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ey competencies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34초

A Curriculum of a Subject of Enneagram for Developing Key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 Park, Jong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346-351
    • /
    • 2022
  • This paper is to propose a curriculum of a subject of Enneagram which is to be open to develop key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modern day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universities are being called for key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innovation in education. Universities suggested various key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university's founding philosophies. And they have been reorganizing the liberal arts curriculum in a way that it can reinforce key competencies of the students in the aspect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this paper, an example of C university which has 3 key competencies such as, citizenship, character, and creative intelligence was presented. Enneagram is a good candidate for developing self-development which is sub-competency of character.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 구현 양상과 실천 요인에 관한 교육과정 선도교원의 의견 분석 및 논의 (An Analysis of Curriculum Leading Teachers' Opinions on Competencie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its Implications)

  • 임유나;장소영;홍후조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23권1호
    • /
    • pp.5-3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제시하고 있는 핵심역량과 교과역량에 대한 교육과정 선도교원들의 의견을 분석하고, 교육과정 개발과 역량교육 구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 선도교원들은 핵심역량의 도입, 담당 교과의 교과역량 설정과 구현 가능성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으며 총론의 핵심역량이 각 교과의 교과역량과 높은 관련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핵심역량과 교과역량이 교육과정 문서의 면면에 잘 구현되지는 못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역량교육의 구현에 있어서는 역량중심의 교과서 개발이나 컨설팅 장학과 같은 외부적 지원보다는 교사 공동체의 자발적 연구 노력을 가능하게 하는 문화 속에서 학생 참여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교사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가장 큰 관건이 될 것으로 인식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교육목표를 안내하는 항목들과 핵심역량의 관계 정비, 교과역량 설정의 재고, 교육내용-방법-평가에 역량교육의 구체화, 역량중심의 교과서 개발보다는 교사 역량 강화와 교과간 협력을 위한 자발적 노력을 가능하게 하는 지원과 정책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공업계 고등학교 기계공작실습에서 프로젝트 학습법의 적용이 학생들의 직업초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iveness of the Practice for the Arts and Crafts by machine for Project Based Learning upon Improving Industrial High School Students' Key Competency for Vocation)

  • 이영민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24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 고등학교에서 프로젝트 학습법에 의한 기계공작실습이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이와 유사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는 현직교사 및 예비교사들에게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 관심을 둔 직업기초능력은 의사소통 능력, 정보활용 능력, 팀워크 능력, 문제해결 능력, 도구활용 능력, 책임감 및 자신감 영역이었다. 이 여섯가지 영역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주었다. 따라서, 전통적인 실습 방법보다 프로젝트 학습법의 적용이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기초로 공업계 고등학생의 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위해 그리고 후속연구의 질적 제고를 위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문제해결력, 의사소통능력, 정보활용능력과 같은 직업기초능력이 있는 인재들을 효과적으로 양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모색과 활용이 필요하다. 둘째, 공업계 고등학교학생의 직업기초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한 보다 객관적인 검사 도구의 개발이 요구된다. 셋째, 프로젝트 학습법은 학습자들의 전인적 직업기초능력을 함양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에 비추어볼 때, 공업계 고등학교의 수업개선을 위하여 적극적으로 연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와 적용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프로젝트 학습법에 대한 교원연수를 강화하고 다양한 지원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전문대학 조리관련 학과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직업기초능력 기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based on Key Competencies of National Competence Standard(NCS) for Department related Culinary Arts in a 2-Year College)

  • 나태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8-66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priority of educational needs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based on key competencies of NCS for departments related to culinary arts in a 2-year college.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survey has been distributed to cooks working in hotel restaurants or restaurant companies by social network service and a total of 360 responses were analyzed excluding 18 responses. The collected surveys were analysed by using paired t-test, Borich's needs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importance and present level about key competencies recognized by cooks working in restaurant compan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9 fields of key competencies excluding mathematical competence. The difference recognized by cooks working in hot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10 fields of key competencies. Second, the results of Borich's needs assessment showed that the education needs of problem solving competence were the highest, followed by interpersonal, resource management, communication, information competence. Finally, considering both Borich's needs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analysis, cooks working in hotel restaurants recognized that educational needs of communication,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information competence were the top priority, and cooks working in restaurant companies recognized that educational needs of communication, interpersonal, skill, resource management competence were the top prior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curriculum for culinary arts specialists based on key competence of top priority.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에 대비한 핵심역량 재구조화 방안 (Ways of Restructuring Key Competencies for a Revision of Science Curriculum)

  • 곽영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68-377
    • /
    • 2013
  • 본 연구는 향후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에서 다루어야 할 핵심역량들을 재구조화하는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최근 세계 각국에서 미래 사회의 변화된 상황에 맞추어 학교 교육의 방향을 근본적으로 재조정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 개혁의 핵심 키워드로 등장하게 된 것이 핵심역량이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핵심역량 중심의 과학과 교육과정 재구조화를 위한 선결 요건으로 선행연구에서 다양하게 논의되어온 핵심역량 대범주를 재구조화하고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서 제시됨직한 각 영역별 핵심역량 구성요소를 논의하였다. 문헌분석, 전문가 심층면담, 델파이 및 설문조사 등을 통해 핵심역량 대범주 3가지를 (1) 인성 역량, (2) 지적 역량, (3) 사회적 역량으로 구성하고, 각 핵심역량 대범주별로 의미와 특징을 제시하였다. 각 대범주별로 어떤 핵심역량을 선정하고 가르칠 것인지는 교과 및 교사수준에서 전문성을 발휘하여 결정하도록 맡겨둘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론 부분에서는 본 연구에서 논의한 핵심역량 대범주들을 중심으로 향후 과학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할 때 주목할 점을 제안하였다. 향후 과학과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는 인성 역량을 포함하여 핵심역량의 3개 대범주들을 적극적으로 포함시켜야 하며, 핵심역량을 모든 학생들이 도달해야 할 최소 수준의 목표로 설정해야 할 것이다. 또한 과학 주제와 목표 등에 따라 각 대범주별 핵심역량 구성요소와 구성요소들 간의 연계방식이 달라질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학습자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과학과 수업방법 개선 방안 (Research on Ways to Improve Science Teaching Methods to Develop Students' Key Competencies)

  • 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855-86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과학과 수업방법을 탐구하는 것이다. OECD의 DeSeCo 프로젝트를 계기로 핵심역량은 '학생들이 향후 사회적 삶을 성공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로 하는 능력'으로 재정립됨으로써 여러 나라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이 강조되기에 이르렀다. 본 연구에서는 국외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선도국과 국내의 외국인학교 및 국제중학교를 방문하여 관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교과교육 혁신 사례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구현하는 국외 사례수집과 더불어, 각 사례별로 교사 및 학교장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해 요청되는 과학과 수업 개선 방안을 탐색하였다. 외국 사례에서는 학습자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해 과학 수업에서 핵심역량 측면에서 학생들에게 무엇이 기대되는지를 알게 하는 것이 중요하며, 활동과 학생중심 학습을 강조하고, 교과내용 중심의 기존 교육과정에 비해 수업에서 학생들 간의 집단 활동이나 협력을 중시하며, 교과 간 또는 과학영역 간 통합수업이 강조됨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의 과학교사들은 핵심역량은 결국 수업방법을 통해 구현되어야 하며, 과학적 사고력을 길러줄 수 있는 탐구경험을 제공하고, 실제 세계와의 연계를 강조하며, 핵심역량을 체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고, 교과 간 통합수업을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결론 부분에서는 과학과 교육과정이나 수업에 핵심역량을 통합할 경우 예상되는 어려움이나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해결방안을 제언하였다.

NCS 직업기초능력 기반 응급구조(학)과 교양 교과목 편성 연구 (Program design of the education subject curriculum by th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key competencies)

  • 홍성기;고봉연;김수태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7-47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stablish an education curriculum subject program design for th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key competencie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180 level 1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in K area from June 15 to 20, 2016. Except for 14 incomplete questionnaires, 141 data were analyzed. The study instrument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7 items) and importance and satisfaction levels for 10 key competencies including 34 items of subfactors by a Likert 5-point scale using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A locus for focus model (LF model) was used to derive the top priority key competencies for the education curriculum. Data were analyzed by SPSS v. 20.0. Results: The order of education needs of the program included interpersonal competency (1.442), communication competency (1.384), problem solving competency (1.185) and professional ethics competency (1.149). In the LF model, the required jey competencies included interpersonal competency, communication competency, professional ethics competency, and problem solving competency.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coincided with standard education curriculum guidelines. Our resluts can provide a valid reference for th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한국과 뉴질랜드의 화학 교육과정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f Chemistry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New Zealand)

  • 김현정
    • 대한화학회지
    • /
    • 제62권3호
    • /
    • pp.235-242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뉴질랜드의 화학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양국은 교육과정을 통해 핵심 역량을 기르고자 함을 명시하고 있으며, 총론에서 제시한 핵심 역량이 서로 유사하였다. 우리나라는 과학 교과의 핵심 역량을 제시하였는데, 뉴질랜드가 과학의 본성 영역에서 제시한 4가지 성취 목표와 유사하였다. 특징적으로, 뉴질랜드는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NCEA 성취 기준에서 핵심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성취기준들이 별도로 제시하고 이를 내적 평가를 통해 학생들을 평가하고 있었다. 우리나라와 뉴질랜드의 고등학교 화학 과목에서 다루고 있는 개념은 유사하였는데, 화학I 과목의 경우 뉴질랜드의 교육과정 7단계에, 화학II 과목의 경우 뉴질랜드의 7~8단계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국이 다루는 화학 내용에서 차이가 있는 개념은 탄화수소, 이상 기체 방정식, 총괄성, 분광학 데이터의 이해 등이었다.

21세기 핵심역량 신장을 위한 정보교과 중심의 통합 교육과정 전략 탐색 (Exploration of Information Subject-centered Curriculum Integration Strategies for 21st Century Key Competencies Extension)

  • 허민;이태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53-261
    • /
    • 2014
  • 최근 교과 간 통합의 구심점으로 학습자의 핵심역량이 대두되고 있으며, 핵심역량 줌심의 교과 간 통합은 실용적 측면에서 과도한 교육과정 내용에 대한 실제적 대처 방안이며, 교육과정 재구성과 공동 구성을 통해 풍부하고 실제적인 학습 기회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델파이 설문조사로 21세기 핵심역량 신장을 위한 정보교과 중심의 통합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총 3차에 걸쳐 이루어진 조사 결과 핵심역량 신장을 위한 정보교과 중심의 교육과정 통합이 왜 필요하며 어떤 방식으로 가능한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탐색하였다. 정보교과 중심의 통합 교육과정의 목표와 방법, 내용, 평가 등에 대한 전문가들의 합의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로 초 중등학교에 적용할 수 있는 정보교과 중심의 교육과정 통합 전략을 제안한다.

대학 교양교육 혁신을 위한 핵심역량 기반 교양 교육과정 개편에 대한 연구 -C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form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based on key competencies for the innov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ies)

  • 박종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285-290
    • /
    • 2022
  • 4차 산업혁명의 21세기는 산업화 시대에서 요구하던 것과는 다른 '역량'을 새로운 교육적 개념으로 요구하고 있다. 대학에서는 사회의 이러한 변화와 요구에 따라 교양 및 전공 교육에서 기존의 방식을 탈피하여 핵심역량 기반교육과 이를 통한 교육의 혁신을 요구받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대학들은 다양한 재정지원사업을 위해 교양교육을 전면적으로 개편하여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 교양교육 혁신을 위한 교양 교육과정 개편에 대해 C 대학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각 대학들은 대학의 설립이념에 따라 다양한 핵심역량을 제시하고 교양교육 측면에서 핵심역량 강화를 유도할 수 있는 방법으로 교양교육과정을 개편하고 있다. C 대학의 핵심역량 기반 교양 교육과정을 위해 부족한 핵심역량 과목을 개발하여 제안하였고, 교양교육 특성화를 위해 다양한 마이크로디그리를 제안하였으며, 학생들의 기초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메타학습 관련 교양 교과목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