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itude and longitude

검색결과 333건 처리시간 0.024초

우리나라 무인도서의 귀화식물 분포에 대한 섬생물지리적 연구 (Island Biogeographic Study on Distribution Pattern of the Naturalized Plant Species on the Uninhabited Islands in Korea)

  • 정재민;홍경낙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6호
    • /
    • pp.489-494
    • /
    • 2006
  • 우리나라 남 서해안에 분포하는 261개의 무인도서에 대해, 생태계 보전과 귀화식물종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섬생물 지리학적 방법론에 의한 귀화식물종의 분포와 확산 pattern 및 섬의 지리적 환경과의 상관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조사된 261개 도서 중 귀화식물 종은 229(87.7%)개 도서에서 총 106종이 관찰되었다. 도서 당 귀화식물 종수는 평균 4.6 $\pm$ 4.07)이었으며, 서해그룹보다 남해그룹에 속한 도서에서 많았다. 귀화식물 종당 관찰된 무인도서 수는 평균 12.9 $\pm$ 25.92)개였고, 100개 이상의 도서에서 관찰된 종은 귀화도(5등급)가 높은 소리쟁이(R. crispus L.; 153개)와 개망초(E. annuus Pers.; 130개), 망초(C. canadensis (L.) Cronquist; 121개)의 3종이었다. 106개 귀화식물 종의 출현 빈도에는 도서 면적과 육지와의 최단거리, 인간간섭 강도 및 위 경도 등이 모두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면적(r=0.182)보다는 최단거리(r=-0.330)와의 상관성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분석 결과 귀화식물 종수는 도서의 면적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육지와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종수가 증가하였으나, 인간 간섭 효과는 매우 낮았다. 회귀 분석 결과, 106종의 귀화식물 종의 분포는 육지와의 최단거리가 10.9%의 설명력으로 제일 높았으며, 면적을 추가했을 경우에는 회귀 직선으로 귀화종수 변화의 21.8 %까지 설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무인도서에서 귀화식물의 관리와 생태계 보전을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GPS 실용화를 위한 우리나라 측지계와 WGS 84의 좌표변환(II) (The Coordinate Transformation Between Korean Geodetic System and WGS 84 for the Practical Use of GPS (II))

  • 박필호;박종욱;강준묵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7-45
    • /
    • 1993
  • 경상북도 전역과 충청북도 일부지역을 포함한 경도 1도 32분, 위도 1도 7분에 이르는 지역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측지계와 WGS 84 측지계간의 좌표변환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범위는 1992년 발표한 1단계 연구의 약 4배에 해당한다. 이 연구를 위하여 7개의 천문점과 3개의 삼각점으로 구성된 10개의 기준점 및 근처의 8개 수준점을 GPS로 관측하였고, 변환요소 방법과 Molodensky 방법, MRE 방법의 3가지 좌표변환 방법으로 WGS 84를 우리나라 측지계로 변환하여 좌표변환 정밀도를 비교하고 변환요소 방법의 적용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변환요소 방법에 의한 좌표변환 정밀도가 다른 두 방법에 비하여 3배정도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환요소 방법을 이용한 경우 위도, 경도, 높이에서 각각 0.017초, 0.016초, 0.329초의 정밀도를 좌표변환이 가능하였다. 기준점 근처의 수준점을 GPS로 동시에 관측하므로서 기준점 높이성과의 과대오차를 검출하고 보정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과대오차를 보정하므로서 좌표변환의 정밀도가 훨씬 더 나아짐을 보였다.

  • PDF

소나무 산지의 개엽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인자 (Climatic Factors Affecting Bud Flush Timing of Pinus densiflora Provenances)

  • 김인식;유근옥;이주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29-235
    • /
    • 2012
  • 본 연구는 소나무 산지의 개엽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인자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는데 1996년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조성한 정선, 충주, 제주의 소나무 산지시험림에서 조사가 이루어졌다. 휴면 중이던 동아가 부풀어 오르는 시점을 생장개시기로, 신초가 포린을 뚫고 나와 0.5mm 정도 자란 시점을 개엽시기로 정해 2004년 3월말부터 5월 중순까지 2일 간격으로 조사를했다. 개엽시기에 대한 산지 기후인자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조림지와 산지의 기후인자를 구했으며, 각 기후인자의 생태적거리를 구해 공준상관 분석을 실시했다. 조림지별 생장개시기와 개엽시기는 제주, 충주, 정선 조림지 순으로 빨라 조림지의 평균 기온 차이에 따른 구배를 보여주었다. 종자산지의 기후인자 차이가 조림지에서의 생장개시기 및 개엽시기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생태적거리 자료를 이용하여 공준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림지와 산지 간 위도, 경도, 12~2월 최저기온, 11~2월 최고기온 그리고 생육기간 차이가 주요 인자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결론적으로 조림지보다 겨울철 기온이 낮은 곳에서 온 산지가 생장개시 및 개엽시기가 빠른 전형적인 북-남 또는 저온-고온 경사변이를 나타내 소나무 산지에 따른 지리적 유전적 변이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용량 공간 데이터를 위한 병렬 처리 기법 (A Parallel Processing Technique for Large Spatial Data)

  • 박승현;오병우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2호
    • /
    • pp.1-9
    • /
    • 2015
  • 그래픽 처리 장치(GPU)는 내부에 대량의 산술 논리 연산 장치(ALU)를 보유하고 있다. 대량의 ALU는 병렬 처리를 위해 이용될 수 있으므로, GPU는 효율적인 데이터 처리를 제공한다. 공간 데이터를 지도상에 표현하기 위하여 지리학적 좌표가 필요하다. 좌표들은 측지경도와 측지위도의 형태로 저장된다. 데카르트 좌표계로 구성된 지도를 표현하기 위하여 측지경도와 측지위도는 국제 횡단 메르카토르 좌표계(UTM)로 전환돼야 한다. 좌표계 변환 과정과 변환된 좌표를 화면상에 표현하기 위한 렌더링 과정은 복잡한 부동 소수점 계산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성능 향상을 위해 GPU를 활용한 좌표변환 과정과 렌더링 과정을 병렬적으로 처리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대용량 공간 데이터는 파일로 디스크 내에 저장된다. 대용량 공간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공간 데이터 파일들을 하나의 대용량 파일로 병합하고 Memory Mapped File 기법을 활용하여 파일에 접근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TIGER/Line 데이터를 활용하여 747,302,971개의 점으로 구성된 공간 데이터의 좌표 변환 및 렌더링 처리 과정을 GPU를 활용하여 병렬로 수행하는 연구를 진행한다. CPU를 이용하여 좌표변환 과정 결과와 렌더링 처리 과정 결과를 비교하여 속도 향상 정도에 대한 결과를 제시한다.

백두산과 제주화산도에 있는 용암동굴의 X선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Volcanic Cave Rocks in Mt. Peakdu Group and Cheju Island)

  • 김경훈
    • 동굴
    • /
    • 제45권46호
    • /
    • pp.9-31
    • /
    • 1996
  • The Mt. Peakdu is situated in north of the main peninsula, commanding geographically coordinated between longitude W($127^{\circ}$ 15' - $128^{\circ}$ 00') to E($128^{\circ}$ 15'- $129^{\circ}$ 00'), between latitude from S($41^{\circ}$ 15'- $42^{\circ}$ 00') to N($42^{\circ}$ 10'- $42^{\circ}$ 40'). The Manjyang-Gul in Cheju volcanic island is situated in the south of the main peninsula, commanding the Korean Strait, geographically coordinated longitude N($33^{\circ}$ 32' 26") and E($126^{\circ}$ 46' 48"). The quantitative analysis using XRF of volcanic rock samples for the north of Lu- Ming- Feng in Mt. Peakdu Group and the Manjang-Gul in Cheju island was Performed. The major chemical components by group analysis are as follows; Peakdu-Mt. Cheju Peakdu-Mt. Cheju (1) $Na_2O$(3.29Wt% and 3.27Wt%) (2) MgO (3.95Wt% and 6.l5Wt%) (3) $Al_2O_3$((17.64Wt% and 15.l7Wt%) (4) $SiO_2$((50.62Wt% and 50.99Wt%) (5) $P_2O_5$ (0.36Wt% and 0.30Wt%) (6) $K_2O$ (1.37Wt% and 1.04Wt%) (7) CaO (8.56Wt% and 8.06Wt%) (8) $TiO_2$ (2.37Wt% and 2.l5Wt%) (9) MnO (0.llWt% and 0.l6Wt%) (10) $Fe_2O_3$(9.l2Wt% and 12.56Wt%) The Group analysis data were compared in the relation within the age of formation for $0.16{\pm}0.08Ma$ in Mt. Peakdu Group, and $0.42{\pm}42Ma$ or $0.42{\pm}42Ma$ in Cheju island for K-Ar age. The crystal structure are mixed crystal of monoclinic, hexagonal and triclinic system in Mt. Peakdu Group and mixed structure of triclinic and cubic system in Cheju volcanic island.ic island.

  • PDF

재분석자료들을 이용한 최근 35년(1979~2013) 동북아시아 상층제트의 변동특성 (Characteristic Variations of Upper Jet Stream over North-East Asian Region during the Recent 35 Years (1979~2013) Based on Four Reanalysis Datasets)

  • 소은미;서명석
    • 대기
    • /
    • 제25권2호
    • /
    • pp.235-248
    • /
    • 2015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three dimensional variations (latitude, longitude, and height of Jet core) and wind speed of upper Jet stream in the East Asian region using recent 35 years (1979~2013) of four reanalysis data (NCEP-R2, MERRA, ERA-Interim. and JRA-55). Most of Jet core is located in $30.0{\sim}37.5^{\circ}N$ and $13.0{\sim}157.5^{\circ}E$ although there are slight differences among the four reanalysis data. The wind speed differences among reanalysis are about $3m\;s^{-1}$ regardless of seasons, the weakest in NCEP-R2 and the strongest in JRA-55. Although significance level is not high, most of reanalysis showed that the Jet core has a tendency of southward moving during spring and winter, but moving northward during summer and fall. This amplified seasonal variation of Jet core suggests that seasonal variations of weather/climate can be increased in the East Asian region. The longitude of Jet core has a tendency of systematically westward moving and decreasing of zonal variations regardless of averaging methods and reanalysis data. In general, the Jet core shows a tendency of moving south-west-ward and upward, getting intensified during spring and winter regardless of the reanalysis data. However, the Jet core shows a tendency of moving westward and downward, and getting weakened during summer. In fall, there were no distinctive trends not only in wind speed but also three dimensional locations compared to other seasons. Although the significance levels are not high and variation patterns are sligh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reanalysis data, our findings are more or les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results. So, more works are needed to clarify the three dimensional variation patterns of Jet core over the East Asian region as a result of global warming.

우리나라 극한기후사상의 기후지역구분 (The classification of extreme climate ev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 박창용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94-41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극한고온, 극한저온, 극한강수의 발생 빈도 및 규모를 지역별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기후지역을 구분하였다. 열대일수는 해안보다 내륙에서 많았고, 서리일수는 고도와 위도의 특성이 잘 나타났다. 호우 일수는 남해안과 제주도에서 많았고, 경상북도 일대에서 적게 나타났다. 이후 주성분 분석과 군집분석을 통해 연구기간의 전 후반기 시기별 변화와 최근 30년 평균(1981~2010년)에 대한 극한기후지수에 대한 기후지역을 구분하였다. 열대일수의 경우 남북 방향으로 구분된 특징을 보였으며, 서리일수는 동해안 및 서해안, 제주도가 하나의 지역으로 구분되었고 호우일수는 경기도 및 강원도 이남 지역에서 동서 방향으로 구분된 특징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기후변화 적응 및 완화에 대한 대응체계 마련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한반도 전체를 단일 좌표구역으로 하는 통합된 직각좌표체제 (A Cartesian Coordinate System to Cover the Korean Peninsula as a Single Coordinate Zone)

  • 이규성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93-104
    • /
    • 1992
  • 현재 한국표준지형도에서 사용되고 있는 횡단메카토르좌표(TM) 체제는 한반도 전체를 단일의 직각좌표 체계로 표시하는데 제한이 있다. 인공위성 원격탐사 및 지리정보 시스템의 광범 위한 응용과 함께, 직각좌표체계가 종래의 경위도좌표체계보다 이용에 있어서 보다 편리하고 효 과적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반도 전체를 하나의 좌표구역으로 포함하는 통합된 직각 좌표체계를 제안함으로써 표준직각좌표체계 설정의 기반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표준지형도 제작 에 사용된 횡단메카토르 투영법을 그대로 유지하고, 기존의 TM좌표 및 UTM좌표를 약간 변형하 여 기준원점이 동경 127$^{\circ}$30'와 북위 38$^{\circ}$가 되는 직각좌표체계를 시도하였다. 경위도 좌표 에서 통합된 직각좌표로의 변환과정을 축척오차의 분포 문제와 함께 기술하였다.

Seasonal and Latitudinal Variations of the F2-Layer during Magnetic Storms

  • Park, Yoon-Kyung;Kwak, Young-Sil;Ahn, Byung-Ho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0권4호
    • /
    • pp.231-239
    • /
    • 2013
  • To identify seasonal and latitudinal variations of F2 layer during magnetic storm, we examine the change of daily averages of foF2 observed at Kokubunji and Hobart during high (2000~2002) and low (2006~2008) solar activity intervals. It is found that geomagnetic activity has a different effect on the ionospheric F2-layer electron density variation for different seasons and different latitudes. We, thus, investigate how the change of geomagnetic activity affects the ionospheric F2-layer electron density with season and latitude. For this purpose, two magnetic storms occurred in equinox (31 March 2001) and solstice (20 November 2003) seasons are selected. Then we investigate foF2, which are observed at Kokubunji, Townsville, Brisbane, Canberra and Hobart, Dst index, Ap index, and AE index for the two magnetic storm periods. These observatories have similar geomagnetic longitude, but have different latitude. Furthermore, we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foF2 and the [O]/[$N_2$] ratio and TEC variations during 19-22 November 2003 magnetic storm period. As a result, we find that the latitudinal variations of [O]/[$N_2$] ratio and TEC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latitudinal variation of foF2.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 seasonal and latitudinal variations of foF2 during magnetic storm are caused by the seasonal and latitudinal variations of mean meridional circulation of the thermosphere, particularly upwelling and downwelling of neutral atmosphere during magnetic storm.

옥천대 북동부에 분포하는 하부 고생대층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Paleomagnetic Study of the Lower Ordovician Formations in the North Eastern Okcheon Zone)

  • 민경덕;이윤수;황석연
    • 자원환경지질
    • /
    • 제26권3호
    • /
    • pp.395-401
    • /
    • 1993
  • Lower Ordovician rock samples were collected from 23 sites located at the Okcheon non-metamorphic zone, near Taeback and Yeongweol areas,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 characteristic magnetic component was obtained from four sites. This stable direction ($Dm=-19.4^{\circ}$, $Im=24.1^{\circ}$) which is carried by hematite of very high temperature $679^{\circ}C$), successfully pass both of reversal test and paleopole reliability test, and is regarded as a primary direction. The remagnetized components can be divided into three on the basis of their characteristic directions and magnetic minerals. The first which is carried by hematite, magnetite and pyrrhotite, is widely found at the whole sites. It shows syn- or post-tectonic remagnetization according to strongly negative fold test and distribution between Mesozoic and present field directions. The second, in situ, is distinguishable from the present field direction. After bedding correction, it is identical to Late Triassic to Early Jurassic direction. Its magnetic carrier is considered to be a single component hematite, which may be acquired by pre-tectonic CRM in the Okcheon orogenic zone. The third, which is carried by magnetite and hematite, is characterized by stable reversed direction. These minerals may be acquired by the thermal or chemical process in unknown period. Paleopole position is $169.2^{\circ}E$ in longitude and $59.9^{\circ}S$ in latitude, which indicates that the study area was located at $12.6^{\circ}S$ in paleo-latitude and belonged to northern end of the Gondwana in Early Ordovicia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