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earning attitude

검색결과 1,344건 처리시간 0.029초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에서의 무게중심 교수.학습 제안 (Centroid teaching-learning suggestion for mathematics curriculum according to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하영화;고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681-691
    • /
    • 2011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학교 수학은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 능력과 더불어 수학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길러주고, 주변의 여러 가지 현상을 수학적으로 관찰하고 해석하는 능력과 태도를 길러야 한다고 제시한다.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삼각형의 무게중심은 '삼각형의 세 중선의 교점'으로 정의되고, 평행선의 성질과 삼각형의 닮음을 이용한 증명에 초점을 두어 지도되었다. 이는 무게중심 그 자체에 초점을 두고 지도되지 못하였을 뿐 아니라 학생들에게 오개념 역시 심어줄 수 있는 문제점이 노출됨에 따라 본고에서는 무게중심을 '평형을 이루는 점'이라고 하는 본질에 맞게 지도하고 이에 대한 정당화 방법 역시 달리 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

학교도서관의 독서교육에서 스키마 활성화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The Development of an Instructional Model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Schema for Reading Education in School Libraries)

  • 이승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9-57
    • /
    • 2009
  • 본 연구는 독서과정에서 배경지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학교도서관의 독서교육에서 스키마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초연구로서 독서의 과정과 스키마의 개념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학교도서관 독서교육의 현황을 점검해 보았다. 스키마 활성화를 위해 학교도서관에서 필요한 독서전략을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SQ3R독서법을 적용하여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수업지도안을 설계하고 그래픽조직자를 활용한 학습 활동지를 제작하여 학교도서관에서 수업을 실시하였다. 전문가 검토의 결과를 수업모형에 반영하여 학교도서관의 독서교육에서 스키마 활성화를 위한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전문대학(專門大學) 전기.전자분야(電氣.電子分野) 전공교과(專攻敎科)의 컨텐츠 체제(體制) 개발(開發) 방향(方向) (The Development of Contents Systems on Major Course Materials for Technical College in Electric-Electronic Field)

  • 김선태;노태천;김춘길
    • 공학교육연구
    • /
    • 제5권2호
    • /
    • pp.22-35
    • /
    • 2002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an outline for developing the Contents Systems that achieve self-study systems to make the students adopt themselves into new study atmosphere and maximize the result of study on technical college in Electric-Electronic field. Questionnaire posed to analyze the demand of teaching materials to the students, and professors and also to fi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technical college. The SPSSWIN/PC+ statistics Package was used to assay the collected answers. And simple frequency with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o check the entire trend and actual state of each question. The primary outcom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 The students in the technical college prefer self-directed learning to lecturer-oriented teaching. ii) It is difficult to offer the technical college students normal education systems since the students?interest and motivation towards study are very low. iii) The lack of capability of foreign language and basic mathematics are considered as obstacles for many students technical college to study. iv) The professors in technical college still depend on traditional method to teach the students without organized research of the intellectual levels and attitude the students. v) Teaching materials in currently use are not appropriated to induce the motivation and interest of study from the students. Also, the teaching materials in use now were discovered not to have enough originality, practical application, andwere text based. Therefore, the improvement of the existing teaching materials was demanded while the fundamental ability to study of general students is declining.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new teaching materials which are simple, easy, and organized to offer the studen ts study desire and interest.

공학교육의 교수목표 및 교수방법에 대한 공과대학 학생의 중요도 인식 조사 (A Survey on the Perceived Importance of College Engineering Students for Instruction Objectives and Education Methods)

  • 임동근;우상호;김진수
    • 공학교육연구
    • /
    • 제9권1호
    • /
    • pp.43-60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공학교육의 교육목표에 맞는 교수목표 및 교수방법의 질 개선에 있어서 현재 재학 중인 공과대학의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교육목표에 따른 교수목표 및 교수방법의 중요도를 조사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전라북도 지역에 소재하는 공과대학생이고, 표본은 유층 임의표집으로 종합대학 5개교를 3개 계열로 분류하여 표집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엔지니어 및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자질 교육을 위해서 교수목표 및 교수방법에 대해 태도 견해의 학습이 다른 교수목표에 비하여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특성화된 전문가 및 자율적 자기발전을 추구하는 자질 교육을 위해서 기능 작업의 학습이 다른 교수목표에 비하여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이 인식하는 공학교육의 교수목표와 방법의 중요도 수준은 변인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었으나, 모든 영역에서 3점(중요함)과 4점(매우 중요함) 사이에 분포되었다.

상황제시형 수학 문제 만들기(WQA) 활동이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Situation-Based Mathematical Problem Posing Activity 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Mathematical Attitudes)

  • 김경옥;류성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1권4호
    • /
    • pp.665-683
    • /
    • 2009
  • 본 연구는 문제해결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상황을 제시한 후 W(상황표현하기)-Q(문제 만들기)-A(답하기)에 의한 단계별 활동을 하여 그 효과성을 알아보았다. 이 방법을 2학년에게 한 학기동안 20차시를 적용한 결과 문제해결력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고, 태도에서는 융통성은 향상되었고 나머지 영역은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지만 전반적으로 평균이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WQA 문제만들기 활동은 아동의 문제해결력을 증진시키고 태도를 개선하는 좋은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충남 일부지역 초등학생의 비만도에 따른 아침식사와 영양태도 비교 (Comparison of Breakfast and Nutritional Attitud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Obesity Level in Chungnam Area)

  • 이선영;이제혁;김명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390-405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underlying frequency of eating breakfast and nutritional attitud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ungnam area. Students had the highest ratio for eating breakfast everyday and spent 10-20 minutes eating breakfast. Students went to bed at 10-11 PM and woke up at 7-7:30 AM in the morning on average. The biggest reason for skipping breakfast was insufficient time in the morning. Additionally, favorite breakfast menu of subjects was a Korean style meal. The number of elementary students that recognized necessity of nutritional education was highest among subjects. Favorite educational method of subjects was education by teachers. Additionally, number of female students that recognized effect of breakfast on health statu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boy students. Ratio of eating breakfast everyday was dependent on BMI value. Most subjects preferred video learning materials as the main nutritional education method. Overweight subjects showed the highest ratio for eating with loss of willpower compared to other students when they skipped the breakfast. Female subjects ate a greater variety of foods compared to male students, and showed better nutritional attitudes towards a desirable dietary life than male subjects. To prevent undesirable food habits and improve intake of various nutrients, systematic nutrition education is required to regulate breakfast of elementary students.

지리과에서의 환경교육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Unit of Geography Curriculum - Centering in High School)

  • 김영미;김창환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1권2호
    • /
    • pp.156-176
    • /
    • 1998
  • On the border between the Geography subject and the Science subject, much of the content area is found to be interrelated or shared in comm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This possibly causes a problem of which of the two subjects should treat these overlapping areas with more responsibility and importance, and, as a result, might cause teachers to neglect the areas and result in insufficient treatment of the areas on both sides. In other words, these overlapping area can be overlooked on both subjects. On the other hand, as the science subject treats these areas more deeply and widely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the geography subject might lose its original content area to the science subject and accordingly lose its characteristics as an independent subject. To conclude, the following suggestions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we develop and organize the environment-related unit in the geography subject. First, the various real cases damaged by pollution, the efforts and steps to avoid being polluted, the inquiry questions and activities to set up the value of the environment conservation, and sufficient assistant materials such as maps, graphs, photos, illustrations, statistics, which will help to realize the environment problem more directly and clearly, must be presented in the textbooks. Second, as the environment education is not just teaching the environmental pollution, the content should be composed for the students to realize the value of the environment and to change their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 the environment. Third, the environment education cannot be restricted to a certain subject, or it needs to be approached in multi-subject areas. To exercise a effective environment education while we maintai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geography subject, a way to link the environment and the region, which is one of the main concepts of geography, should be developed. Finally, textbooks are indispensible materials to teaching-learning, but for more effective teaching the teachers of geography should try to recompose and reorganize the content and to develop newer and more effective teaching material-aids.

  • PDF

블루투스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군집합로봇의 행동학습 (Attitude Learning of Swarm Robot System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Network)

  • 진현수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37-143
    • /
    • 2009
  •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로봇은 더욱 소형화 되어가지고 응용을 요구하는 로봇의 수효는 더욱 커지고 있다. 지역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많은수의 자동로봇을 처리하는 방법이 로봇군집에 있어서 더욱 중요한 실험 주제로 자리잡고 있다. 군집로봇시스템은 선배정된 조건으로부터 자기의 상태를 유추할수 있는 제한된 환경가운데 있는 독립적인 자동로봇으로부터 자기자신을 유도할 수 있고 서로간의 역할을 분담하는 로봇이다. 군집로봇에 있어서 로봇을 둘러싸고 있는 상황을 인식하기 위해 센서부분을 포함하고 정보를 교환하기위해 통신 부분을 포함하고 작업을 하기위해 액튜에이터 부분을 포함한다. 특히 다른 로봇과의 협동작업을 하기 위해 로봇과의 통신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블루투스는 저전력 소모라든지 모둘패키지 크기가 작든지, 여러 가지 기준 프로토콜을 가지고 있든지하여 작은 크기의 로봇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많은 잇점을 가지고 있다. 본문에서 자동로봇을 위하여 블루투수 통신을 개발한다. 그리고 지능공간안에서 군집합로봇의 통신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하기위한 방법을 논의한다.

  • PDF

내러티브-종이아트 활동 기반 로봇활용 SW교육 효과성 비교 (Comparison on Effectiveness of SW Education using Robots based on Narrative-Paper Art Activities)

  • 손경진;한정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419-425
    • /
    • 2018
  • 2015 교육과정에는 SW교육의 문제해결과정, 알고리즘 및 프로그래밍 교육을 포함하고 있는데, 컴퓨터에 능숙하지 않거나 흥미가 없는 학생을 대상으로 직접 만지고 체험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로봇활용교육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로봇활용교육에서 로봇을 제작하는 시간제한을 극복하면서도 창의적 활동을 할 수 있는 내러티브 종이아트 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로봇활용 SW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대해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한 결과, 창의적 문제해결의 하위 요소 4가지는 모두 유의미한 상승을 보여주었다. 또한 로봇에 대한 이해력과 학습태도도 유의미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들의 생태 인식에 관한 두 가지 모델 검증: 친숙함의 효과와 생태-자연적 관점 경로 (Examining Two Causal Models Regarding High School Students' Ecological Perspective: The Role of Familiarity and Ecologistic-Naturalistic Path)

  • 하민수;이준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981-994
    • /
    • 2013
  • 이 연구는 학생들의 생태 태도에 관한 두 가지 가설적 모델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첫 번째 연구 모델은 생물의 심미적인 관점이 부정적 관점으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인식과 친숙함의 매개 효과이다. 두 번째 연구 모델은 인간적 관점에서 지배적 관점으로 이어지는 두 가지 차별적인 경로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04명이 참여하였다. 상관관계, 편상관관계, 경로분석을 활용하여 모델의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생물에 대한 인지와 친숙함이 심미적인 관점과 부정적 관점을 조절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심미적인 관점에서 발생하는 학생들의 선입견이 학습으로 조절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두 번째, 인간적 관점과 지배적 관점 경로에서 생태-자연적 관점 경로와 과학-이용적 관점 경로는 독립적이다. 과학-이용적 관점은 지배적 관점에 정적인 영향력이 있다. 학생들의 자연에 대한 지배적 관점을 줄이기 위해서는 생태-자연적 관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