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kaempferol 배당체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6초

Kaempferol, quercetin 및 그 배당체들의 apoptosis 조절을 통한 신경세포 보호 효과 (Neuroprotective Effects of Kaempferol, Quercetin, and Its Glycosides by Regulation of Apoptosis)

  • 김지현;이상현;조은주;김현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286-293
    • /
    • 2019
  • 알츠하이머 질환은 대표적인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뇌 내에서 $A{\beta}$ 단백질 축적은 알츠하이머 질환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amyloid beta ($A{\beta}$)로 손상을 유도한 SH-SY5Y 신경세포에서 kaempferol, kaempferol-3-O-glucoside, quercetin, quercetin-3-${\beta}$-D-glucoside의 신경세포 보호 효과에 대해 검토하였다. SH-SY5Y 신경세포에 $A{\beta}_{25-35}$ ($25{\mu}M$)를 처리하였을 때, 처리하지 않은 normal군에 비해 세포생존율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반면, kaempferol, quercetin 및 그 배당체들을 각각 처리하였을 때 $A{\beta}_{25-35}$만을 처리한 control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세포생존율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또한, apoptosis에 관여하는 cleaved caspase9, Bcl-2-associated X protein (Bax) 단백질 발현을 측정한 결과, normal군에 비해 control군에서 유의적으로 cleaved caspase9 및 Bax 단백질 발현의 증가를 나타내어 $A{\beta}$ 유도 신경세포 손상으로 인한 apoptosis가 유발됨을 확인 하였으며, kaempferol, quercetin 및 그 배당체들의 처리 시 apoptosis 관련 단백질 발현이 감소함으로써 신경세포 보호 효능이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kaempferol, quercetin 및 그 배당체들이 apoptosis 조절을 통해 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며, 신경세포 손상으로 인한 알츠하이머 질환을 예방하는 유용한 소재로써 사용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Chemical Study on the Leaf of Prunus davidiana

  • Park, Jong-Hee;Kim, Jin-Soo;Lee, Jun-Do;Park, Hee-Juh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10
    • /
    • 1997
  • 우리나라 민간약으로서 신경통 및 류마치스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산복사나무(Prunus davidiana)의 잎으로부터 naringenin 및 그 배당체, kaempferol 및 그 배당체, kaempferide glueoside, quercetin glucoside 및 d-catechin을 단리하였다.

  • PDF

홍화(Carthamus tinctorius L.)로부터 활성물질의 분리 (Isolation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the Flower Petals of Carthamus tinctorius L.)

  • 김융희;안은미;방면호;남지연;권병목;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2호
    • /
    • pp.197-200
    • /
    • 1998
  • 홍화 MeOH 추출물의 n-BuOH 분획으로부터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하여 2종의 flavonoid 배당체를 분리, 정제하였다. 화합문의 화학구조를 HMBC를 포함한 NMR, MS, IR과 같은 기기분석 결과와 산가수분해반응을 이용하여 결정, 각각 $3-O-[{\beta}-D-glucopyranosyl(1{\rightarrow}2)\;{\beta}-D-glucopyranosyl]\;kaempferol$$3-O-[{\alpha}-L-rhamnopyranosyl(1{\rightarrow}6)\;{\beta}-D-glucopyranosyl]\;kaempferol$로 동정하였다. 각 화합물은 Grb2-Shc 결합저해활성$(IC_{50}:43,\;47\;{\mu}g/ml)$을 나타내었다.

  • PDF

털조장나무잎의 소염활성 및 Kaempferol 배당체의 분리 (Isolation of Kaempferol Glycoside from Lindera sericea and Anti-inflammatory Effect)

  • 박종철;박주권;김종홍;김성환;김남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19-522
    • /
    • 1996
  • From the leaves of Lindera sericea Bl., kaempferol-3,7-0-di-a-L-rhamnopyranoside was isolated and characterized by spectral data and acid hydrolysis. This compound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The content of kaempferol glycoside was high in May and June, and low in the fall. And the methoanolic extract of title plant showed the inhibitory effect on carrageenin-induced edema.

  • PDF

금강제비꽃 잎의 Flavonoid 배당체(II) (Studies on Flavonoid Glycoside of the leaves of Viola diamantica)

  • 육창수;이우철;문창규
    • 약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24-128
    • /
    • 1989
  • The drug consists of the dried entire plant of Viola diamantica (family Violaceae). It is used for the treatment of acute pyogenic diseases such as boil and carbuncles; also as tumor, high fever, tuberculosis and astringent hemostatic. Two flavonol glycosides have been isolated from the aerial parts of Viola diamantica and could be identifed as kaempferol 7-rhamnoside and kaempferol 3,7-dirhamnoside (bright yellow needle crystal, mp $225^{\circ}$, $C_{27}\;H_{30}\;O_4\;4H_2O$). Kaempferol 7-rhamnoside and kaempferol 3,7-dirhamnoside were first isolated from Viola diamantica.

  • PDF

양마에서 분리한 Kaempferol 및 그 배당체의 항염증 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Kaempferol and Kaempferol Rhamnosides Isolated from Hibiscus cannabinus L.)

  • 이근하;조영롱;주철규;주연정;권순상;박청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426-434
    • /
    • 2011
  •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kaempferol and its rhamnosides isolated from Hibiscus cannabinus L. leaves, we investigated UVB-induced inhibitory effects on inflammatory reaction by measuring the cytokine as the prostaglandin ($PGE_2$), interleukine-6 (IL-6) and interleukine-8 (IL-8).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kaempferol and its rhamnosides on TARC (thymus and activation-regulated chemokine) and $PGE_2$. Kaempferol and ${\alpha}$-rhamnoisorobin showed inhibition activity of TARC generated to compared to positive control. Kaempferol, ${\alpha}$-rhamnoisorobin and afzelin Inhibited the release of $PGE_2$. Also, only kaempferol significantly inhibited interleukine-6 (IL-6), interleukine-8 (IL-8) among UVB-induced inflammatory cytokine.

양마에서 분리한 Kaempferol과 그 배당체의 항균 및 주름억제 효과 (Anti-Microbial and Anti-Wrinkle Effect of Kaempferol and Kaempferol Rhamnosides isolated from Hibiscus cannabinus L.)

  • 이근하;공혜진;조영롱;주철규;권순상;황재성;박청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454-460
    • /
    • 2012
  • In this study, kaempferol and its rhamnosides (${\alpha}$-rhamnoisorobin, afzelin, kaempferitrin) were isolated electively by bioconversion technology from Hibiscus cannabinus L. leaves to evaluate the anti-wrinkles effects and anti-microbial effects. In order to evaluate anti-wrinkles activity, reduction of expression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protein and proliferation/ pro-collagen production were investigated. Kaempferol and ${\alpha}$-rhamnoisorobin showed inhibition activity of MMP-1 generated to compared to positive control. In HaCaT cell proliferation assay, kaempferol and ${\alpha}$-rhamnoisorobin significantly promoted cell prolifera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addition, procollagen synthesis assays (by HDF-N cell) showd that TGF-${\beta}$ induced procollagen production and also, all four kinds of experimental significantly promoted procollagen synthesi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Kaempferol and ${\alpha}$-rhamnoisorobin exhibite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ies on five of microbe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Candida albicans and Aspergillus niger.

식용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XII. - 꽃마리(Trigonotis peduncularis Benth.)로부터 Flavonol 배당체의 분리 및 hACAT1 저해활성 - (Deveo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XII. - Flavonol Glycosides from Trigonotis peduncularis Benth and its hACAT1 Inhibitory Activity -)

  • 양혜정;송명종;방면호;이진희;정인식;이윤형;정태숙;권병목;김성훈;김대근;박미현;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1호
    • /
    • pp.98-102
    • /
    • 2005
  • 꽃마리를 80% MeOH로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H_2O$로 용매 분획하였다. EtOAc와 n-BuOH 분획에 대하여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하여 4종의 flavonol 배당체를 분리하였다. 각각에 대하여 2D-NMR을 포함한 스펙트럼 데이터의 해석과 문헌 자료를 조사하여 $kaempferol-3-O-{\beta}-{D}-glucopyranoside(astragalin),\;kaempferol-3-O-{\alpha}-{L}-rhamnopyranosyl(1{\rightarrow}6)-{\beta}-{D}-glucopyranoside(nicotiflorin),\;quercetin-3-O-{\alpha}-{L}-rhamnopyranosyl(1{\rightarrow}6)-{\beta}-{D}-glucopyranoside(rutin),\;quercetin-3-O-{\beta}-{D}-glucopyranoside(isoquercitrin)$로 구조를 결정하였다. 이 화합물들은 꽃마리에서는 이번에 처음 분리, 보고되었다. 또한 $nicotiflorin(100\;{\mu}g/ml)$은 hACAT1에 대하여 $68.3{\pm}1.2%$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Flavonoids 및 그 배당체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신경교세포 보호 효과 (Effects of Flavonoids and Their Glycosides on Oxidative Stress in C6 Glial Cells)

  • 김지현;김현영;조은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2호
    • /
    • pp.1371-1377
    • /
    • 2019
  • 뇌에서 과량의 reactive oxygen species (ROS) 생성에 의해 유발되는 산화적 스트레스는 알츠하이머 질환과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kaempferol, kaempferol-3-O-glucoside, quercetin, quercetin-3-β-D-glucoside와 같은 flavonoid와 그 배당체의 H2O2 유도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C6 신경교세포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H2O2만을 처리한 control군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normal군에 비해 세포 생존율 감소와 ROS 생성 증가를 통해 C6 신경교세포의 산화적 손상이 유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4가지 flavonoid를 각각 처리한 군의 경우, H2O2를 처리한 control군에 비해 세포 생존율 증가와 ROS 생성 감소를 통해 산화적 손상 억제를 통한 신경교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Flavonoid의 신경교세포 보호 작용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해,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cyclooxygenase-2 (COX-2), and interleukine (IL)-1β 등의 염증 관련 단백질 발현을 측정하였다. H2O2를 처리한 control군은 normal군에 비해 iNOS, COX-2, IL-1β 단백질 발현 증가와 IκB-α 발현 감소를 통해 신경교세포의 산화적 손상으로 인한 염증 반응을 확인하였다. 반면, 4가지 flavonoid를 각각 처리한 군의 경우 iNOS, COX-2, IL-1β 단백질 발현 감소와 IκB-α 발현 증가를 나타내어, 염증 반응 개선을 통한 신경교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특히, quercetin과 그 배당체인 quercetin-3-β-D-glucoside를 처리한 군은 kaempferol과 그 배당체인 kaempferol-3-O-glucoside를 처리한 군에 비해 우수한 신경교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4가지 flavonoid가 신경교세포에서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를 통해 신경퇴행성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