무가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개발된 NCS 학습모듈이 실무과목 수업에 충분히 활용되기 위해서는 개념정리 및 직무기술 이해에 관한 중간 매개 역할을 해줄 수 있는 교사의 수업자료의 개발 및 구축이 요구되며, NCS 학습모듈의 개발인력 구성에서 교육훈련전문가의 수를 늘려 교육현장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

Virtual World-Based Information Security Learning: Design and Evaluation

  • Ryoo, Jungwoo;Lee, Dongwon;Techatassanasoontorn, Angsana A.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4권3호
    • /
    • pp.6-27
    • /
    • 2016
  •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and enthusiasm for the application of virtual worlds in learning and training. This research proposes a design framework of a virtual world-based learning environment that integrates two unique features of the virtual world technology, immersion and interactivity, with an instructional strategy that promotes self-regulatory learning. We demonstrate the usefulness and assess the effectiveness of our design in the context of information security learning. In particular, the information security learning module implemented in Second Life was incorporated into an Introduction to Information Security course. Data from pre- and post- learning surveys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learning module. Overall, th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the virtual world-based learning environment enhances information security learning, thus suppor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design framework. Additional results suggest that learner traits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learning outcomes through perceived enjoyment. The study offers useful design and implementation guidelines for organizations and universities to develop a virtual world-based learning environment. It also represents an initial step towards the design and explanation theories of virtual world-based learning environments.

한방소아과학 수업에서 PBL (Problem Based Learning) 모듈 개발 및 PBL 도입을 위한 사전 연구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PBL (Problem Based Learning) Module and the Evaluation of PBL on the Korean Medical Pediatrics Class)

  • 유선애;이승연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3-28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PBL Module and the possibility of the evaluation on the Korean medical Pediatrics class. Method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32 case reports (four teams for three years) which were made by the Korean medicine school $4^{th}$ year students, who attended the discussion class. The student read the given materials and identified the purpose of the subjects and selected the learning issues, investigated them. After then they discussed the subjects and made the reports. Results The learning issues by students were similar, the students worked to study them with research papers, books, internet materials and personal subjects. After class, the students showed the change of their thoughts and they could accept the other one.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it is possible that the development of PBL Module and the evaluation on the Korean medical Pediatrics Class.

자기 주도적인 협동학습 모형을 통한 웹(Web) 기반 학습시스템 설계 및 구현 -초등학교 ICT 활용교육을 중심으로- (Design and Development of Web-Based Learning System Using Self-Directed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 김효준;조세홍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67-73
    • /
    • 2002
  • 본 논문은 구성주의적 관점에서의 학습환경을 구축하기 위하여 설계 구현된 웹 기반 협동학습시스템을 기술한다. 웹 상에서 인터넷을 통해 상호작용적인 의사소통을 촉진하고 자기 주도적 협동학습을 가능케 하기 위해 학습자, 교수자, 관리자의 3가지 모듈을 구성 설계하였고, 과제와 평가 역시 서로 연동시킴으로써 보다 내실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강조되고 있는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활용 교육에 있어 보다 효율적인 협동학습 공간을 구축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지역사회경험학습(Community Based Learning: CBL) 기반 대학 통일관광경영 수업 모듈 개발 (Unification Tourism Management Class Module Developed by Community Based Learning(CBL))

  • 우은주;박은경;김영국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1권3호
    • /
    • pp.261-271
    • /
    • 2020
  • Purpose -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unified tourism management class for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Gangwon-do. Community based learning(CBL) was applied to provide a tangible and intangible resource of tourism resources the theoretical approaches and the actual experiences of the community. Design/methodology/approach - In order to design a unified tourism management module, this study applied qualitative research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o collect information on the direction of the module.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nd then an online survey. Findings -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main parts should include necessity of unification, inter-Korean tourism, inter-Korean cooperation, inter-Korean econom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e overall composition of the unification tourism management class should be designed as the unification tourism management theory to acquire the subject knowledge, the field trip to the border area for experiential learning, and the assignment of the field study task to understand the community.

퍼지 논리를 이용한 퍼지 딥러닝 영상 분할 (Image Segmentation of Fuzzy Deep Learning using Fuzzy Logic)

  • 박종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71-76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을 이용한 영상 분할에서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퍼지 논리를 적용하는 퍼지 딥러닝 모델인 퍼지 U-Net을 제안한다. 퍼지 논리를 이용한 퍼지 모듈을 영상 분할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딥러닝 모델인 U-Net에 결합하여 다양한 형태의 퍼지 모듈을 시뮬레이션하였다. 제안된 딥러닝 모델의 퍼지 모듈은 이미지의 특징맵과 해당 분할 결과 사이의 본질적이고 복잡한 규칙을 학습다. 이를 위해 치아 CBCT 데이터에 적용하여 제안된 방법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된 퍼지 U-Net에서 더하기 스킵 연결을 사용한 모델의 ADD-RELU 퍼지 모듈 구조의 성능이 시험용 데이터에 대해 0.7928로 가장 우수한 것을 볼 수 있다.

수학 교과에서의 집단탐구식 수업 방법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Exploratory Learning in Groups Method in Mathematics Education)

  • 황혜정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2권1호
    • /
    • pp.1-16
    • /
    • 2002
  • The 7th Curriculum emphasizes that in mathematics classes, mathematical concepts be understood and mathematical problems be solved through student's own exploratory activities including the use of data, manipulatives, andtechnological devices. Following the main idea of the Seventh Mathematics Curriculum, this paper dealt with instructional methods applied suitably and effectively in mathematics classes, and focused on the 'exploratory learning in groups' method in mathematics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paper reviewed and summarized theories related to general pedagogy and of mathematics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it investigated appropriate instructional methods in mathematics education. In particular, this paper focused on studying the exploratory learning method while investigating its properties and understand- 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loratory learning in groups' method and the discussion-centered method. Finally, in order to show the usefulness of the exploratory learning method, this paper developed an example of a teaching module using the exploratory learning method in addition to discussion and lecture-centered methods by the use of manipulatives. The main goal of the module was to make students understand the principle of multiplication of integ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