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 evaluation

검색결과 848건 처리시간 0.025초

기업 교육훈련의 전략적 평가 (Strategic Evalua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In An Enterprise)

  • 권호일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17권31호
    • /
    • pp.11-20
    • /
    • 1994
  • In these days, as human resource development is emphasized in an enterprise,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which is the means to practice is gradually increased. Because people wants to know the effects compared to the cost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in several years. Therefore, in this paper, I testified to a contribution about the strategic purpose of the functions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and I represented several strategies to practice it Through these strategies. the department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is getting know that how much does the education and training affect a prodectivity and a profit in offering service. And I also represented that it can be applied soft system analysis in developing concept model of ways of doing things. This analysis explains detaily the job performance skills which needs in each constituent element of system. The education and training can develop the ways of improving the job performance skills. The job performance skills affect a productivity and a profit. Finally, increasing of a profit due to the education and training represents the contribution of the strategic purpose and emphasize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for it. The education and training have to be considered the development of the marketing plan. If the prefects of the department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help their strategic purpose achievement, other departments can be given the services offering the education and training. The education and training measures the effects, embodies them and needs to be more sensitive making datas of the success cases.

  • PDF

중등단계 공업계열 직업교육기관 교사의 직무 인식 (A Study on the Job Specifications of Teachers Working at Secondary Level Technical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es)

  • 이찬주;이병욱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30-52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단계 공업계열 직업교육기관 교사의 직무(직무 영역과 영역별 직무 내용)를 구명하고, 구명된 직무에 대해서 교사가 인식하는 직무 중요도, 곤란도, 수행 빈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중등단계 공업계열 직업교육기관 교사의 직무를 도출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을 고찰하여 이론적으로 구안하였다. 구안된 직무의 내용을 현장 교사 전문가 16명과 교사 교육 전문가 3명의 검토를 통하여 직무 모형을 완성하였다. 직무 모형을 바탕으로 최종 조사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조사 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단계 공업계열 직업교육기관 교사의 직무 영역은 7개(중영역 포함 10개)로 교과지도, 학생지도, 학급 경영, 교육과정 편성 운영, 교무 행정 업무, 대외 협력 및 현장 실습지도, 전문성 신장으로 구성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교과지도 영역은 수업 준비 및 계획, 수업 운영, 학습 평가 3개 영역, 학생지도 영역은 교과외 학생지도, 생활지도 2개 영역, 학급 경영, 교육과정 편성 운영, 교무 행정 업무, 대외 협력 및 현장 실습지도, 전문성 신장으로 공업계열 직업교육기관 교사의 직무 영역은 총 7개 영역(중영역 포함 10개 영역)의 46개 하위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중등단계 공업계열 직업교육기관 교사가 인식하는 직무 중요도는 4.10으로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곤란도는 3.45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수행 빈도는 3.12로 보통 수준(한 달에 1-3회 정도 수행)으로 나타났다. 직무 중요도가 높은 영역은 학습 평가(4.32), 수업 준비 및 계획(4.28), 전문성 신장(4.27), 수업 운영(4.26), 생활지도(4.25), 학급 경영(4.17), 대외 협력 및 현장 실습지도(4.12) 영역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곤란도가 높은 영역은 대외 협력 및 현장 실습지도(4.07), 교육과정 편성 운영(3.73), 전문성 신장(3.55), 생활지도(3.48), 학습 평가(3.35), 교과외 학생지도(3.22) 영역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직무 수행 빈도가 높은 영역은 학급 경영(3.88), 수업 운영(3.77), 생활지도(3.52), 교무 행정 업무(3.40), 수업 준비 및 계획(3.17) 영역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Kirkpatrick 평가모델을 활용한 사서교사 계속교육 효과 측정 연구 (A Study on Measuring the Effects of Continuing Education of Librarian Teachers Using Kirkpatrick Education Model)

  • 오의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95-311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Kirkpatrick 교육평가모형을 활용하여 사서교사의 계속교육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측정하는데 있다. 2022년 하계 『사서교사 1급 정교사 자격연수』에 참여한 사서교사 136명을 대상으로, 3단계의 교육평가를 진행하였다. 1단계는 교육 전반에 관한 만족도 조사이며 교육 후에 조사되었으며, 2단계와 3단계는 교육 전과 교육 후에 조사하였고, 전후 차이 분석으로 실질적인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2단계는 학습평가이며 3단계는 직무역량향상 평가이다. 연구 결과 모든 단계에서 높은 측정 점수가 산출되었고, 2단계 학습평가에서 교육의 전후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3단계 직무역량향상평가에서는 교육 후에 점수가 하락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2단계 평가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평가모델이 보완되고, 유효한 결과가 나올 수 있는 균형 있는 교육과정의 설계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납기지연 최소화를 위한 작업상 비교할당규칙 (Job-Pair Tardiness Dispatching Rule for Minimize Total Tardiness)

  • 전태준;박성호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6-219
    • /
    • 1998
  • This study proposes JPT(Job-Pair Tardiness) that choose operation to be expected to generate better schedule consequence in comparing schedulable operation sets in pair to minimize total tardiness evaluation function in performing scheduling. In result of comparison with existing assignment rules. JPT generates better solution than most other rules in all kinds of problems. So it is anticipated that this is used for initial solution of heuristic and is used for finding more improved solution.

  • PDF

지능형 제어기법에 의한 생산 계획 설계 (Design of the intelligent control-based job scheduler)

  • 이창훈;서기성;정현호;우광방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89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 Seoul, Korea; 27-28 Oct. 1989
    • /
    • pp.286-289
    • /
    • 198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ign a job scheduling algorithm utilizing intelligent control technique. Rulebase is built through the evaluation of rule-set scheduling. 24 scheduling rule-sets and meta-rules are employed. An appropriate scheduling rule-set is selected based on this rulebase and current manufacturing system status. Six criteria have been us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scheduling. The performance of sheduling is dependent on random breakdown of the major FMS components during simulation.

  • PDF

한국 집배원 유니폼의 개선요소 분석 (Evaluation of Korean Mail Carrier Uniforms for Improvement of Essential Aspects)

  • 전경애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21-226
    • /
    • 2003
  • This study evaluates the problems with various aspects of Korean mail carrier uniforms. It is sponsored by the as part of a 2002 research project. This research project is 'A study on mail collection and delivery environment based on ergonomics'. One of the most urgent tasks to create a better work environment is improvement of mail carrier uniforms. Improved uniforms will result in improved job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제조시스템의 가공시간 최소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inimizing Processing Time of Manufacturing System)

  • 김성희;하정진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17권30호
    • /
    • pp.167-175
    • /
    • 1994
  • Generally, queueing networks, networks, chains and simulation techniques are among the most widely used evaluation tools to study computer systems, manufacturing systems etc. But, these tools have some assumptions and difficulties. So, this thesis presents a method for manufacturing system using Petri nets. Petri nets are a graphical and mathmatical modeling tool and are promising tool for describing and studying systems that are characterized as being concurrent asychronous, dynamic, distributed and parrallel. It designs Petri net model for processing time of manufacturing system And it applied to a job shop system composed of 8 machines and 4 different job types.

  • PDF

해기사 직무스트레스 측정 및 관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Mobile Application for Ship Officers' Job Stress Measurement and Management)

  • 양동복;김주성;김득봉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66-274
    • /
    • 2021
  • 해기사의 과도한 직무스트레스는 신체적, 정신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로 인한 이직은 원활한 해기인력 수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기사의 체계적인 직무스트레스 측정 및 관리를 위한 도구로써 모바일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품질평가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은 전통적인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인 Waterfall 모델에 따라 수행되었다. 요구분석 단계에서는 현직 해기사 및 해상직원 인사담당자 각 5명을 대상으로 Brain Storming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설계에 반영하였다. 설계 및 개발 단계에서는 요구사항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JSP와 Spring Framework를 활용하여 기능을 구현하였다.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Test를 수행한 결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입력한 직무스트레스, 정신건강, 진로적응성 등 입력 데이터에 따른 정상적인 출력 결과가 도시되었으며, 관리자 인터페이스에도 응답자의 입력 결과가 정상적으로 도시되고,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됨을 확인하였다. 요구사항 분석 참여 집단을 대상으로 ISO/IEC 9126-2 메트릭 기반의 5점 척도 품질평가를 시행한 결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4.70점, 관리자 인터페이스 4.72점으로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요구를 반영한 지속적인 개정 및 보완이 필요하며, 향후 수집된 Data의 분석 및 활용을 위한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사회복지 전담 공무원 제도 과연 필요한 것인가? (Is It Necessary for Government to Recruit Professional Social Welfare Workers?)

  • 송근원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8권
    • /
    • pp.271-301
    • /
    • 2002
  • This paper is to provide the legitimacy of the recruit system of professional social welfare workers in public sector with government by analyzing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supervisors. In order to evaluate the public welfare workers recruit system, 500 supervisors are selected randomly from the universe of 2,880 supervisors working in the public welfare field. They are not a professional social worker, but an administrative supervisor in hierarchical structure. Among them 302 supervisors give their views on the recruit system, social welfare workers' job achievement, job attitude, ability, and professional values. They assess the workers' job achievement very positively, which are affected by job attitude, ability, and professional values. They agree that it is very valuable to exist the recruit system of professional social welfare workers in public sector, because it has contributed to increasing the workers' job achievement level in the public welfare field. This study concludes that it is successful to adopt the recruit system of social welfare workers in public sector, and suggests that the system be developed further in public welfare field. Besides, this paper insists that professional public welfare workers recognize that they are one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nd they work together with administrative staffs.

  • PDF

온디맨드 거버너 정책에 따른 작업 스케줄링 기법의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Job Scheduling Techniques Incorporating the Ondemand Governor Policy)

  • 탁성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2213-2221
    • /
    • 2015
  •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 플랫폼에서 사용하는 온디맨드 거버너 (Ondemand Governor)는 CPU 사용률(Utilization)에 따라 CPU 동작 주파수를 조절한다. CPU 사용률의 변화량은 작업 스케줄링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CPU 동작 주파수 증감에 따라 스마트 폰의 전력 소비량도 증감한다. 따라서 작업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 변하는 CPU 사용률 및 동작 주파수는 스마트폰의 전력 소비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온디맨드 거버너 정책을 작업 스케줄링 기법에 적용시켜 CPU 사용률 및 전력 소비, 그리고 작업 마감시한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