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 stress

검색결과 2,061건 처리시간 0.027초

자기위로능력이 청소년상담사의 직무환경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 효과 (Mediating Effect of Self-Soothing Ability in Relationship of Youth Counselors' Job Environment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 이영애;변상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238-249
    • /
    • 2015
  • 본 연구는 자기위로능력이 청소년상담사의 직무환경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5년 5월 5일 충남 청주에 소재한 한국교원대학교에서 개최된 청소년 상담 학술대회에 참가한 전국 공공기관 상담실, 학교상담실, 대학부설 상담실, 일반 기업상담실 등 청소년상담 현장에서 활동하는 경력이 풍부한 전문상담사와 수련감독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최종 분석에는 113부의 설문지가 사용되었으며, SPSS v.20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과 근무조건은 직무환경 스트레스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직무환경 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도전기회의 부족'과 '역할모호성'이 심리적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기위로능력 중 '회복력'과 '자기노출'이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직무환경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이 매개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경력이 풍부한 청소년상 담사들은 물론 전반적인 상담사의 심리적 소진에 대처할 수 있는 대안 개발을 위한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Self-esteem and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 정연옥;심규범;이명선;남철현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65-78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elf esteem and stress of students at their universities for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related to school life and guidance. Methods: The survey were carried out in 5 universities located in Gyounggi Do, Gyungbuk Do, Busan city and Daegu city from 2014. October 1. to November 30. Out of a total of 500 Questionnaires answered by 500 students, 489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with SPSS version 12.0. Results: The total mean of the self esteem point of college student's school living was $3.41{\pm}0.44$ points. The total mean of the general stress point of college students was $2.67{\pm}0.52$ points. Affecting factors of the self-esteem of subjects(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important things of school living(p<0.05), human and friendship(p<0.05), protector's job(p<0.001), home economic states(p<0.001), and friendship(p<0.001). Based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ffecting factors of the stress of subjects were important things of school living(p<0.05), human and friendship(p<0.05), religion(p<0.001), protector's job(p<0.001), friendship(p<0.001), and arbeit job(p<0.05).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help to provide a basis for development of a strategy to improve the self-esteem and solve problems of stress for university students. Also relevant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by related authorities and universities.

한 대학병원 근무자의 신체 부담과 근골격계 증상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ysical Burden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on Job Stress in Hospital Workers)

  • 김동현;채유미;김희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6782-6792
    • /
    • 2014
  • 본 연구는 일개 대학병원 근무자 679명을 대상으로 신체 부담과 근골격계 증상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으로는 여성, 저연령층, 미혼, 교대근무자, 8시간 이상 근무자, 근무 경력이 낮은 군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직무 스트레스 수준은 비흡연(p=0.000), 운동을 하지 않는다(p=0.022) 및 비음주(p=0.038)에서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수로 정신적 피로, 근골격계 증상, 피로수준 및 결혼상태가 직무스트레스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결론적으로 육체적 작업부담과 직무스트레스간의 쌍방향성 상승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정신보건시설 근무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Mental Health Facility Workers)

  • 장미영;김창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370-382
    • /
    • 2020
  • 최근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실태조사에서, 이직의도가 54.5%로 보고되어 전문인력관리가 매우 시급한 현실이다. 본 연구는 정신보건시설 근무자의 직무 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에 소재하고 있는 정신보건시설 근무자 중 250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으로 SPSS 21.0을 사용하여 매개효과 및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신보건시설 근무자의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정신보건시설 근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있어서 긍정심리자본(희망, 낙관주의)은 유의미한 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산업재해방지를 위한 한국형 생활변화단위 모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Korean Life Change Unit Model for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 강영식;양성환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6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1-8
    • /
    • 2006
  • By the effect of globalism and information the workplace environment is complicated and diversified little by little. The job stress due to the life style, the idea and culture, and the automated facility system etc. is to a tendency which compared to increase more. It will not be able to prevent a industrial accident basically because the oriental and western life style is different.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the Korean life change unit model through statistical testing in order to minimize industrial accident with the proposed life change unit factors on the workers living In the middle area. Finally, the analytical result of this paper can be easily used in order to minimize the industrial accidents by the job stress with the worker and the occupational safety & health manager in real fields.

  • PDF

심리사회적 요인과 근골격계질환 증상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social Factors and Symptoms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 이윤근;박희석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5-25
    • /
    • 2003
  • Recent studies indicate potential links between various psychosocial factors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MSDs). In this research, the effects of job stressors on the WMSDs symptoms were investigated using questionnaire in the largest automotive company in Korea. It was found that perception of workload, over time and shift work, and working using powered hand tools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the symptoms of WMSDs, along with smoking habit, periodic exercis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actical applications of this research include practitioners taking into account psychosocial work factors and job stress in their efforts to reduce and control WMSDs.

경찰공무원의 스트레스 관리에 관한 연구 - 의료 및 조직보건 모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ealing with the Stress of Police Officer - Focused on Medical Model and Organizational Health Model -)

  • 이황우;최응렬;정우일
    • 시큐리티연구
    • /
    • 제13호
    • /
    • pp.403-422
    • /
    • 2007
  • 사람들은 스트레스라고 하면 보통 부정적인 측면만을 생각하곤 하는데 스트레스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고 부정적인 측면도 있다.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스트레스는 변화로부터 기인한다. 변화는 삶에 있어서 필연적인 것이다. 결국 사람들은 어쩔 수 없이 스트레스를 경험할 수밖에 없다. 경찰이라는 직업은 업무 특성상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직업들 중의 하나이다. 경찰업무는 신체적${\cdot}$감정적인 긴장 상태에 이르게 함으로써 경찰공무원들의 스트레스를 유발시킨다. 위험, 좌절, 과도한 업무부담, 가족 및 동료 그리고 주민들의 이해 부족은 경찰공무원의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는 요인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뉴욕에 본부를 둔 미국 스트레스 연구소는 경찰을 스트레스가 가장 많은 10개 직업들 중 하나로 선정하기도 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의료 모델과 조직보건 모델의 관점에서 경찰공무원의 스트레스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의료 모델에서는 경찰공무원 개인적 차원에서 제거, 대처, 상담을 통한 스트레스 관리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조직보건 모델에서는 경찰관리자의 차원에서 첫째, 인사제도의 합리화, 둘째, 복지 증진, 셋째, 경찰조직의 민주적 운영, 넷째, 원만한 대민관계 유지, 다섯째, 경찰공무원 가족을 위한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개발 등을 제시하였다.

  • PDF

지하철 역무직 근로자의 주간수면과다증 영향 요인 (The influential Factors of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for public Service Workers at Subway Stations)

  • 최숙경;정은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2호
    • /
    • pp.225-233
    • /
    • 2015
  • 본 연구는 서울시내 소재 지하철 역무직 근로자 927명을 대상으로 주간수면과다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로 웹사이트에서 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일반적 특성에서 결혼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건강관련특성에서 취미/여가 활동 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직무관련특성에서 근무장소, 소속만족도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직무스트레스 요인으로 물리적 환경, 직무요구, 직무자율, 관계갈등,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조직문화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주간수면과다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취미여가활동, 소속만족도, 물리적 환경, 직무요구, 직무자율, 조직체계, 조직문화 이었으며 20.5%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향후 역무직 근로자들에게 주간수면과다증을 예방할 수 있는 취미/여가활동의 권장과 직무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물리적 환경개선, 조직체계의 변화 및 조직문화의 만족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을 제안한다.

직무요구와 직무자원이 병원행정직 간호사의 소진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ob Demand and Job Resources on Burnout and Work Engagement of Hospital Nurse Administrators)

  • 차우정;김숙영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62-272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job demand, job resources, burnout,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administrative nurses based on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Further, it seeks to confirm the influencing factors affecting nurses' burnou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88 administrative nurses working at hospitals (one tertiary hospital and six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D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IBM SPSS Statistics 23.0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s,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influential factors of burnout were role conflict (β=.50), job demand (β=.18), job position (β=-.17, team leaders and above), and social support (β=-.15). The regression model had an explanatory power of 59%. The influential fa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appropriate rewards (β=.59), job position (β=.15, team leader or above), working department (β=.14, referral center and health screening administration department), and social support (β=.18). The regression model had an explanatory power of 59.5%. Conclusion: The results support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and interventions should be developed to decrease job demand and provide sufficient job resources.

10개월 이하 영아를 둔 취업모의 양육지원체계, 자녀가치관 및 심리적 안녕감이 둘째아 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 Care Support, Value of Childre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Second Childbirth Plans for Employed Mothers with An Infant of 10 Months or Younger)

  • 박찬화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5-111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athways of factors affecting 173 employed mothers' second childbirth plans. Participants were all employed working mothers with an infant under 10 months old. The hypothetical model used in this research proposed that workplace childcare support, social support, value of children and parenting stress of employed mothers will directly affect second childbirth plans. Additionally, workplace childcare support, social support, value of children, marital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will indirectly influence second childbirth plans as a result of parenting stres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demonstrated that value of children and parenting stress were the factors which directly affected second childbirth plans of employed mothers. In addition, workplace childcare support, social support, marital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indirectly influenced second childbirth plans as a result of parenting stres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workplace childcare support and the need for enhancing the value of children. This research further suggests the need for policies aimed at increas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creasing parenting stress for working mothers who are contemplating second childbirth pl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