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ughing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3초

웃음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불안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Laughing Programs on Elementary Students Anxiety and Self-esteem)

  • 장현선;정소희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1-114
    • /
    • 2015
  • Objectives: Find out how it affects anxiety situations and self-esteem targeting the critical period of development of self-esteem in the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based on laughter therapy in having a positive influence on physical health promotion and positive emotional cultivation.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laughter activity wa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on mental health education and guidance of school life. Methods: By targeting Ulsan Y elementary school, second grade 7 class, 191 students conducted test self-esteem and anxiety. Homogeneous group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selected in each one class. Classified as experimental group carried out laughter activity programs and control group did not carried out. Also the separation of the application program before and after, then it were performed preliminary-post-further as same checklist. Program coverage period is 12 weeks and 30 minutes per session was conducted twice a week.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has conducted the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were verified by performing a variance analysis(Oneway ANOVA) and post multiple comparisons. Results: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anxiety in the post-test than the pre-test as a whole, in particular, sub-areas of concern, shame and shyness was shown to be effective, and decision of the difficulty was not significant by insignificant reduction. In addition, self-esteem was increased in overall score. The score of collective self-esteem and School life self-esteem were more increased, and domestic self-esteem was not significant by slight increases. In contrast, the comparison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areas of anxiety and self-esteem of pre-test and post-test. Conclusions: In experiments on self-esteem and anxiety of lower grade in elementary school through laughter activity program, comparison group it did not show an effect by accident, and experimental group showed meaningful effects that self-esteem was increased and anxiety was reduced. Thus, laughter activity can be seen that improving self-esteem, anxiety reduction and etc, is very beneficial to mental health.

여성의 요실금빈도와 관련요인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Prevalence and its Relating Factors of Urinary Incontinence in Women)

  • 김금순;서문자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73-85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prevalence of the urinary incontinence and it's relating factors in women. The target population is 327 community dwelling women in the age of 30-70 years old at 6 cities in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996 to December. 1996 with interview using structured questionaire composing of ite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obstetric characteristics, disease characteristics, situation of experiencing urinary incontinence, discomfort due to urinary incontinence, and depression. The data were analysed with $SPSS/PC^+$ program, T-test, $x^2$ test, and ANOVA test.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prevalence of urinary incontinence in women is 37.7%(130/327). 2) The mean duration of experiencing the urinary incontinence was 75.9 months and the 60% of the respondents experienced a few frequency of urinary incontinence and the most common amount of urinary incontinence(91.5%) was somewhat small expressed as 'wetting their clothes'. 3) The common factors related to the urinary incontinence were coughing, sneezing, laughing aloudly, and the activities of need for hurry. 4) The most common situations of discomforts associated with urinary incontinence were having long journey, exercise, playing, and social meeting. 5) The incidence of urinary incontin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oman who had more children, older age of last delivery, more vaginal delivaries, and less c-section. 6) The incidence of urinary incontinence was not affected with the disease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however it was higher when the women had the physical problems of constipation, abdominal laparatomy and episode of urinary catheterization than who had not. 7) The most common symptom of urinary incontinence was the frequent urine(43.1%), and the next was the urgent urine(12.3), delayed urine(9.2%). 8) 90.7% of the epsodic urinary incontinence were not treated at al, however, they wanted to try the herb medicine(41.5%), Kegel exercise(27.7%), and biofeedback(10.0%). 9) The level of Depression in the group of urinary incontinence was higher than that of non incontinence group significantly. In conclusion, as urinary incontinence in women proved severe health problem, health care providers need to develop and provide nursing intervention of urinary incontinence such as pelvic muscle exercise with bio-feedback and psychological care.

  • PDF

3.0T 자기공명영상장치를 이용한 사람의 간지럼자극과 감각중추 자극의 활성화 차이 (Difference of fMRI between the Tickling and Sensory Stimulation Using 3.0 Tesla MRI)

  • 강현수;임기선;한동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86-294
    • /
    • 2010
  • 기능적 자기공명영상법(fMRI)을 이용하여 일반 감각 자극과 다른 간지럼 자극 과제를 수행 할 때 대뇌 감각중추 신경 연결망을 규명하고, 간지럼이 웃음의 기전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건강한 성인 남녀 16명(평균 : 28.9세)을 대상으로 두 종류의 감각 자극 과제 수행동안 3.0T 자기공명영상장치를 사용하여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얻었다. 감각 자극은 피험자마다 역균형화하여 제시되었으며, 블록 설계로 자극 제시와 영상 획득이 이루어졌다. 획득된 영상 데이터는 SPM 99 분석하였으며, 개별 분석과 그룹 분석을 실시하였다. 개별 분석 결과 두 과제 모두 체감각 영역의 활성화가 관찰되었고, 간지럼 자극 조건은 감각자극 조건에 비해 베리니케 영역(BA40)에서 더 많은 활성화를 보였다. 또한, 그룹 분석결과 일반 감각 조건에서는 양쪽 체감각 피질 영역(BA 1,2,3)이 활성화되었으며, 간지럼 조건에서는 양쪽 체감각 피질 뿐만 아니라 시상, 대상회, 대뇌섬엽 영역에서 커다란 활성화를 보였다. 간지럼 자극에서 감각자극을 뺀 결과에서는 우측 대상회와 좌측 MFG 영역 및 좌측섬엽 에서 유의미한 활성화를 보였다. 촉각을 통한 간지럼자극을 인지하는 대뇌영역에 대해 검증하였고, 간지럼과 같은 가장 원초적인 자극이 다양한 사회적 활동에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웃음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자폐적인 아동의 일치적 애착 행동 증진을 위한 정상군/자폐군 모-아놀이의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MOTHER-CHILD PLAY BETWEEN AUTISTIC AND NORMAL GROUPS FOR PROMOTING THE AUTISTIC CHILDREN'S SYNCHRONIZED BEHAVIORS)

  • 임숙빈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0권1호
    • /
    • pp.76-90
    • /
    • 1999
  • 자폐적인 아동은 사회적 발달의 기초인 모-아 애착에서부터 왜곡되어 있고 특히 일치적 애착 행동들이 저하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일치적 행동들의 정상적 발달양상과 관련 요소를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겠기에 자폐군과 정상군 총 20쌍의 모-아 놀이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폐군의 일치적 행동들은 정상군에 비해 저하되어 있고 발달 경과도 느렸으며 특히 16개월 이상부터는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일치성과 상관이 있는 어머니의 양육행위는 애정적 표현을 하고 적절한 행동 멈춤을 보이며 아동의 행동을 기다려주는 것이었다. 모-아 상호집중의 저해요소는 지시적이고 간섭하고 학습중심적인 어머니의 놀이 행위와 아동의 무관심, 무반응, 과제수행의 실패 등이었다. 그러나 아동의 수준을 고려해 적당히 자극적인 접근을 하였을 때 상호집중이 유발되고 지속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PDF

학령후기 말기 암 환아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의미요법 CD 프로그램 개발 (CD Program Development Applied Logotherapy to Improve Quality of Life of Older School-age Children with Terminal Cancer)

  • 강경아;김신정;송미경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1권2호
    • /
    • pp.82-90
    • /
    • 2008
  • 목적: 본 연구는 학령기 후기 말기 암 환아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의미요법 CD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방법: 학령기 후기(만 $10{\sim}12$세) 말기 암 환아의 삶의 질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인 연구로서 연구기간은 2006년 1월 1일부터 2007년 11월 30일 이었다. 교육내용은 Frankl의 의미요법의 이론적 틀과 치료기법을 근간으로 구성하였고, 교육매체개발은 Keller 와 Song의 ARCS 이론을 적용하였으며, Dick와 Cray가 제시한 프로그램 개발과정을 응용하였다. 개발된 의미요법 프로그램명은 [마음 속 보물찾기]였다. 결과: 총 5차시의 교육과정으로 구성되었으며 교육시간은 각 차시별로 $15{\sim}20$분용으로 5차시 교육내용의 주제는 삶의 본질적 특성, 창조적 가치, 경험적 가치, 태도적 가치, 자기주도적인 삶에서 선택과 책임의 중요성의 내용을 다루었다. 각 차시의 세부교육내용은 처음, 무엇일까, 여행가기, 웃음 송으로 진행되며, 교육자용 지침서는 알쏭달쏭(동기유발을 위한 6컷 만화), 각 차시별 교육내용(무엇일까, 여행가기, 웃음 송), 체험하기(퀴즈 및 정답, 체험하기내용)를 포함하고 있으며, 교육용 책자(환아용)는 CD를 통한 각 차시 교육 후 교육내용을 자신에게 직접 적용해 보는 체험하기 단계에서 활용되는 책자이다. 또한 이 교육용 책자에는 각 차시 마지막 부분에 마음 속 보물찾기 CD에서 각 차시 마다 소개된 웃음 송 악보를 넣어 환아들이 언제든지 따라 부를 수 있도록 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학령기 후기 암 환아 교육프로그램은 간호사외에 호스피스 영역의 전문종사자들이 암 환아들의 정서적, 영적돌봄을 위해 현장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으며, 교육자들을 위한 교육지침서와 환아들을 위한 교육용 책자도 동시에 개발하여 그 활용의 용이성을 최대한 높였다.

  • PDF

텔레비전 토크쇼 <이제 만나러 갑니다>(채널 A)의 탈북 여성들의 사적 기억 재구성 방식과 그 의미에 대하여 (How Does Television Talk Show, (Channel A) Reconstruct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Personal Memories?)

  • 태지호;황인성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60권
    • /
    • pp.104-124
    • /
    • 2012
  • 본 논문의 목적은 텔레비전 토크쇼 <이제 만나러 갑니다>(채널A) 사례연구를 통해 탈북 여성의 북한에 대한 기억이 재현되는 방식을 살펴보고 그 사회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는데 있다. 본 논문은 우선 최근 사회과학 분야에서 '기억'이 왜 중요한 화두로 부상하게 되었는지 '기억'과 '역사'의 갈등적 관계 속에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집단기억'과 '문화적 기억' 개념, 그리고 '기억'의 '사회적' 속성 등에 대해 살펴본 후, 사람들의 개인적인 '기억'을 중심내용으로 하는 텔레비전 토크쇼를 '기억의 터' 개념과 관련해서 논의했다. 분석방법론으로는 서사론적인 가정에 입각하여 통합체와 계열체 두 차원에서 행하는 구조적 텍스트분석 방법을 활용했다. 연구 결과 논의된 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이제 만나러 갑니다>에서 탈북 여성들이 드러낸 과거 기억들은 이념적이기보다는 개인적인 차원의 일상사적인 관심거리 중심이고, 이들은 우리 사회의 지배적인 공적 기억과 갈등적 관계에 존재한다. 하지만, <이제 만나러 갑니다>는 그들의 기억을 특정한 방식으로 재구성함으로써 그들을 '타자화'하고 결국 우리 사회의 지배적인 공적 기억 유지에 기여한다.

  • PDF

노인여성의 요실금 실태 (A Study on Urinary Incontinence of Elderly Women in a Community)

  • 박옥희;권인수;강영실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536-546
    • /
    • 2001
  • The purposes of this descriptive study were to identify the prevalence rate of urinary incontinence(UI) and the differences in frequency of incontinent and normal women by general characteristics, obstetrical history, and the conditional events for urinary incontinence of the elderly women in a community. By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provide nursing practice guidelines for incontinent women. The research design of this study was a preliminary descriptive study. The 173 subjects were 55 years old and over, and resided in a small city area.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20 to July 20, 2001, by an interview or a self-report with questionaire. The questionaire was composed of ite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obstetrical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s of UI by the modified Henderickon's Stress Incontinence Scale(1981). The results were summariezed as follows: 1. The UI prevalence rate of the sample was 64.2%. Of the incontinent women, 31.5% had experienced UI for a period of three to five years, and 84.7% had never treated or managed their UI. Frequency of UI was once or twice times per month(46.8%). 2. The total mean of UI on the scale in the incontinent women was 25.50 of 85, ranging from 18 to 41. 3. The most frequent condition of UI was coughing, followed by laughing, sneezing, heavy exercise, and preparation of urination in descending order.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education, social activity, and urinary difficulty between the incontinent women and the normal women. 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requency of spontaneous abortion, age of menopause between the incontinent women and the normal women. 6.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number of delivery, frequency of artificial abortion, age of the last delivery, and postal health management between the incontinent women and the normal women. In conclusion, the incidence of UI in this study was high, but there were no effective treatments or management. It is suggested to provide the adult women with knowledge about UI, and to educate preventive behavior and control skill of urinary incontinence. Also episodes of urinary incontinence were high in the situation of sudden increase of abdominal pressure. This data can be used for the prevention strategy of urinary incontinence, In future research it is recommended to identify comprehensive factors related to urinary incontinence including psychosocial factors, and effective strategies of urinary incontinence.

  • PDF

청소년 후기 말기 암 환자의 정서적.영적 돌봄을 위한 의미요법 CD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 CD Program Applied Logotherapy for Psycho.Spiritual Care of Late Adolescents with Terminal Cancer)

  • 강경아;김신정;송미경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2권2호
    • /
    • pp.61-71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 후기 말기 암 환자의 전반적인 경험을 이해하고 총체적인 고통을 경감하도록 돕는 정서적, 영적 돌봄 프로그램인 CD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2006년 11월 1일부터 2007년 10월 30일까지 Keller와 Song의 ARCS이론과 Kang의 멀티미디어 코스웨어 설계 과정을 응용하여 플래쉬 도구를 활용한 CD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의미요법 프로그램명은 "청소년 후기 암 환자를 위한 "내 삶의 보물찾기""이었다. 프로그램 개발은 <계획>, <설계>, <개발>-CD프로그램, 사용자(간호사)용 교육지침서 및 학습자용 교육용 책자, <평가>의 4단계를 통해 이루어졌다.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의미요법 CD 프로그램은 총 5개의 비밀을 찾는 과정으로 교육시간은 각 차시별로 $15{\sim}20$분으로 구성되었으며. "비밀"로 명명된 각 차시별 구성은 의미요법에 대한 프로그램의 제작목적을 알려주는 <처음>과 6컷 만화를 통한 동기유발을 유도하기 위한 <마음열기>, 각 차시별 교육목적과 의미요법 교육이 진행되는 영상물 상영 <알아보기>, 교육 내용에 대한 카타르시스를 위한 <웃음 송>, 교육내용을 자신에게 직접 적용해 보는 <경험하기>, 메인화면으로 돌아갈 수 있는 <끝>의 6단계로 이루어졌으며, 교육용 소책자(의미노트)를 제공하여 반복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청소년 말기 암환자가 있는 임상현장인 병원학교 혹은 지역사회 어느 곳이든지 컴퓨터가 가능한 곳에서는 사용할 수 있도록 CD로 만들어졌으며, 프로그램은 신규 간호사도 사용하기 편리하게 자동과 수동 양방향의 기능을 가지고 매체조작이 용이하도록 제작되었다. 교육지침서는 전체 내용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웃음 송>에 대한 저작권 등록은 완료된 상태로 전국의 소아 청소년 종양병동에서 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결론: 본 프로그램은 간호사들이 교육에 대한 큰 부담없이 의미요법 프로그램을 쉽게 진행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어 임상에서 청소년 후기 말기 암 환자의 정서적, 영적 간호중재 방법으로 유용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말기 암환자 뿐 아니라 청소년 후기에 만성 및 불치의 질병으로 고통을 받는 대상자에게도 적용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

한국 전통연희에서의 재담의 양상과 그 의의 (Joke-Related Aspects and their Significance in Traditional Korean Funny Performing Arts)

  • 손태도
    • 고전문학과교육
    • /
    • 제32호
    • /
    • pp.29-61
    • /
    • 2016
  • '재담(才談)'은 우리 말 중에서 '가장 재미있고 재치가 있는 언어단위'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시작 단계다. 재담이라고 하면 재담말, 재담이야기, 재담소리, 재담극 등이 모두 관계되지만, 그 대상을 분명히 한다면 '재담말'로 한정하는 것이 좋다. 재담 곧 재담말은 '재치있게 하는 재미있거나 우스운 말'이다. 이러한 재담은 전통연희에 많이 있는데, 전통연희의 공연 장소는 대부분 개방된 마당으로 이런 곳은 항상 놀이적인 것을 요구했고, 그러한 놀이적인 것이 대사에서는 재담들을 요구했기 때문이다. 전통연희에서의 재담은 대체로 다음과 같다. 1) 상황과 관련되는 재담: 주어진 상황에 적절한 말, 과장(誇張)의 말, 과소(誇小)의 말, 논점일탈의 말, 인과(因果)의 말 2) 진술과 관련되는 재담: 열거의 말, 부연(敷衍)의 말, 대조의 말, 거짓으로 잘 둘러대는 말, 부정할 수 없는 말, 짐짓 모른 체하는 말, 짐짓 틀리게 하는 말 3) 어휘와 관련되는 재담: 곁말, 이어동의어(異語同義語), 이어유의어(異語類義語), 일부러 순서를 바꾼 말, 잘못 한 말 4) 발음과 관련되는 재담: 동음이의어(同音異義語), 이어동음어(異語同音語)이 외에도 더 있을 것이나, 위의 것들이 대표적인 것들이 아닌가 한다. 재담은 '인간이 자연과 사회의 여러 문제들을 극복하고 제대로 즐길 때만 가질 수 있는 인간의 자유로우면서도 창조적인 정신의 한 결과물'로 어느 시대, 어느 곳에나 필요한 것이다. 전통연희에서의 재담들을 바탕으로 오늘날에도 보다 다양하고 차원 있는 재담들이 이뤄졌으면 한다. 또 재담은 항상 창의성이 요구되기에 오늘날에도 새로운 방식에 의한 새로운 재담들이 만들어졌으면 한다.

한국 정치극의 전개 양상 - 1920년대부터 80년대까지의 정치극운동을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Aspects of Korean Political Theatre Movement)

  • 김성희
    • 한국연극학
    • /
    • 제52호
    • /
    • pp.5-59
    • /
    • 2014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evelopment and aesthetics of Korean political theatre from its quickening period 1920s to democratization era 1990s. Political theatre before 90s developed an antithesis resistant movement toward Korean modern history that had been scattered with suppressing political circumstances such as colonial era and dictatorial government, the movement has powerful activity and social influences. Just like the 20 century political theatre had been quickened under the influence of Marxism at Russia and Germany in 1920s, Korea's political theatre began in socialism theatre movement form around the same time. Proletarian theatre groups had been founded in Japan and Korea, and developed into practical movement with organized connection. However, the political theatre movement in Japanese colonial era was an empty vessel makes great sound but not much accomplishments. Most performance had been canceled or disapproved by suppression or censorship of the Japanese Empire. The political theatre in liberation era was the left drama inherited from Proletarian theatre of the colonial era. Korean Theatre alliance took lead the theatrical world unfold activities based on theatre popularization theory such as 'culture activists' taking a jump up the line and 'independent theatre' peeping into production spot as well as the important event, Independence Movement Day Memorial tournament theatre. Since 1947, U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strongly oppressed the left performances to stop and theatrical movement was ended due to many left theatrical people defection to North Korea. The political theatre in 1960s to 70s the Park regime, developed in dramatically different ways according to orthodox group and group out of power. The political theatre of institutional system handled judgment on sterile people and had indirect political theatre from that took history material and allegory technique because of censorship. In political theatre out of institution, it started outdoor theatre that has modernized traditional performance style and established deep relationship with labor spot and culture movement organizations. Madangguek(Outdoor theatre) is 'Attentive political theatre', satirizing and offending the political and social inconsistencies such as the dictatorial government's oppression and unbalanced distribution, alienation of general people, and foreign powers' pillage sharply as well as laughing at the Establishment with negative characters. The political theatre in 1980s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political theatre of institutional system and Madangguek. Institutional Political theatre mainly performed in Korea Theatre Festival and the theatre group 'Yeonwoo-Moudae' led political theatre as private theatre company. Madangguek developed into an outdoor theatrical for indoor theatre capturing postcolonial historical view. Yeonwoo-Moudae theatre company produced representative political plays at 80s such as The chronicles of Han's, Birds fly away too, and so on by combining freewheeling play spirit of Madangguek and epic theatre. Political theatre was all the rage since the age of democratization started in 1987 and political materials has been freed from ban. However, political theatre was slowly declined as real socialism was crumbling and postmodernism is becoming the spirit of the times. After 90s, there are no more plays of ideology and propaganda that aim at politicization of theatre. As the age rapidly entered into the age of deideology, political theatre discourse also changed greatly. The concept 'the political' became influential as a new political possibility that stands up to neoliberalism system in the evasion of politics. Rather than reenact political issues, it experiments new political theatre that involves something political by deconstructing and reassigning audience's political sense with provocative forms, staging others and drawing discussion about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