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de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8초

패밀리레스토랑 중간관리자의 리더십스타일에 따른 종사원의 직무만족 (An Investigation of the employee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Leadership Style in Family Restaurant)

  • 윤지연;유양자;홍완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3호통권93호
    • /
    • pp.259-269
    • /
    • 200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measure the correlation between leadership style and job satisfaction in family restaurants, and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two different styles of leadership: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was designed to measure all variables in the research model, and was made two kinds for employees and for managers. It was distributed to 550 employees and 12 managers in 16 stores of 4 family restaurants, from September 10 to October 7, 2004. A total of 303 usable employees' questionnaires were received, giving a 55.0% response rate, and all of managers responded.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SPSS Win(11.0) for the following analyses: descriptive, reliability, factor, ANOVA, correlation and clust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influential leader was the senior staff in most of the hierarchies that were studied. Seco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for family restaurant employees, while transactional leadership had a negative correlation. Third, using cluster analysis, four leadership groups were identified: transformational(44%), transactional(29%), a combination of both styles(4%), and unidentifiable style(23%). Fourth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group produced e highest rates job satisfaction for family restaurant employees.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group produced the lowest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most reasonable leadership style in family restaurants i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변혁적 리더십과 직원들의 직무만족도 및 직무성과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he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 이남;정기영;김형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69-279
    • /
    • 2020
  • 리더는 기업에서 없어서는 안 될 역할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변혁적 리더를 검토 대상으로 하여 직원의 직무 만족도와 직무 성과 변수를 도입하였다. 변혁적 리더십이 직원의 직무성과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또한 변혁적 리더십이 종업원의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 조사 방법을 채택하여 378개의 설문결과를 이용, SPSS23.0으로 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변혁적 리더의 네 가지 구성변수는 직무성과와 직무만족도에 각각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리더는 리더십 스타일의 선택에 주의를 기울여야하며 직원의 업무 태도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본 연구는 기업의 인적 자원 관리 업무를 수행하는데 유익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직무만족도가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성과 사이의 중개 역할을 하는지는 검증되지 않았으며, 향후 연구에서 보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웨딩산업에 종사하는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공정성 지각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diating Effects of Wedding Industry Employees Equity Percep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이향숙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3권2호
    • /
    • pp.189-204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웨딩산업에 종사하는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직원들의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직원들이 느끼는 공정성 지각이 자신들의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된 자료는 SPSS 21k, Amos 19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연구 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 1인 웨딩산업에 종사하는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원들의 조직시민행동과의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변혁적 리더십은 직원의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웨딩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리더는 직원들의 조직시민행동을 유인할 수 있는 전략과 모티베이션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가설 2를 검증한 결과 변혁적 리더십은 직원들의 공정성의 지각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의 발휘는 직원들이 분배 절차적 공정성에 만족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설 3은 직원들의 공정성 지각과 조직시민행동과의 영향관계에 대한 것으로 분석 결과 직원들의 공정성 지각이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3은 채택되었다. 가설 4는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직원의 공정성 지각이 매개효과를 발휘하고 있는지를 검증하였는데 분석 결과 부분매개효과를 발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4는 채택되었다. 따라서 웨딩산업에 종사하는 리더는 직원들의 조직시민행동을 유인하기 위해서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해야 하며 직원들이 평소 공정한 대우를 받고 있다는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향후 논의에서는 이런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실천방안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ject Success: The Rol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DOAN, Thuy Thanh Thi;NGUYEN, Linh Cam Tran;NGUYEN, Thanh Dan Ngoc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3호
    • /
    • pp.223-233
    • /
    • 2020
  • The paper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project succes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ject success, and als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mediating rol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ject success. Cross sessional research is applied to collect the data in this study. By applying quantitative research and survey question, the study collects 325 respondents who are the project managers. Snow-ball sampling method is used to distribute the questionnaires by face to face survey (68% of respondents) and online survey (32% of respondents). The collected data is analyzing by applying partial least square (PLS-SEM) via software SmartPLS 3.0.The result shows that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making the project even more successful as the mediation actor. Furthermore, the project commitment also has the moderator effect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project success. With the result of study, project managers should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ir commitment to the ability to manage projects successfully. A successful project is a combination of many actors, the most critical actor is the leader of the project.

The Impact of Leadership Styles on the Engagement of Cadres, Lecturers and Staff at Public Universities - Evidence from Vietnam

  • Suong, Huynh Thi Thu;Thanh, Do Dinh;Dao, Truong Thi Xua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6권1호
    • /
    • pp.273-280
    • /
    • 2019
  •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job performance and leadership are important in our society. In addi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work or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is still a lot of challenges for each leader. In Vietnam, there are few specific studies on the impact of leadership styles on employee engagement such a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tyles, business leadership styles and leadership styles. In the field of higher education, the fewer studies on these issues. A study is conducted to test the impact of leadership styles on the engagement of cadres, lecturers and staff at public universities in Vietnam. Using adjustment techniques, inspecting the scales and theoretical models represent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influential factors. The research is based on a sample of 309 cadres, lecturers and staff currently working in universities in Vietnam and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o test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scales of the variable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ransactional leadership, laissez faire leadership,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engagement attain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in the research. The study results also show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laissez faire leadership are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ed b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vestigating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Retaining Competent IT Personnel: The Role of IT Leadership

  • Mike Eom;Naveen Gudigantala;Yong Jin Kim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9권1호
    • /
    • pp.83-116
    • /
    • 2019
  • Given the critical role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in achieving organizations' strategic goals, it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for organizations to develop and retain a competent IT workforce. We investigate how organizations make IT personnel feel content with their job, motivate them to perform at their best, and consequently retain them. We develop a model in which IT leadership, conceptualized as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IT leader behaviors, influences IT personnel's perceptions of requisite soft skills and IT personnel's Quality-of-Work-Life (QWL), and how IT personnel's QWL in turn affects IT personnel's intention to stay. Using survey data from 205 IT professionals, we found that IT leadership behaviors, particularl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ehaviors, positively influence IT personnel's intention to stay. We also found that this relationship is fully mediated by IT personnel's QWL. In addition, we found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ehaviors positively influence IT personnel's perceptions of requisite soft skills.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for theory and practice.

다양한 리더십 이론에 대한 고찰 (The overview of various leadership theories)

  • 이재창
    • 안보군사학연구
    • /
    • 통권3호
    • /
    • pp.265-288
    • /
    • 2005
  • The study of leadership has been an important and central part of various organiz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overview of the literature on organizational leadership, with an emphasis on recent trends and developments likely to dominate the field through the turn of the century. Leadership has been studied in different ways, depending on the researcher's conception of leadership and methodological preferences. Most of the studies divide naturally into distinct lines of research and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whether the primacy focus is on leader traits, behavior, influence, or situational factors. Charismatic and transformational, and self leadership, a subject that became popular in recent years, can be viewed as a hybrid approach that involves elements from each of the other approaches. Finally, it discussed implication of the present study and the research required in the future.

  • PDF

융복합시대에 지식서비스기업 최고경영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습조직 구축요인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nowledge-based Service Organization CEO' Transformational Leader ship and Learning Organization Building Factors on Innovative Behavior in the Age of Convergence)

  • 유진혁;김선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4호
    • /
    • pp.147-161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융복합서비스의 특성을 보이는 지식서비스 산업에 대하여 최고경영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습조직이 구성원들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리더십과 혁신행동간 관계에서 조절변수로서 학습조직의 역할을 탐구하는데 있었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수도권 소재 35개 지식서비스기업 종사자 348명으로부터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위계적 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최고경영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습조직구축의 7요인이 혁신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조직구축의 7요인 중 지속적인 학습기회의 창출, 연구와 대화의 활성화, 팀(부서)단위 협업 및 학습촉진, 전략적 학습리더십의 4가지 요인만이 변혁적 리더십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갖는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논의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남성리더십과 여성리더십 스타일과 리더십 효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adership Styles of Women and Men in Leadership Effectiveness)

  • 홍용기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9권4호
    • /
    • pp.187-205
    • /
    • 2010
  • 최근 여성리더십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부하들이 상사인 남녀리더에 대하여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 지 파악함으로써, 남녀 리더의 평가를 알아본다. 한편 평가하는 부하가 인식하는 리더십 스타일에 리더에 대한 평가가 어떻게 달라지는 지 규명해볼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남성리더와 여성리더의 리더십 스타일에 차이가 있는지, 남녀 리더십 행동 및 효율성에 차이가 있는 지를 비교한 연구라 할 수 있다. 분석결과를 보면 리더십 스타일에서 변혁적 리더십은 남성리더보다 여성리더가 더 높다고 평가되었다. 과제지향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은 남성리더가 여성리더 보다 높게 평가되었다. 관계지향적 리더십의 남녀가 차이는 유의미하지 못했다. 남성리더와 여성리더에 대한 평가가 조사대상자의 성별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분석에서 남성리더에 대한 남녀부하의 평가를 비교한 결과, 남성부하나 여성부하 모두 과제지향적, 거래적 리더십을 여성리더보다 남성리더 쪽에 높게 평가한 반면, 여성 부하들의 경우 여성리더가 남성리더에 비해 관계지향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을 더 높게 평가하였다. 리더십 효율성에 있어서는 남성리더와 여성리더 간의 경우 의사결정업무, 대인관계업무, 관계조정업무, 부하상담업무에서 남녀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남녀부하의 남녀리더십에 대한 리더십 스타일과 리더십 효율성에는 부분적인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결론내릴 수 있다.

  • PDF

변혁적 리더십이 비서들의 도움행동에 미치는 영향: LMX와 퇴근 후 모바일기기 업무사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Helping Behavior of Secretarie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LMX and Utilization of Mobile Devices after Work)

  • 고현미;김달원;박재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178-198
    • /
    • 2018
  • 본 연구는 비서직 노동자를 대상으로 변혁적 리더십이 도움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변혁적 리더십과 도움행동의 관계에서 직무자원(LMX)과 직무요구(퇴근 후 모바일기기 업무사용)에 대한 조절효과를 종합적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비서직 노동자 14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혁적 리더십은 구성원들의 도움행동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변혁적 리더십과 도움행동의 긍정적 관계에서 LMX의 조절효과(강화효과, synergistic effect)가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변혁적 리더십과 도움행동의 관계에서 퇴근 후 모바일기기 업무사용의 상호작용효과(완화효과, buffering effect)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노동자들의 도움행동을 강화하기 위해 중간관리자들의 변혁적 리더십도 중요하지만, 리더십의 수용에 있어서 구성원들의 의지와 자발성에 영향을 주는 맥락적 요인인 사회적 지원(LMX)과 업무환경(퇴근 후 모바일기기 업무사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고,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