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inted concrete pavement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34초

콘크리트 포장의 다웰바 전단거동 실험 (Stiffness Test of Dowel Bar for fainted Concrete Pavement)

  • 양성철;최재곤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81-8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포장의 디웰바 전단시험 절차와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PC 스프레드시트에서 다웰바의 지지력계수와 전단 스프링 강성계수를 산정하는 절차를 제시하였다. 세 개의 시험체를 통해 AASHTO의 다웰바 전단시험을 수행하여 콘크리트 포장의 불연속면에서의 전단거동을 모사하였다. 예비실험을 통해 발생한 비틀림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측면 고정대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초기하중에서의 하중의 재하(loading), 제하(unloading), 재재하(reloading)를 반복수행한 결과 탄성적인 거동을 보여준다. 그러나 전체 하중 범위에서는 다웰바의 지지력계수 또는 전단 스프링 강성계수는 슬래브의 상대 처짐 또는 재하하중에 따라 비선형으로 거동함을 보여준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다웰의 지지력계수는 550-880GN/m3으로서 Yoder와 Witczak이 제안하는 407GN/m3보다는 1.4-2.2배가 크게 산정되었다. 이는 측면 고정대를 사용함으로서, 실험시 예상되는 비틀림 변형이 기존의 실험에 비해 적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다웰의 지지력계수 또는 전단 스프링 강성계수는 다웰바를 이용한 콘크리트 불연속면의 구조해석 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추운 지역의 스폴링 파손 사례에 관한 연구 (A Case Study on Spatting Distresses in Cold Regions)

  • 홍승호;유태석;권순민;정진훈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79-89
    • /
    • 2005
  • 매우 큰 규모의 스폴링 파손이 집중적으로 발생한 강원도 영서지방 영동고속도로의 줄눈 콘크리트포장에 대하여 현장 및 실내 조사를 수행하였다. 현장에서 육안으로 스폴링 파손 상태를 조사하였으며, 코어를 채취하여 실내에서 할렬 인장강도, 공극률, 그리고 중성화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스폴링 파손에 의하여 포장의 구조적 성능이 저하되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줄눈부에서의 하중전달률과 슬래브 중앙에서의 동적지지력을 측정하였다. 조사구간의 콘크리트 슬래브는 공극률이 상당히 낮아 동결융해 작용에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이로 인하여 겨울철 대기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조사구간에서 상당히 큰 규모의 스폴링이 다수 발생한 것으로 결론지어졌다.

  • PDF

시공방법에 따른 다웰바 시공상태 분석 (Analysis of Dowel Bar Placement Accuracy with Construction Methods)

  • 이재훈;김형배;권순민;권오선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101-114
    • /
    • 2007
  • 줄눈 콘크리트 포장에서 다웰바는 하중을 전달해주는 역할과 단차를 감소시켜줌으로써 궁극적으로 포장의 공용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다엘바의 시공상태가 불량할 경우에는 오히려 줄눈잠김 등을 유발하여 스폴링이나 균열을 초래하여 공용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다웰바의 시공방법은 다웰바 어셈블리 시공방법과 다웰바자동삽입기를 이용한 시공방법이 있는데 국내에서는 어셈블리를 이용한 시공방법만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파괴 조사장비인 MIT-SCAN2를 이용하여 한국도로공사 시험도로에 시공된 다웰바자동삽입 시공구간과 다웰바 어셈블리 시공구간에 대한 다웰바 시공상태 및 Joint Score와 Running Ave. Joint Score를 산출하여 비교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다웰바자동삽입 시공방법이 다웰바 어셈블리 시공방법에 비해 깊이변화, 수평/수직엇갈림에서 매우 우수한 시공상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줄눈잠김의 위험 또한 다웰바 어셈블리 시공방법에 비해 매우 낮다는 점을 발견했다. 또한 국내 다웰바 어셈블리 시공방법의 문제점을 다웰바 어셈블리의 생산, 보관, 시공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문제점 분석을 토대로 다웰바의 체어형태, 고정방법을 개선하여 시험시공을 수행한 결과, 모든 시공상태 항목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수평/수직엇갈림이 크게 개선되어 줄눈잠김에 대한 위험성이 줄어듦을 알 수 있었다.

  • PDF

인천국제공항 줄눈콘크리트 슬래브의 초기재령 특성분석 (Analysis of Early-age Property of JPCP Slab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 썬런쥬안;정진훈;천성한;임진선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7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335-339
    • /
    • 2007
  • 줄눈콘크리트 슬래브의 초기 재령특성 분석을 위하여 인천국제공항 건설 현장에 설치된 슬래브에 온도와 습도를 측정 후 해석하였다. 성숙도 방법을 이용하여 결정한 콘크리트 슬래브의 초기경화시간은 콘크리트 타설 후부터 약 2시간 40분이었다. 콘크리트 슬래브 변형률의 변화는 초기경화 시간 이후부터 시작되었고, 이는 센서가 설치된 각 위치와 깊이에서 서로 다른 값을 나타냈다.

  • PDF

줄눈콘크리트포장의 하중응력분포 해석 (Stress Distribution Analysis of Jointed Concrete Pavements)

  • 박제선;이주형;김태경;윤경구
    • 산업기술연구
    • /
    • 제18권
    • /
    • pp.363-370
    • /
    • 1998
  • This stud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an alternative stress estimation procedure to instantly calculate the critical stresses bonded concrete pavement. Closed form analysis is commonly used to analyze pavement structures. This type of analysis assumes linearelastic material properties and static loading conditions. The well-known ILLI-SLAB finite element program was used for the analysis. Bonded concrete overlay analyzed the stress distribution, behavior and load carrying capacity under track load is made evaluation standard of bonded concrete overlay. In the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 The properties of strength is that compress and 3-point bending strength of existing pavement is deteriorated with $184kg/cm^2$, $59kg/cm^2$ but compress and splitting tensile strength of overlay is satisfied with $465kg/cm^2$, $45kg/cm^2$. Load transfers is happen at adjacent slab by interlocking under track load. The stress distribution under interior, corner and edge load is described high loading position surrounding then loading position.

  • PDF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줄눈콘크리트 포장의 다웰바 최적배치에 대한 연구 (Study on Dowel-Bar Optimum Position of Jointed Concrete Pavement Using 3-D FEM Analysis)

  • 전범준;홍성재;이승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2D호
    • /
    • pp.135-141
    • /
    • 2010
  • 국내 줄눈콘크리트 포장 다웰바의 경우 합리적 근거가 없이 경험에 의하거나 국외의 기준에 의해 설계시공되고 있다. 다웰바를 합리적으로 설계하기 위해서는 다웰바 거동에 대한 고찰이 요구되며 이에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다웰바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해서 다웰바의 3차원 유한요소해석과 다웰바 거동에 대한 대표적인 모델인 Timoshenko 이론을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웰바의 사이즈 및 배치에 대한 합리적인 설계를 하기 위해서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사용하여 다웰바의 그룹작용(Dowel Group Action) 범위와 차량바퀴의 주행경로(Wheel Path)분포를 고려하여 슬래브 처짐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다웰바 최적배치를 제시하였다.

일반국도의 교통소음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raffic Noise Characteristics on the National Highways)

  • 손현장;안덕순;백철민;권수안;이재준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11-18
    • /
    • 2013
  • PURPOSES : This study presents the noise level 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investigated in the national highways with the consideration of various measuring conditions and/or methods. METHODS : The noise levels on the asphalt concrete pavement(ACP) and the jointed plain concrete pavement(JPCP) of the national highway were measured and analysed with respect to three variables, i.e., pavement type, surface condition, and measurement distance. The PASS-By method is utilized for the noise measurement and then using CPB spectrum analysis method with 1/3 octave bandwidth, the noise levels 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were calculated for two-second periods before and after the peak noise. RESULTS : Depending on the pavement type, the noise level was changed as the average noise levels are 73.3dB(A) and 78.3dB(A) for ACP and JPCP, respectively. With respect to the effect of surface condition, the average noise levels for crack H(high), M(medium), and L (low) sections are 77.4dB(A), 77.4dB(A), and 78.1dB(A), respectively. Regarding the measurement distance, 1.2meter difference in measuring location reduces 1.6dB(A) of noise level; the average noise levels at 5.3m and 7.5m from the centerline of outer lane are 72.8dB(A) and 71.2dB(A), respectivel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noise levels are slightly different as a function of vehicle speed and type. However, the overall trends for each case was similar. It was found that the domain frequency bands for ACP and JPCP were 400Hz~2000Hz and 500Hz~2000Hz, respectively. CONCLUSIONS : Based on the analysis with the measured noise date from national highway, it was concluded that the noise level and frequency band vary depending on the various conditions. It was also found that some variables significantly affect the noise level while others do not. With further systematic investigation, the comprehensive noise characteristics on the national highway can be achieved. Using such database, it is possible to develop the fundamental noise reduction technology.

FWD를 이용한 줄눈 콘크리트포장 컬링거동 보정방법의 타당성 연구 (Feasibility Study on Calibration Method of Curling Behavior in Jointed Concrete Pavement Using Falling Weight Deflectometer)

  • 유태석;이재훈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155-162
    • /
    • 2006
  • 시험도로 줄눈 콘크리트포장에 대하여 48시간 동안 시간에 따른 처짐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컬링거동의 보정방안을 도출하였다. 임의 시간 슬래브의 중앙 처짐/줄눈 처짐이 임의 시간 중앙 처짐/기준 시간 중앙 처짐 사이의 관계를 회귀분석을 통해서 얻어내었다. 임의시간에 측정된 처짐으로부터 하루 가운데 최소 처짐이 나타나는 기준시간 처짐으로의 변환은 회귀곡선을 통해 추정 하였고 데이터 축적을 통해 컬링거동 보정 방안의 하나로 제시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콘크리트포장에서 하중전달효과 영향인자 연구 (A Study on Effect Factor of Load Transfer Efficiency in Concrete Pavement)

  • 양홍석;서영찬;권수안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3권3호
    • /
    • pp.147-158
    • /
    • 2001
  • 콘크리트포장의 구조적 능력을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는 하중전달효과이다. 하중전달효과는 슬래브 상 하부 온도차, 다우월바 시공여부, 포장 노후도, 그리고 균열틈 등에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콘크리트 포장의 하중전달효과 특성을 파악하고 하중전달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정량화하고 적절한 하중전달효과 조사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하중전달효과는 슬래브 표면온도가 아닌 슬래브 평균온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중전달효과는 온도가 내려가고 균열틈이 벌어질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우월바를 시공한 구간의 경우 온도변화에 따라 하중전달효과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다우월바를 시공하지 않은 구간에서는 온도가 내려갈수록 하중전달효과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다우월바를 시공한 구간이라도 포장이 노후화되면 하중전달효과는 온도가 하락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대상 구간에서는 슬래브 단위온도 하락시 하중전달효과는 1.4%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