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wifruit

검색결과 215건 처리시간 0.022초

Survey on the Occurrence of Abiotic Diseases on Kiwifruit in Korea

  • Koh, Young-Jin;Lim, Myoung-Taek;Jeong, In-Ho;Kim, Gyoung-Hee;Han, Tae-Woong;Cha, Ju-Hoon;Shin, Jong-Sup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3권4호
    • /
    • pp.308-313
    • /
    • 2007
  • A survey of the occurrence of abiotic diseases on kiwifruit (Actinidia deliciosa) trees was conducted at sixty-two kiwifruit orchards in twenty-one locations of Jeonnam and Jeju Provinces in Korea during the 2007 growing season. Various kinds of abiotic diseases were detected on the kiwifruit trees. Malformed fruits caused by incomplete pollination were commonly observed among the normally growing fruits on almost all of the kiwifruit trees examined. Fruits imbued with wire rust, fruits scratched or girdled by the wire and fruits injured by sunscald occurred in all of the examined orchards. Abnormal growth of girdled branches by the fence wire, dead trees killed by excessive soil moisture due to poor draining and leaf chlorosis by nutrient deficiencies were found in some orchards. Leaf spotting by herbicide and leaf scorch or blight by excessively high temperature were observed. Leaf blight on young shoots by late frost and bark split on trunks by freeze occurred in several open-field orchards. Flooding and strong wind damages by attack of typhoon 'Nari' were also found during the survey period. Cup-shaped leaves frequently occurred on young shoots in early spring and the incidence of the syndrome tends to increase annually in recent years, which are not etiologically defined until now.

Outbreak and Spread of Bacterial Canker of Kiwifruit Caused by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Biovar 3 in Korea

  • Kim, Gyoung Hee;Kim, Kwang-Hyung;Son, Kyeong In;Choi, Eu Ddeum;Lee, Young Sun;Jung, Jae Sung;Koh, Young Ji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2권6호
    • /
    • pp.545-551
    • /
    • 2016
  • A bacterial pathogen,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Psa), is a causal agent of kiwifruit bacterial canker worldwide. Psa biovar 3 (Psa3) was first detected in 2011 at an orchard in Dodeok-myeon, Goheung-gun, Jeonnam Province in Korea. In this study, we present the results of an epidemiological study regarding Psa3 occurrence on kiwifruit orchards in Korea for the period of 2013 to 2015. Since the first detection of Psa3 in 2011, there was no further case reported by 2013. However, Psa3 was rapidly spreading to 33 orchards in 2014; except for three orchards in Sacheon-si, Gyeongnam Province, most cases were reported in Jeju Island. Entering 2015, bacterial canker by Psa3 became a pandemic in Korea, spreading to 72 orchards in Jeju Island, Jeonnam, and Gyeongnam Provinces. Our epidemiological study indicated that the first Psa3 incidence in 2011 might result from an introduction of Psa3 through imported seedlings from China in 2006. Apart from this, it was estimated that most Psa3 outbreaks from 2014 to 2015 were caused by pollens imported from New Zealand and China for artificial pollination. Most kiwifruit cultivars growing in Korea were infected with Psa3; yellow-fleshed cultivars (Yellow-king, Hort16A, Enza-gold, Zecy-gold, and Haegeum), red-fleshed cultivars (Hongyang and Enza-Red), green-fleshed cultivars (Hayward and Daeheung), and even a kiwiberry (Skinny-green). However, susceptibility to canker differed among cultivars; yellow- and red-fleshed cultivars showed much more severe symptoms compared to the green-fleshed cultivars of kiwifruit and a kiwiberry.

양다래 펄프의 향기특성 (Flavor Charateristics in Kiwifruit Pulp(Actinidia chinensis Planch))

  • 이경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42-347
    • /
    • 1999
  • 양다래 과육질 펄프를 14,000 rpm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serum과 불용성 펄프를 분리하였고, serum을 $30{\sim}50mmHg,\;50{\sim}55^{\circ}C$에서 감압농축하면서 농축 초기에 발생하는 증기를 회수하여 방향성분 획분으로 하였다. 방향성분을 serum의 양에 대하여 $0{\sim}10%\;(E-I),\;10{\sim}20%\;(E-II)$로 구분하였다. 또한 양다래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DHC분석법으로 포집하였고, 포집한 향기성분을 동정하기 위하여 GC/MSD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양다래 펄프의 serum 분리비율은 70.1%였으며, 대부분 향기성분들의 분포는 serum 보다 불용성 펄프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E)-2-hexanal, ethyl butanoate 등 총 26종의 향기성분이 확인되었으며, 향기성분의 상대적인 총량은 E-I이 E-II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피크면적과 갯수도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그린키위 품종 헤이워드와 골드키위 품종 해금의 주요 병 발병률 (Incidence Rates of Major Diseases on Green-Fleshed Kiwifruit cv. Hayward and Yellow-Fleshed Kiwifruit cv. Haegeum)

  • 김경희;고영진
    • 식물병연구
    • /
    • 제24권3호
    • /
    • pp.175-181
    • /
    • 2018
  • 2013년과 2014년 자연감염된 과수원에서 재배되는 국산 골드키위 품종인 해금에서 발생하는 궤양병, 세균성점무늬병과 과실무름병의 발병률을 그린키위 품종인 헤이워드와 비교하였다. 2013년과 2014년 P. syringae pv. actinidiae biovar 2 (Psa2)에 자연감염된 키위 과수원에서 함께 재배되고 있는 헤이워드 품종에서궤양병발병률은각각18.5%와17.3%인반면에해금 품종에서 궤양병 발병률은 1.2%와 0%였다. 2013년과 2014년 A. valerianellae에 의한 세균성점무늬병 발병률은 63.5%와 16.2%였으나 해금 품종에서는 전혀 발병되지 않았다. 2013년 관행방식에 의해 함께 재배되고 있는 과수원에서 헤이워드와 해금 품종에서 과실무름병 평균 발병률은 각각 24.2%와 6.3%였으며 2014년에는 각각 20.5%와 4.4%였다. 두 품종 모두에서 과실무름병을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병원균은 B. dothidea로 확인되었다.

매실, 사과 및 참대래의 과실썩음병을 일으키는 Phomopsis mali의 균학적 특징과 병원성 (My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athogenicity of Phomopsis mali Causing Fruit Decays of Japanese Apricot, Apple and Kiwifruit)

  • 이정혜;이두형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9-114
    • /
    • 1998
  • To investigate Phomopsis species causing fruit decays of Japanese apricot, apple and kiwifruit, we collected diseased fruits from the fruit markets in 1995 and 1996 respectively. Phomopsis mali Roberts was identified based on cultural characteristics, morphological aspects and pathogenicity. There were no remarkable differences with respect to $\alpha$ and $\beta$ conidia, growth rates and colony characters among the isolates from Japanese apricot, apple and kiwifruit. The pathogens grew more than 70 mm on potato dextrose agar in 5 days at $25^{\circ}C$. The agar was slightly discolored by the production of a reddish purple pigment under the light at $25^{\circ}C$ and 3$0^{\circ}C$ respectively. Only $\alpha$ spores of the different isolates of P. mali were formed at 15$^{\circ}C$ and $\beta$ spores were mainly produced at 3$0^{\circ}C$, but and $\alpha$ and $\beta$ spores were produced in approximately equal numbers at 2$0^{\circ}C$ and $25^{\circ}C$. Pycnidia were a few under the dark condition but were abundant at wide range of 15~3$0^{\circ}C$ under near ultra violet illumination. Conidia were two types : $\alpha$ spores were unicellar, fusoid, hyaline and biguttulate, whereas $\beta$ sores were unicellar, acicular to filiform, straight or hooked and hyaline. An ascigerous stage was not formed in cultures or in nature. Isolates of Phomopsis mali from japanese apricot, apple and kiwifruit could infect fruits of apple, pear, apricot, Japanese apricot and kiwifrui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pathogenicity depending on stocks of fruit crops tested.

  • PDF

Persistence Study of Thiamethoxam and Its Metabolite in Kiwifruit for Establishment of Import Tolerance

  • Il Kyu Cho;Gyeong Hwan Lee;Woo Young Cho;Yun-Su Jeong;Danbi Kim;Kil Yong Kim;Gi-Woo Hyoung;Chul Hong Kim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55-364
    • /
    • 2022
  • BACKGROUND: Pre-harvest interval and decline pattern of thiamethoxam were determined in kiwifruit using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propose import tolerance using OECD maximum residue limit (MRL) calculator for the export promotion of kiwifruit to Taiwan. METHODS AND RESULTS: The thiamethoxam residue in kiwifruit was determined by using the LC-TriQ-MS/MS with the analytical process to set up the import tolerance under greenhouse conditions for Taiwan. Excellent linearity was observed for all of the analytes with a determination coefficient (R2)≥0.99. The limit of quantification was determined to be 0.01 mg/kg for both thiamethoxam and clothianidin in kiwifruit. Linearity was determined from the co-efficient of determinants (R2) obtained from the seven-point calibration curve. The standard calibration curve showed as follows; 1) Site 1 (Gimje): y = 944,406X + 1,583 (R2=0.9995), 2) Site 2 (Goheung): y = 1,356,205X + 934 (R2=0.9983), and 3) Site 3 (Jangheung): y = 1,239,937X - 3,090 (R2=0.9908). The residue of thiamethoxam in the kiwifruit for three decline trials showed the range of 0.35 to 0.56 mg/kg in site 1 (Gimje), 0.24 to 0.55 mg/kg in site 2 (Goheung), and 0.28 to 0.42 mg/kg in site 3 (Jangheung), respectively. However, clothianidin was not detected in all of the treatments. The maximum residual amounts (decline) in the samples, sprayed according to the safe-use standard for thiamethoxam 10% WG in kiwifruit (30 days before harvest, 3 sprays every 7 days) were 0.56 mg/kg in site 1, 0.55 mg/kg in site 2, and 0.42 mg/kg in site 3,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import tolerance (IT) of thiamethoxam for kiwifruit may be proposed to be 0.9 mg/kg by using the OECD MRL calculator.

파풍망 종류에 따른 키위의 발아, 개화 및 과실 특성 (Budbreak, Floral Bud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Kiwifruit as Affected by Various Windbreaks)

  • 곽용범;김홍림;이목희;이한철;곽연식;이용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69-174
    • /
    • 2017
  • 태풍에 의한 조기낙엽과 같은 바람피해 예방을 위해 키위재배에서 이용되고 있는 파풍망의 종류에 따른 과수원 내 미세기상의 차이 및 과실품질과 이듬해 발아,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국내 키위재배에서 바람피해 예방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5종류의 파풍 소재를 4.3 m 높이의 철재 하우스 골조의 지붕에 피복하였다. 파풍망 종류에 따른 과원 내 광합성유효광선(PAR) 투과량, 연평균기온 등의 미세기상과 저온요구도 충족여부 및 과실특성을 조사, 비교하였다. 모든 처리에서 4~10월 생육기에 연평균 $400{\mu}mol\;m^{-2}s^{-1}$이상의 PAR투과율을 나타내 키위의 최대순동화율에 필요한 광량이 부족하지 않았다. 연평균 기온은 PE필름에서 파풍망에 비해 $1{\sim}2^{\circ}C$높았다. 3가지 모델에 의해 산출된 저온요구도(CU)는 파풍망 종류에 관계없이 1400 CU 이상으로 키위의 발아, 개화에 필요한 저온요구도를 충족하였다. 결과모지 눈의 발아율은 차이가 없었으며, 과중은 PE필름과 백색망 4 mm 피복처리에서 다른 파풍망보다 증가했다. 결론적으로 PAR 투과, 연평균 기온, 과중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PE필름과 백색 4 mm 파풍망이 키위 생산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육성 참다래의 항산화능 및 PC-12 신경세포 보호 효과 (Antioxidant Capacity and Protective Effects on Neuronal PC-12 Cells of Domestic Bred Kiwifruit)

  • 이인일;이봉한;엄석현;오창식;강희;조윤섭;김대옥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2호
    • /
    • pp.259-267
    • /
    • 2015
  • 본 연구는 참다래의 항산화능을 측정하고, 참다래 과육 추출물의 PC-12 세포주에 대한 보호 효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참다래의 총페놀 함량 및 총플라보노이드 함량를 측정하였다. 국내에서 육성 재배 중인 참다래인 해향(Actinidia chinensis cv. Haehyang), 해금(A. chinensis cv. Haegeum), 비단(A. eriantha cv. Bidan), 만수(A. arguta ${\times}$ A. deliciosa cv. Mansoo), 치악(A. arguta cv. Chiak) 등 5품종과 뉴질랜드 유래 헤이워드(A. deliciosa cv. Hayward), 중국 유래 041AE(A. linguiensis accession number 041AE) 포함 총 7품종을 시험에 사용하였다. 참다래의 껍질 추출물은 총페놀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능이 과육 추출물보다 더 높았다. 7품종 중에서 비단 품종 과육이 총페놀 함량과 항산화능이 가장 높았지만,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가장 낮았다. 참다래 추출물의 항산화능은 총페놀 함량과 총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양의 선형적 상관관계를 가졌다. 해향, 해금, 헤이워드 품종은 세포 내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PC-12 세포를 유의적으로 보호하였다. 본 연구는 해금, 해향, 비단 등 국내 개발 육성 참다래가 외래 도입종에 비해 더 높은 항산화능을 갖는다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국내 육성 참다래가 높은 생리활성물질을 제공하는 기능성 소재로 활용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Kiwifruit 과육에 존재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특성과 열안정성 (Properties and Thermostability of Gelatin-degrading Proteinases in the Fruit of Actinidia chinensis (Kiwifruit))

  • 오순자;김성철;고석찬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752-75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단백질분해효소의 산업적 이용을 위하여 kiwifruit 과육 속에 들어 있는 gelatin분해활성을 조사하였다. Kiwifruit 과육에는 3개의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 밴드(PI, PII, PIII)가 관찰되었다. 단백질분해효소 PI은 220 kD, PII는 51 kD, PIII는 26 kD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이들 단백질분해효소 PI, PII, PIII는 모두 pH 2.0~5.0 범위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pH 4.0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들 단백질분해효소 PI, PII, PIII는 모두 cysteine proteinase 저해제인 E-64와 iodoacetate에 의해서 저해되었으며, cysteine proteinase를 촉진하는 DTT, cysteine 및 $\beta$-mercaptoethanol에 의해서 활성이 증가하였다. 그 중 단백질분해효소 PIII는 분자량과 효소의 특성으로 보아 actinidin (EC 3.4.22.14)과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단백질분해효소 PI, PII, PIII는 모두 $Ca^{2+}$, $Mg^{2+}$$Mn^{2+}$에 의해 촉진되었으며 $Zn^{2+}$$Hg^{2+}$에 의해 완전히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Co^{2+}$, $Cu^{2+}$, $Al^{3+}$, $Fe^{3+}$ 등 금속이온의 영향이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Kiwifruit 과육의 단백질분해효소 PI, PII, PIII 중에서 PI과 PII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이 점차 낮아졌으나 PIII는 비교적 안정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PIII는 $50^{\circ}C$ 이내의 범위에서 48시간 경과시에도 75% 이상의 활성을 보여 이 범위의 온도에서는 상당 시간 동안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린키위와 골드키위 과실무름병 예방약제의 적정 살포시기, 간격 및 횟수 (Optimal Spray Time, Interval and Number of Preventive Fungicides for the Control of Fruit Rots of Green and Gold Kiwifruit Cultivars)

  • 김경희;이영선;정재성;허재선;고영진
    • 식물병연구
    • /
    • 제19권1호
    • /
    • pp.1-6
    • /
    • 2013
  • 그린키위 품종 'Hayward'와 골드키위 품종 'Hort16A'가 같은 과수원에서 나란히 재배되고 있는 제주도 서귀포시 성산읍 신산리에 있는 키위 재배농가 포장에서 2009년과 2010년 국내에서 키위 과실연부병(무름병) 방제약제로 등록되어 있는 살균제인 베노밀 수화제 및 지오판 수화제와 키위 재배농가에서 관행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카벤다짐 디에토벤카브 수화제의 적정 살포시기, 살포간격 및 살포횟수를 조사하였다. 약제간 방제효과는 베노밀 수화제,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카벤다짐 디에토펜카브 수화제 순이었다. 개화 전부터 약제를 살포하는 것보다 수정 후 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방제효과가 높았으나 수정 후 약제살포하는 시기가 늦어질수록 방제효과는 낮아졌다. 약제살포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방제효과는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Hayward'와 'Hort16A' 모두에서 과실무름병 방제를 위한 예방약제의 적정 살포시기, 살포간격 및 살포횟수는 수정 후 2주일 간격 4회 처리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