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difficulty

검색결과 844건 처리시간 0.036초

변별과제에서 초등학생의 안구운동 분석을 통한 발견적 주의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the Heuristic Attention Model Based on Analysis of Eye Mo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Discrimination task)

  • 신원섭;신동훈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471-148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변별과제를 해결하는 동안 초등학생의 안구운동을 분석하여 발견적 주의모델을 개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초등학교 6학년 20명이었고 모두 부모의 동의 절차를 거친 자발적인 지원자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변별과제는 권재술과 김범기(1994)가 개발한 과학탐구능력 검사지에서 아이트래킹으로 실험 가능한 두 과제를 선택하였다. 학생들의 안구운동의 수집은 SMI사의 iView X TM RED 120 Hz를 사용하였고 실험설계와 분석은 동사의 Experiment 3.2와 BeGaze 3.2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다. 학생들의 모든 안구운동은 응시시간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과 문제해결과정에서 학생개인의 인지사고과정을 추론하는 정성적인 분석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실험 자료의 시각정보의 복잡한 정도에 따라 인지적 부담이 가중되었고 대상을 재인하는 관점 의존적이었다. 둘째, 실험 자료의 제시로 상향식주의가 발화되었고 하향식주의에 의해 의도적이고 목표지향적인 안구운동과 혼란 주의에 의한 안구운동을 구분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인간의 주의와 안구운동을 도식할 수 있었다. 셋째, 압축된 시선흐름(compressed scan-path)을 분석하여 학생들의 문제해결전략을 도출하였다. 넷째,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발견적 주의 모델(HAM)을 개발하였다. 이 발견적 주의 모델은 앞으로 학생들의 문제해결과정을 분석하는데 효과적인 분석관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신지체 환자의 협력 진료에 의한 전신마취 하 치과치료 증례 (MULTIDISCIPLINARY APPROACH OF A PATIENT WITH MENTAL RETARDATION UNDER GENERAL ANESTHESIA : A CASE REPORT)

  • 장윤형;배아란;최성철;박재홍;김광철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3-26
    • /
    • 2009
  • 본 증례는 전반적인 치과치료를 위해 본과에 의뢰된 다수의 치아우식증으로 본과에 내원한 중등도 정신지체 환자로, 전치부 개방교합과 함께 상악 전치부의 총생이 있어 이 부분에 대해서는 본원 보철과에 협진을 의뢰하였다. 전신마취 하에 소아치과에서 보존, 외과적 처치 및 치주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보철과에서 상악 좌우측 견치를 지대치로 한 4-unit bridge를 제작, 심미적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 증례 에서와 같이 전신마취 하의 포괄적인 치과치료를 계획함으로써 여러 번 치료의 불편함 없이 한번에 대부분의 치료를 완료할 수 있었다. 또한 환자에게 치과치료에 대한 공포심을 유발하지 않아 환자와 치과의사의 치료적 관계 형 성이 용이하며 양질의 진료가 가능하고 술자 및 환자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할 수 있겠다.

  • PDF

체험적 공간감이 상호작용 콘텐츠 수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periential Space Perception on Performing Interactive Digital Contents)

  • 윤한경;송복희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11-118
    • /
    • 2011
  • 컴퓨터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기술의 발달에 따라 TV와 컴퓨터는 융합되어 경계가 모호해지는 추세일 뿐 만 아니라 디지털 HD방송의 도래는 TV의 교체를 가속화하고 화면은 대형화되는 추세이다. 진화된 TV는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기존의 컴퓨터로 가능하였던 모든 작업이 가능해 지는 것과 쌍방향 통신을 위한 상호작용의 증가는 당연한 귀결이며, 그에 따라 대형화된 TV화면으로 인하여 가족 구성원이 모두 참여하여 즐길 수 있는 콘텐츠가 요구되는 등의 라이프스타일도 변화가 예상된다. 반면에 대형화된 영상에서는 제한적이긴 하지만 TV에 보이는 환경에 실제로 존재하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은 현장감이 클수록 증가된다. TV 콘텐츠에 있어서 현장감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기술 및 콘텐츠의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TV는 다른 매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체와 수용자간의 거리가 긴 편으로 2.5m 정도 떨어져서 시청하는 것으로 보고된바 있다. 따라서 TV를 시청할 때 주위 환경이 시청자의 시야에 들어올 여지가 크기 때문에 콘텐츠는 간결한 디자인과 선명한 색상 등을 통해 시청자들의 시선을 잡아두어 몰입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TV용 디지털 콘텐츠에서 현장감을 높이기 위한 기초연구는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다. 본 실험의 목표는 사용자의 물리적 경험을 고려한 상호작용 콘텐츠에서 사용자들의 체험적으로 획득한 공간감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영상의 디멘션이 사용자의 체험한 형태와 유사할 때 현장감 증가하여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성취도 측정 결과로 확인하였다.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응급분만 시뮬레이션 교육 만족도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Simulation Education about Emergency Delivery for Paramedic Students)

  • 백미례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5호
    • /
    • pp.98-103
    • /
    • 2014
  • 본 연구는 응급분만 시뮬레이션 교육에 참여한 응급구조학과 학생 41명의 자신감, 심리적 안전감과 만족도를 알아보았다. 시각적 상사 척도로 교육 전후 자신감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21 문항의 교육 만족도 측정도구와 10 문항의 심리적 안전감 측정도구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는 나이(t = -2.22, p = 0.03)에서, 심리적 안전감은 성별(t = 3.70, p = 0.00)과 나이(t = -3.65, p = 0.00)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 시뮬레이션 교육 전 후 자신감은 교육 후 6.22점으로 높아졌고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 = -5.878, p = 0.000). 만족도와 심리적 안전감간은 강한 정의 상관관계(r = 0.516, p = 0.001)가 나타났다. 교육만족도의 영향요인은 심리적 안전감(t = 3.021, p = 0.005)과 교육 후 자신감 (t = 1.936, p = 0.061)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시뮬레이션 교육이 적절한 대안교육임을 알 수 있지만 현장 맞춤형 응급구조사 교육을 위해서는 다양한 시나리오개발, 충분한 인력과 교육시간을 통한 반복교육이 필요하다.

국가표준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개발에 대한 영재교사들의 인식 (A Study o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National Standards Gifted Education Program)

  • 김영옥;맹희주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6호
    • /
    • pp.799-815
    • /
    • 2015
  • 우리나라 영재교육은 영재교육진흥법이 제정된 이 후 최근 10여 년 동안 많은 성장을 이루었으나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질적인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영재교육 프로그램 운영상의 문제점과 국가표준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마련에 대한 영재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으며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교수-학습 자료 부족과 지역별 영재아동들의 수준 차이, 학년 및 학교급간 프로그램의 중복성을 영재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대부분의 영재교사들은 국가표준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개발의 필요성에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가표준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이 마련되면 중복되었던 교육 내용 및 방법이 차별성 있게 운영될 수 있고, 프로그램 주제 선정에 대한 어려움이 해소될 수 있으며, 다양한 측면의 영재교육 프로그램 확보로 영재교육의 질적 수준이 높아 질 것으로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 중 고의 영재교육 연계성 부족의 문제가 해결 될 것으로 기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학교급별 영재교육 내용의 중복성과 연계성 부족의 문제를 해결하여 영재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국가표준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이 조속히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수지침 경험자들의 수지침에 대한 효율성과 효과성 인식정도 (Recognition of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the Experiences with Hand Acupuncture)

  • 이연주;박경민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78-287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with basic information on application of hand acupuncture as a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by giving some recognition of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hand acupuncture. And so, answers for questionnaires of 290 respondents were used for this research and collected from June 5 through 13, 1999 from adults twenty and over who were participating in the hand acupuncture training program in Seoul and had some direct experiences with hand acupuncture therapy, whatever they had been treated and/or had treated. To secure reliability of measurement tool. Cronbach'a has been calculated and Factor Analysis was done as Validity Analysis of question classification. Demograprucal characteristics of hand acupuncture experienced people and factors related to hand acupuncture experiences are calculated based on the real number and percentage.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hand acupuncture is made as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hile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come from one-way ANOVA. 1.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al analysis. the questioned could be classified firstly as age (40-49 : 32.5%. 30-39 : 24.9%. 50-59 : 21.9%. 60-69 : 14.7%. 20-29 : 6.0%). secondly gender (male 36.6%. female 63.4%). thirdly occupation (housewife: 43.8%. self-employed: 15.5%. company-employee: 14.8%). fourthly education (high school graduate: 41.9%, college graduate: 37.9%), and lastly monthly-income (1 to 2 million: 51.4%. 2 to 3 million: 20,3%) 2, As for the general aspects related to hand acupuncture. 80,0% of the respondents answered almost zero for the monthly average number of visit to hospital and 15.5% responded 1 to 2 visits, 6,2% of the respondents is complaining of a disorder of digestive system. 19,0% circulatory disease, 10.7% bad nervous system. By utilizing hand acupuncture, 84% of the questioned have following experiences in curing diseases: digestive system 47.3%, circulatory system 9.3%, nervous system 8.3%, 54,1% are curing 1 to 2 and 10.3% 3 to 4 patients on a daily basis with hand acupuncture. Research on the demerits of giving medical treatment with hand acupuncture shows 23,8% are feeling economic burden. 16.6% difficulty of learning and 16.2% weak theoretical backgrounds. 3. Among the efficiency recognition, possibility of general application is average 4,29 and simple treatment is 4,19. economic merits 4.36. possibility of establishment with sup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4.17, medical effectiveness 4.09. 4, As a result of demographical analysis on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hand acupuncture therapy, it appears that the recognition of efficiency based on occupation and the recognition of effectiveness based on monthly income are most significant to be noticed. In an orderly fashion. government-employee, self-employed, company-employee. and then housewife have perceived hand acupuncture very efficiently, And those who recognize hand acupuncture to be most effective are people earn 1 million to 2 million won a month, 5. The efficiency(p = .003) and effectiveness (p= .049) of hand acupuncture therapy by number of visit to hospital were statiscally significant, and effectiveness of hand acupuncture therapy by disease exist was statiscally significant (p= .033).

  • PDF

과학 내용지식과 교수방법 측면에서 초등학교 초임교사가 과학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The Beginn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fficulties to Suffer in the Science Classes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nt Knowledge and Teaching Method)

  • 지승민;박재근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0권2호
    • /
    • pp.116-130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교육 경력 5년 이내의 초임교사들이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겪는 어려움을 과학내용지식과 과학교수방법 측면에서 조사하여 이들의 초기 적응과 전문성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교직 경력 1-3년의 경기도 지역 초등학교 교사 3명이며, 이들의 실제 수업과 수업 자료, 그리고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이들이 겪는 어려움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과학내용지식 측면에서 초임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으로는 과학적 오류나 오개념 파지, 과학적 지식에 대한 확신과 자신감 결여, 그리고 학습 대상에 대한 부정적 개념 소유 등이 관찰되었다. 둘째, 과학교수방법 측면에서는 교과내용 재구성의 어려움, 폐쇄적 발문 구사, 교사에 의한 일방적인 인도와 설명, 불완전한 비유의 사용, 그리고 실험에 대한 이해와 지도방법 부족 등과 같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임교사들의 과학수업지도의 현장성과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대 교육과정에서 실험 비중이 높은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콘텐츠 중심의 다양한 교육연수 기회를 부여하는 것이 요구된다.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초등 수학영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효과 (The Development and the Effects of Educational Program applied on STEAM for the Mathematical Prodigy)

  • 이승우;백종일;이정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6권1호
    • /
    • pp.35-55
    • /
    • 2013
  • 본 연구는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초등 수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적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고찰을 통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프로그램 적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리커트 척도(Likert scale)에 의한 양적자료 수집과 함께 개방형 질문을 포함하였다. 또한, 질적 자료를 수집하여 혼합모형설계(mixed-model design)를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인재교육(STEAM)의 융합접근 모형을 만들고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수학 영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수학 영재 프로그램에 대하여 만족도를 설문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학습 내용과 학습 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으나 학생용 수업자료의 구성에 대한 만족도는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수학 영재 프로그램 학습내용 중 흥미로웠던 부분과 어려웠던 부분에 대한 질의에는 영재학생들 모두 'STEAM 학습 내용의 수학적 원리'라고 응답하였다. 넷째,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수학 영재 프로그램의 수업에 대한 질적 증거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학생들이 수학적 영역 중 각과 속도에 관한 부분에서 창의력과 문제해결능력이 증진된 것으로 확인 되었다. 특히 앵그리버드 게임의 수학적 원리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GeoGebra 환경에서 학생들 자신이 만든 '앵그리버드 게임'에 대해 자신감과 만족감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SW교육에 대한 대학 비전공자의 인식과 경험 탐색: CQR을 중심으로 (Exploring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non-majors about SW education using CQR)

  • 오보라;이정은;이정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395-413
    • /
    • 2019
  • 본 연구는 비전공자 대상의 대학 SW교육에서 학습자들의 인식과 경험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대학에서 SW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비전공자 학생 36명의 성찰일지를 합의적 질적연구방법(CQR)에 의거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SW교육에 대한 비전공자 학생들의 인식과 경험에 대한 응답에서 연구에 참여한 모든 학생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일반적 범주나 50% 이상의 학습자에게 나타나는 전형적인 범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다양한 변동적인 범주를 핵심개념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SW교육에 대한 비전공자 학생들의 경험과 인식은 각각 57개와 7개의 변동적 개념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비전공자 학생들의 SW교육에서의 경험은 생소함으로 인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는 것과 학습활동을 통해 SW과의 관련성과 유용성을 인식한다는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SW교육에서 비전공자 학생들의 인식의 경우 초보자의 수준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한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비전공자 대상의 SW교육의 방법은 세심한 수업 운영전략과 상호작용 설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보다 효과적인 비전공자 대상의 대학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전략을 위한 시사점들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전문 음악교육을 위한 실용음악 정교사 자격증의 필요성에 대한 고찰 (For professional music education A Study on the Need for Practical Music Teacher Certification)

  • 조지훈;조태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180-187
    • /
    • 2021
  • TV 오디션 프로그램과 K-POP 열풍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많은 청소년들은 자신들의 진로를 음악으로 정하기 시작하였다. 그들은 학원이나 개인레슨을 통해 음악수업을 받았고, 이후 대학의 실용음악과에 진학하게 된다. 지원생들이 많아지면서 대학교 실용음악과의 경쟁률이 기형적으로 높아지는 현상도 발생하였다. 그에 따라 많은 학생들은 어린 나이부터 음악을 시작하였고, 학원 등 사교육 기관을 통해 음악을 배우게 되었다. 이후 실용음악 관련 고등학교가 생기기 시작하면서 고등학교를 실용음악 전문학교에 입학하는 학생들이 늘어나게 되었다. 하지만 실용음악 고등학교에도 큰 문제가 있었다. 바로 해당 음악을 전공한 전문교사를 찾기 힘들다는 점이었다. 이는 실용음악 전공자가 정교사 자격증을 취득하기가 매우 어려운 구조에서 비롯되었다. 교원 자격증을 취득 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실용음악 전공자가 선택 가능한 방법은 교육대학원을 졸업하는 방법뿐이다. 그런데 교육대학원은 클래식과 국악에 한정되어 있어 입학 자체도 어려운 상황이다. 입학을 하여도 교육대학원 교과목의 대부분이 클래식과 국악교육에 관련된 수업으로 구성되어 실용음악전공자들에겐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실용음악 고등학교의 현재 상황과 정교사 2급 자격증이 왜 필요한지,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 연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