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ability

검색결과 3,279건 처리시간 0.033초

유아의 모국어 능력, 외국어 경험 정도와 상위언어 능력간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Language Ability, Foreign Language Learning Experience, and Metalinguistic Ability in Korean Preschool Children)

  • 한유미;조복희
    • 아동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99-216
    • /
    • 1999
  • The 121 five-year-old Korea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 3 groups based on their experience in learning a foreign language (English). A battery of tests was administered to measure spoken and written language ability and the 3 metalinguistic domains of phonological, semantic, and syntactic awareness. Spoken language abil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mantic and syntactic awareness.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metalinguistic domain varied with level of written language development. Phonological awareness was the only predictor of decoding. Syntactic awareness and phonological awareness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 sentence comprehension. Metalinguistic ability was a better predictor of written language development than spoken language ability. Foreign language learning experience had an effect on syntactic awareness: low experience was superior to no experience, but high experience was not superior to low experience.

  • PDF

메타인지 수준에 따른 EPL 프로그래밍 학습이 논리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PL Programming Loaming on Logical Thinking Ability by the Meta-Cognition Level)

  • 홍재운;이수정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6권6호
    • /
    • pp.498-507
    • /
    • 2009
  • 프로그래밍 언어 학습이 논리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며, 각 연구 결과마다 연구 대상, 방법과 학습 주제 등에 따라 논리 향상 정도와 영역이 다르므로, 일반화 과정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논리적 사고력의 향상이 학습자의 인지 발달에 의한 것인지 프로그래밍 언어 학습에 의한 것인지 분명하지 않아 프로그래밍 언어 학습의 필요성이 증명되었다고 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6학년생들에게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학습을 7차시 동안 실시한 후, 메타인지 수준별로 논리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컴퓨터 활용 교육의 효과와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두리틀과 로고, 그리고 파워포인트 학습 집단 모두에서, 상위 수준의 메타인지를 지닌 학생들은 논리적 사고력에 유의미한 신장 효과를 나타낸 반면, 하위 수준의 학생들은 두리틀과 로고 학습 후에만 유의미한 논리적 사고력의 신장을 나타냈다. 그러나 메타인지 수준에 상관 없이 세 학습 집단 간에 논리적 사고력 향상 정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지역사회치위생학 교육의 프로젝트기반학습을 적용한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의 향상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about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ability and Problem-Solving applying Project-Based Learning on Community dental hygiene Practice Education)

  • 최문실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67-7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치위생학 교과목의 현장실습과 연계한 프로젝트기반 수업을 적용하여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강생 30명을 대상으로 프로젝트학습을 경험하기 전과 후에 대한 동일한 검사지를 이용하여 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대해 측정하였다. 그리고 사전검사와 사후검사결과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SPSS를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프로젝트 학습법이 지역사회치위생학 수업에서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의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기위해 지역사회치위생학 교과목뿐만 아니라 다른 전공교과목에도 자기주도적이며 능동적인 학습법을 활성화하여 융합역량을 개발할 필요가 있겠다.

기초학습능력 부진학생을 위한 기초역학 분야 기초학력강화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Basic Learning Ability Achievement in the Field of Basic Mechanics for Students with Poor Basic Learning Ability)

  • 이종길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95-102
    • /
    • 2018
  • 대학 공학계열 신입생들 중 많은 학생들이 기초학력 저하로 전공과목 수강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는 대학 수준에 관계 없이 전국의 모든 대학에서 나타나는 현실이기도 하다. 이러한 학습부진과 기초학력 저하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A대학에서 기계공학을 전공하려는 학생들 중 기초역학에 대한 학습능력이 부족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초학력강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사전 및 사후 검사 결과를 통하여 그 실효성을 확인하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사전 사후 검사 결과 A집단에서는 평균 40.1% 향상되었으며 B집단에서는 평균 18.9% 향상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프로그램 이수 후 실시한 만족도 조사 및 심층 면담 결과 기초학력강화 프로그램은 전체 평균 90.6%(4.53/5.0)의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어 전공 과목에 대한 흥미와 학업에 대한 자신감을 높이는데 기여 했을 뿐 아니라 교수와 참여 학생과의 긍정적인 관계 형성에 큰 도움을 준 유용한 프로그램임을 확인하였다.

중학생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가정과 공동체주택 수업 개발 및 실행 효과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Effects of Home Economics Community Housing Classes for Improving Empathy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 김희선;지은영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1권3호
    • /
    • pp.361-373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a teaching-learning plan of apartment house class to improve middle school students' empathy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to verify its effect. The study was conducted in five stages: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using the ADDIE model. In the analysis phase, the study set learning objectives after analyzing how community housing is dealt with in the 2015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12 current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In the design and development stage, in order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experts and to improve the empathy ability, the study goal design, the composition of the learning elements, the development of the learning materials, and the pre and post-questionnaire for the students were developed. In the implementation stage, the empathic ability evaluation was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the beginning of the first class by applying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of the 8th class. In the evaluation stage, we examined whether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developed in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mpathy ability by evaluating the pre-post difference of empathy abilit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sults of the pre - and post - evaluation of empathy ability for the results of this study, both cognitive and communicative factors were improved, and the apartment house cla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empathy ability.

TAI 모델과 STAD 모델을 혼합한 협동학습이 수학과의 문제 해결 능력에 미치는 효과 (A Study on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Blended with the TAI and STAD Models on the Students' Ability of Problem Solving in Mathematics)

  • 김희정;김응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1-17
    • /
    • 2006
  • 현재 학교수학이 추구하는 목표는 수학의 기본적인 지식과 기능을 습득하고 수학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길러 실생활의 여러 가지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기르는 것이다. 이에 부합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협동학습 모델 중 개별화 학습프로그램이 큰 장점인 TAI 모델과 특별한 소집단 성적 산출로 인해 모든 소집단 구성원이 소집단 성공에 기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STAD 모델을 혼합하여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새로운 혼합모델을 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학습자의 문제해결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있어서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 PDF

앱 인벤터를 활용한 예비 유아교사 학습 앱 개발 (Learning App Development using App Inventor for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

  • 안미영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355-361
    • /
    • 2018
  • 최근 ICT 기술 기반의 다양한 학습 도구를 이용해 학습 능력을 높이려고 하고 있다. 게임과 같은 응용프로그램을 강의식 수업과 병행하여 수업에서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스마트 폰 앱을 학습 도구로 활용하여 학습 효과를 높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조기 코딩 교육을 통해서 창의적 사고능력, 문제해결 능력, 논리적 사고능력를 키우고자 노력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앱 인벤터를 활용한 학습 및 퀴즈 앱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개발된 앱을 설명한 후 앱 관련 설문을 진행하였다. 개발된 앱을 활용하여 예비 유아교사에게 교육철학에 대한 학습을 진행 하였고 그 앱에 대한 설명과 앱 인벤터를 활용하여 유아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하였다. 설문을 통해서 학습 효과 및 유아 교육에서 활용 의사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앱 인벤터로 개발된 앱으로 유아 교사 학습 능력 향상 및 유아 교육에서 코딩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on nursing students' learning performance with a focus on high-risk pregnancy in Korea: a quasi-experimental study

  • Lee, Sunhee;Park, Hyun Jung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88-404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TBL) on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a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nd nursing knowledge related to high-risk pregnancy nursing. Methods: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91 nursing students allocated to an experimental group (n=45) and a control group (n=46).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BL lectures three times over the course of 3 weeks (100 minutes weekly)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instructor-centered lectures three times over the course of 3 weeks (100 minutes weekly).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19.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hi-square test, paired t-test, and independent t-test.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the mean scores of problem-solving ability (t=-2.59, p=.011), self-directed learning (t=4.30, p<.001), and nursing knowledge (t=3.18, p=.002)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munication ability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1.38, p=.171) Conclusion: The TBL program was effective for improving nursing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nd nursing knowledge. Thus, TBL can be considered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can improve the learning outcomes of high-risk pregnancy nursing in women's health nursing classes. The findings suggest that TBL will be helpful for future nursing students to develop the nursing expertise necessary for providing nursing care to high-risk pregnant women.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Problem 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 류현숙;김지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2-51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도와 C도에 소재하는 2개 대학 간호대학생 226명이었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 통계, t-test, ANOVA, Pearson's 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결과, 비판적 사고성향(β= .490, p< .001)과 자기주도 학습능력(β= .355, p< .001)이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회귀모형의 적합도에 대한 F 통계량은 183.523(p< .001)으로 유의하였고, 설명력은 61.9%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접목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융합수업 운영이 사회맞춤형교육과정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 능력과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Convergence Learning on Self-Oriented Learning Skil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Major Satisfaction in Social Customized Curriculum)

  • 김혜숙;송환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99-107
    • /
    • 2020
  • 본 연구는 융합수업 운영이 사회맞춤형 교육과정 간호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전공만족도 및 취업률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 비교연구로, C대학의 교육과정을 수강한 간호학과 졸업 학생 7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융합수업 적용 전보다 적용 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및 전공만족도는 향상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지역사회 요구에 맞는 간호대학 내 다양한 교육과정을 개설 운영하여 학생들에게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고, 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학습자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답안을 찾을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키는 것과 대학 내 다양한 컨텐츠를 개발하여 효율적으로 운영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