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content

검색결과 2,580건 처리시간 0.026초

Video Learning Enhances Financial Literacy: A Systematic Review Analysis of the Impact on Video Content Distribution

  • Yin Yin KHOO;Mohamad Rohieszan RAMDAN;Rohaila YUSOF;Chooi Yi WEI
    • 유통과학연구
    • /
    • 제21권9호
    • /
    • pp.43-53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emographic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objectives, methodology, and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in the context of gaining financial literacy using videos. This study employs a systematic review desig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method, 15 articles were chosen from Scopus and Science Direct during 2015-2020. After formulating the research questions, the paper identification process, screening, eligibility, and quality appraisal are discussed in the methodology. The keywords for the advanced search included "Financial literacy," "Financial Education," and "Video".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financial literacy using videos.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when students interacted with the video content distribu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an overview and lead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use of video in financial literacy. Conclusions: This study is important as a guide for educators in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planning. A systematic review on this topic is the research gap. Video learning was active learning that involved student-centered activities that help students engage with financial literacy. By conducting a systematic review, researchers and readers may also understand how extending an individual's financial literacy may change after financial education.

실습교과목에 가상현실(VR)을 활용한 교수·학습 사례 및 효과 연구 (A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Cases and Effects Using Virtual Reality (VR) in Practice Subjects)

  • 최나영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41-52
    • /
    • 2023
  • This study developed and taught VR content to be used in clothing design and composition practice, which are practical subjects for home education students at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examined the learning effects on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VR experiences. First, after experiencing classes using VR content, students' perceptions of classes were examined considering participation, class level,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through a surve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xperience of learning sewing machines in classes using VR content and changes in perception of classes, it was found that the class level, class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were affected.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VR experiences and the perception of VR classes prior to experiencing VR content related to sewing machines developed for practical subjects, VR experiences affected class participation, class level, expectations, but satisfaction was not affected. The advantages of the VR class that students mentioned in the subjective evaluation included interest in the class, the degree of participation, the VR experience, and the use of VR. As for the disadvantages, difficulties in using the device, dizziness, frustration when using the device, and limitations of the program were mentioned.

공학교육을 위한 이러닝 컨텐츠의 활용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Utilization of e-learning Contents for Engineering Education)

  • 박형근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33-137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전기전자공학전공의 필수과목 중의 하나인 전기회로교과를 이러닝 컨텐츠로 개발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활용한 사례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제시한다. 전기회로 이러닝 컨텐츠를 이론학습은 멀티미디어형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실습부분은 동영상을 기반으로 하여 개발하였다. 이러닝 컨텐츠는 실제 오프라인 수업에 블랜디드 수업 형태로 활용하였다. 이러닝 컨텐츠의 구성요소별 학습효과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전기회로에 적합한 이러닝 컨텐츠의 유형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이러닝 컨텐츠를 오프라인 수업에 활용할 때 효과적인 활용방법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이러닝 컨텐츠의 사례조사를 통해 공학교육에 있어서 효과적인 컨텐츠의 회차구성, 회차당 길이 및 유형과 활용방법을 제시하였다.

COVID-19에 따른 원격수업 시 교사들에게 필요한 사항 (A Study on Necessary Guidelines for Teachers of Distance Learning due to COVID-19)

  • 원정민;안성훈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7권3호
    • /
    • pp.167-17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COVID-19에 따른 원격수업 현황을 조사한 연구들로부터 효과적인 원격수업을 위해 교사들에게 필요한 사항들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원격수업 콘텐츠 관련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원격수업 콘텐츠 제작에 특화된 플랫폼 구축 및 콘텐츠 제작·운영 관련 교원 연수의 확충, 콘텐츠 제작 관련 저작권 제도를 개선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원격수업은 등교수업과 체계와 특징이 다르므로 원격수업을 위한 제도적 측면의 보완도 필요하다. 원격수업에 맞는 평가 방식, 교육과정 운영 권한, 학습 관리 시스템 등에 대한 지원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아울러 원격수업을 위한 인프라 확충이 필요하며, 원격학습으로 인해 학습격차 문제가 반복되지 않도록 자기주도적 향상 프로그램 및 자기주도적 원격학습을 할 수 있는 구조 및 플랫폼도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방사선과 학생을 위한 가상현실 교육콘텐츠 개발 및 적용을 통한 학습효과 분석 (Analysis of Learning Effect through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irtual Reality(VR) Education Content for Radiology Students)

  • 심재구;권순무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3권6호
    • /
    • pp.519-524
    • /
    • 2020
  • This study developed radiation therapy contents based on virtual reality technology and applied them to radiation students. A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effects and learning satisfaction to students who used virtual reality education videos to analyze their learning performance. 71 students radiology department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one that experienced virtual reality and the other that did not experienced virtual reality. We surveyed between the two groups analyzed self-directed learning, self-learning efficacy and learning satisfaction. As a result, the comparison between the two groups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nd self-learning efficacy. But the learning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from 2.64±0.83 to 3.20±0.88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for groups applying virtual reality contents. Therefore, learning satisfaction has improved experienced group virtual reality content and the materials for virtual reality education can be applied more efficiently in non-face-to-face lectures.

The Effect of Mobile e-Learning Contents Platform Characteristics on Reuse Intention

  • Na, Jun-Gyu;Kim, Dongye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9호
    • /
    • pp.183-191
    • /
    • 2020
  • IT 발달과 함께 스마트기기로 많은 학습자가 이러닝 콘텐츠를 접하고 있으며, 콘텐츠 제공자들은 학습자의 재이용 의도와 행동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에 기반한 이러닝 학습을 접해본 200명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이러닝 콘텐츠 플랫폼 특성이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사용자의 재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은 콘텐츠 품질, 상호작용성, 편재성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성일 경우 재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특성은 상호작용성이며, 여성일 경우 콘텐츠 품질과 편재성이었다. 스마트폰을 이용해 하루 평균 한 시간 미만 이러닝을 학습할 경우 콘텐츠 품질이 재이용 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으며, 반대로 한 시간 이상 학습할 경우 편재성, 편리성, 상호작용성이 재이용 의도에 영향을 주었다. 아직도 많은 이러닝 기업들이 PC 기반의 기술이나 단기적 홍보 중심의 사업 전략을 유지해오고 있는데,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해당 기업들이 장기적 사업 전략의 관점에서 스마트폰 기반의 플랫폼 변화와 그 핵심 요인들에 대한 방향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를 둘 수 있다.

地域地理 敎育의 內容 構成과 學習 理論의 照應 (Regional Geography in Education and the Learning Theories)

  • 권정화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11-520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학습 과정을 고려하여 지역지리의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원리를 도출하고자 시도하였다. 학습 과정에 대한 기존의 견해들은 학습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새로운 지식이 누적되는 과정을 강조하는 입장과 새로운 지식이 기존의 사고들에 따라 조직되는 과정을 강조하는 입장으로 구분지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두 가지 견해들은 학습 과정을 靜態的인 것으로 가정한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학습한 지식과 새롭게 학습하는 지식 간의 순환적인 상호작용이 존재하며, 학생들은 態動的인 構成的 過程을 통하여 知識을 지니게 된다는 견해를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견해를 지역지리 교육에 적용하면 학생들의 私的 地理와 公的 地理 간의 循環을 강조하게 되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生活世界에 대한 私的 地理로부터 교육 내용을 구성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 PDF

고등학교 교과서 내용 영역별 세부 학습내용 차이에 대한 교사 의견 조사: 정적분의 활용을 중심으로 (Teachers' Opinions on Differences of Detail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High School Textbooks - Focused on Utilizing of Definite Integral -)

  • 양성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4호
    • /
    • pp.555-570
    • /
    • 2015
  • 2015년 9월 새로운 교육과정에 대한 총론 및 각론이 확정 고시될 계획이며 이에 따른 교과용도서 개발이 이루어지게 된다. 교과서는 교수 학습 내용의 방향과 범위를 결정하고 통제하는 역할과 기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학생과 교사가 만나는 수업의 장에서 교과서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교과서의 내용 구성에 따라 수업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는 교과서 내용 영역별 세부 학습내용 구성의 차이점을 정적분의 활용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설문을 구성하여 14개 시 도교육청 고등학교 수학교사 369명을 임의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교과서 내용 영역별 세부 학습내용 구성의 차이에 따라 발생되어질 수 있는 교사의 교수 내용 및 방법과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이를 통하여 교과서 세부 학습내용의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교과서 편찬 체제에 대한 개선점 도출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초등 교사의 수학과 교수법적 내용 지식 정립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Foste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athematics)

  • 방정숙;김상화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129-148
    • /
    • 2007
  • 최근의 수학교육 개혁은 교육과정의 개발이나 평가의 변화에 국한하지 않고, 교사의 학습이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가장 저변에 깔려 있는 요소 중의 하나는 가르치는 내용과 방법을 망라한 교수법적 내용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 교사의 PCK 정립을 위해서 수학과 내용 전반에 걸쳐서 핵심적인 학습 주제를 선정하여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중에서 비와 비율 주제와 관련하여 수학 내용에 대한 지식, 교수법에 대한 지식, 학생들의 수학적 이해 및 학습에 대한 지식, 교육과정 및 교과용 도서 분석, 교과서 재구성 및 적용으로 나누어 개발된 사례를 제시하였다.

  • PDF

온라인 실시간 수업에서의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 연구 (A Study on the Learners' Class Satisfaction in Synchronous Online Classes)

  • 한진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173-178
    • /
    • 2021
  • 이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진행된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C대학교에서 2020학년도 2학기 말에 온라인 설문조사에 응답한 188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결과 분석을 진행한 결과, 학습자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해 만족하지 않았으며, 온라인 수업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수업내용이며, 그 다음으로 수업 운영, 플랫폼 순이었다. 따라서 교수자는 학습자가 만족하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위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수업내용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수업내용을 구성함으로써 학습자의 이해를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학습자에게 익숙하지 않은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교수자는 체계적이고 충실한 수업 설계를 통해 학습자가 수업에 사용되는 플랫폼에 익숙해져 원활한 사용이 가능하여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에 더해, 학습자의 요구와 어려움을 파악하여 학습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수업을 계획하고 운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한 개 대학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는 점과 한정된 변수만을 측정하였다는 한계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