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javanica

Search Result 23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Effects of Temperature and Culture Media Composition on Sporulation, Mycelial Growth, and Antifungal Activity of Isaria javanica pf185

  • Lee, Jang Hoon;Lee, Yong Seong;Kim, Young Cheol
    • 식물병연구
    • /
    • 제27권3호
    • /
    • pp.99-106
    • /
    • 2021
  • The fungal isolate Isaria javanica pf185 has potential as a mycopesticide because it demonstrates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the green peach aphid and antifungal activity against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For commercialization of this isolate, determination of the optimal and least expensive culture conditions is required; however, these data are not currently available. This study describes the conditions for optimal development of conidia and production of metabolites for the biocontrol of the fungal pathogen. The optimal culture conditions were examined using cultures on solid agar and liquid media. High growth temperature enhanced spore formation but reduced antifungal activity in both solid and liquid media. The highest spore yield was obtained in a medium containing glucose as a carbon source and yeast extract as a nitrogen source. Soybean powder and wheat bran were effective nitrogen sources that promoted spore production and antifungal activity of the isolate. These results revealed the basic, cost-effective growth media for commercial production of a biopesticide with insecticidal and antifungal properties for use in integrated pest management.

Genetic Variability among Different Populations of Root Knot Nematodes Based on Their Encumbrance Response to Pasteuria Isolates Using PCR-RFLP

  • Kamran, Muhammad;Javed, Nazir;Ullah, Ihsan;Nazir, Shahid;Jamil, Shakra;Iqbal, Muhammad Zafar;Abbas, Huma;Khan, Sajid Aleem;Haq, Muhammad Ehetisham u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5권1호
    • /
    • pp.51-62
    • /
    • 2019
  • A great variable response was observed when PP-3 and PP-J encumbered with 116 populations of root knot nematode (RKN) at two different temperatures ($25{\pm}2^{\circ}C$ and $30{\pm}2^{\circ}C$) and concentrations ($10^4$ and $10^5$ spores/ml). The PCR reaction amplified intergenic region between cytochrome oxidase subunit II gene (COII) and large subunit of rRNA gene (lrRNA) of the mitochondrial genome of different RKN species. The primer C2F3 and 1108 identified M. incognita with the highest frequency (52.6%) followed by M. javanica (36.8%) and M. arenaria (10.5%). The sizes of PCR products were 1.7 kb for M. incognita and M. javanica populations while populations of M. arenaria produced 1.1 kb fragment. The digestion with Hinf I yielded three different fragment length patterns on 1.5 % agarose gel. From current research it is concluded that intra-Meloidogyne genetic variability exist in RKN populations which have better encumbrance with P. penetrans.

Four Dammarane Triterpenes and Their Inhibitory Properties Against Eight Receptor Tyrosine Kinases

  • Heliawati, Leny;Khatimah, Husnul;Hermawati, Elvira;Syah, Yana Maolana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6권4호
    • /
    • pp.345-350
    • /
    • 2020
  • In recent years, tyrosine kinases (TKs) have been the target to combat cancers, and most of the developed inhibitors are of synthetic origin. Natural compounds that have the properties as the TK's inhibitors are very limited. This paper described the isolation of a new dammarane triterpene from the tree bark of Sandoricum koetjape, along with three known related dammaranes from the damar resin of Shorea javanica, as well as their inhibitory properties against eight receptor TKs (RTKs: EGFR, HER2, HER4, IGF1R, InsR, KDR, PDGFRα, and PDGFRβ). Based on the NMR and mass spectral data the new compound was identified as (12β,20S)-12,20-dihydroxy-3,4-seco-dammaran-4,24-dien-3-oic acid (12β-hydroxydammarenolic acid) (1), while the three known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20S)-20-hydroxy-3,4-seco-dammaran-4,24-dien-3-oic acid (dammarenolic acid) (2), (3β,20S)-3,20-dihydroxydammaran-24-ene (3), and (20S)-3-oxo-20-hydroxydammaran-24-ene (4). The tyrosine kinase assay of the four compounds resulted only 1 and 2 at concentration of 10 μM that had weak activity against EGFR and InsR, with their % inhibitory were 30%, 27% (1), 45%, and 32% (2), respectively.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resence of a linear carboxylic acid group in both compounds could be of significance to the inhibitory properties against the two RTKs.

Effects of Arugula Vermicompost on the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javanica) and the Promotion of Resistance Genes in Tomato Plants

  • Rostami, Mahsa;Karegar, Akbar;Ghorbani, Abozar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8권4호
    • /
    • pp.261-271
    • /
    • 2022
  • Root-knot nematodes are the most important plant-parasitic nematodes worldwide. Many efforts have been made to find non-chemical, risk-free,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methods for nematode control.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compost and vermicompost of arugula (Eruca sativa) on Meloidogyne javanica were investigated in three glasshouse experiments. In addition, the expression of the defense-related genes nonexpressor of pathogenesis-related 1 (NPR1) and lipoxygenase 1 (LOX1) was detected in tomato plants treated with vermicompost of arugula at 0, 2, 7, and 14 days after nematode inocula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vermicompost of arugula significantly reduced the reproduction factor of the nematode by 54.4% to 70.5% in the three experiments and increased the dry weight of shoots of infected tomato plants. Gene expression analysis showed that LOX1 expression increased on the second and seventh day after nematode inoculation, while NPR1 expression decreased. The vermicompost of arugula showed stronger nematode inhibitory potential than the vermicompost of animal manure. The vermicompost of arugula is superior to arugula compost in suppressing the activity of M. javaniva and reducing its impact. It manipulates the expression of resistance genes and could induce systemic resistance against root-knot nematodes.

Anti-Hyperuricemic Effects of Oenanthe javanica Extracts in Hyperuricemia-Induced Rats

  • Woo-Ju Lee;Ho-Sueb Song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40권1호
    • /
    • pp.53-60
    • /
    • 2023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enanthe javanica (OJ) extracts on rats with potassium oxonate (PO)-induced hyperuricemia. Methods: The effects of OJ extract on rats with PO-induced hyperuricemia-induced were monitored. Changes in the body weight and organ indices of hyperuricemic rats were calculated to detect anti-hyperuricemic effect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to observe the effect of reducing serum uric acid concentration. Kidney tissues were stained to observe histopathological changes under a microscope. The activity of xanthine oxidase (XO), which catalyzes xanthine to uric acid in the liver, was assessed to observe the inhibitory effect of XO. Results: 1. The body weight of hyperuricemic rats showed no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treatment group. The OJ group had significantly improved liver index, whereas the allopurinol group had improved liver and kidney indices. 2. Serum uric acid level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PO injection, and the OJ and allopurinol groups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effect. 3. PO injection led to the inflammation of kidney tissues, and OJ improved it significantly. 4. The activity of XO after PO injec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allopurinol significantly inhibited XO activity in the liver. Conclusion: In the hyperuricemia rat model, OJ extract reduced uric acid concentration and demonstrated its anti-inflammatory effects. Thus, OJ extracts can be used to lower uric acid levels.

돌미나리씨 추출물에 의한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억제 (Inhibi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by Methanol Extracts of Oenanthe javanica Seed in 3T3-L1 Preadipocytes)

  • 지향화;정현영;진수정;권현주;김병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2호
    • /
    • pp.1688-1696
    • /
    • 2012
  • 돌미나리(Oenanthe javanica)는 뛰어난 해독작용과 항균작용으로 예로부터 약재로 사용되어 왔으나 돌미나리씨의 활성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사용하여 돌미나리씨 메탄올 추출물(OJSE)의 지방세포분화에 미치는 영향과 그 기전에 대해 조사하였다.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1{\sim}200{\mu}g/ml$)의 OJSE를 지방세포 분화유도제와 동시에 지방전구세포에 처리하여 분화시킨 후 Oil Red O 염색을 한 결과 세포내 lipid droplet 생성 및 triglyceride 축적이 OJSE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되었으며, 지방세포분화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방세포특이적 마커인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s ${\alpha}$, ${\beta}$ ($C/EBP{\alpha}$, $C/EBP{\beta}$) 및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의 발현이 현저하게 저하되었다. 이는 OJSE에 의해 지방세포 분화 관련 전사인자의 발현이 효과적으로 억제되어 지방세포로의 분화가 저해되고 결과적으로 지방세포내 lipid droplet 생성 및 triglyceride 축적이 억제되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OJSE처리에 의해 mitotic clonal expanstion 단계에서의 세포증식이 저해되었으며, 세포주기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OJSE처리에 의해 지방전구세포의 G1 arrest가 유발됨을 확인하였다. 세포주기 관련 단백질 발현을 분석한 결과, OJSE 농도의존적으로 Cdk inhibitor인 p21의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되었으며, 반면 cyclin E, Cdk2, E2F-1 및 phospho-Rb의 발현은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에 의해 OJSE는 지방전구세포의 G1 arrest를 유도하고 지방세포분화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여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항비만 효능을 갖는 천연 소재임을 확인하였고, 본 연구는 이를 활용한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그 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알츠하이머질병 모델동물인 Tg2576 마우스를 이용한 미나리 알코올추출물의 기억력 개선 효능 (Effect of Dropwort (Oenanthe javanica) Extracts on Memory Improvement in Alzheimer's Disease Animal Model, Tg2576 mice)

  • 원범영;신기영;하현지;장근아;윤여상;김예리;박용진;이형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779-784
    • /
    • 2015
  • 본 연구는 천연 식물이 기억력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총 7가지 식물에 대하여 아세틸콜린분해효소 활성 억제력을 측정하였다. 특히 미나리 알코올추출물(18.76%)의 억제력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미나리 알코올추출물에 대한 추가 연구를 수행하였다. Tg2576 마우스의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미나리 알코올추출물 50 mg/kg으로 3개월간 경구투여 후 수동회피테스트로 인지기능변화를 측정하였고, 뇌 속의 아세틸콜린분해효소 활성 억제, 베타아밀로이드1-42 단백질 생성 억제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수동회피 테스트에서 미나리추출물을 투여한 Tg 마우스군은 181.77초로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Tg 마우스군과 비교하여 머무름 시간이 유의적으로 증가하게 나타났다. 베타아밀로이드1-42 단백질 농도 측정 시 미나리 알코올추출물에 의하여 축적 농도가 985.19 pmol/g으로 감소하였으며,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Tg 마우스군과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추가적인 효소 억제력 실험 결과, 미나리 알코올추출물의 아세틸콜린분해효소 활성억제에 대한 50% 활성억제농도($IC_{50}$)값은 $991.77{\mu}g/mL$로 나타났으며, Lineweaver-Burk Plot 결과, 무경쟁적 저해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나리 알코올추출물은 Tg2576 형질전환 마우스의 인지기능을 개선시키며, 콜린성 신경시스템을 보호하는 물질로 판단된다. 미나리 알코올추출물은 기억 및 학습 증진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천연식물로써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한 미나리 소재의 다양한 기능성제품 개발과 부가가치 향상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분과 항산화활성 (Antioxidant Component and Activity of Dropwort (Oenanthe javanica) Ethanol Extracts)

  • 황초롱;황인국;김현영;강태수;김윤배;주성수;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316-320
    • /
    • 2011
  •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과 용매분획물에 대한 항산화물질과 항산화활성을 분석한 결과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37.50 mg GA eq/g이었으며, 에틸아세테이트 층에서 240.61 mg GA eq/g로 높게 나타났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26.50 mg catechin eq/g 이었지만 에틸아세테이트 층에서는 105.57 mg catechin eq/g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법에 의한 항산화활성의 $IC_{50}$ 값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1.07 mg/mL이었으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는 0.08 mg/mL로 높았다. 총 항산화력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34.48 mg AA eq/g이었으며, 에틸아세테이트 층에서는 382.00 mg AA eq/g으로 높았다. 환원력은 1 mg/mL의 농도에서 에탄올 추출물은 0.45이었지만, 에틸아세테이트 층에서는 0.75로 높았다. Ferrous ion chelating 효과는 에탄올 추출물에서 32.01%로 높았고 용매 분획물에서는 오히려 감소하거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hydroxyl 라디칼 소거능의 $IC_{50}$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26.71\;{\mu}g$/mL로 가장 높았다.

붉나무 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추출특성과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of Rhus javanica Bark)

  • 노정숙;박선이;정갑섭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55-561
    • /
    • 2017
  • 붉나무의 유용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붉나무 수피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물의 몇 가지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물의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은 73.5 mg/100g, 당도는 $17.8^{\circ}Brix$로 측정되었으며, 총방향족 화합물,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총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각각 흡광도 0.508, 49.88 mg/100g 및 296.6 mg/100g으로 측정되었다. 추출물의 환원력은 대조구로서 추출물의 가용성 고형분과 동량의 ascorbic acid의 27.5 %로 측정되었으나, 철환원력은 ascorbic acid와 유사하게 측정되었다. 추출물의 DPPH라디칼 소거능은 95.16 %로서 ascorbic acid와 거의 유사하였고, 금속이온 봉쇄능은 ascorbic acid의 74.73 %보다 높은 81.58 %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pH 2에서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51.76 %로 측정되었으며, Rancimat test에 의한 대두유 산화 억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국산(韓國産) 옻나무속(屬) 과실(果實)과 종자(種子) 및 화서(花序)의 분류학적(分類學的) 재고(再考) (Reconsideration of Rhus (Anacardiaceae) with Respect to Fruit, Seed and Inflorescence)

  • 정재민;김삼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3호
    • /
    • pp.288-300
    • /
    • 1997
  • 우리나라에 자생(自生)하고 있는 옻나무속(屬) 6종(種)과 외래종(外來種) 2종(種)에 대(對)한 화서(花序)의 형태(形態)와 과실(果實)과 종자(種子)의 형태(形態) 및 해부학적(解剖學的) 형질(形質)들을 광학현미경(光學顯微鏡)과 주사전자현미경(走査電磁顯微鏡)을 통해 관찰(觀察)한 결과(結果), 화서(花序)의 형태(形態)는 미국털옻나무가 정생(頂生)하고 직립(直立)하는 밀추화서(密錐花序)인 반면 붉나무는 밀추화서(密錐花序)와 유사한 원추화서(圓錐花序)였으며, 다른 수종(樹種)들은 액생(腋生)하고 드리워진 원추화서(圓錐花序)였다. 과실(果實)과 종자(種子)의 해부학적(解剖學的) 연구결과(硏究結果) 붉나무와 미국털옻나무는 외과피(外果皮)와 중과피(中果皮)가 완전(完全)히 분리(分離)되어 있지 않은 반면, 다른 수종(樹種)들은 모두 내외피(內果皮)가 3개(個)의 lignified cell layer와 crystal layer로 이루져 있었다. 또한 종피(種皮)의 외부(外部) 미세구조(微細構造)도 종(種)에 따라 고유(固有)한 특징(特徵)을 지니고 있어 종간(種間)의 식별(識別)과 분류(分類)가 가능(可能)하였다. 과실(果實)과 종자(種子)의 형태(形態) 및 해부학적(解剖學的) 형질(形質)에 의한 유집분석(類集分析) 결과(結果) 개옻나무-붉나무-덩굴옻나무류집군(類集群)과 옻나무-산검양옻나무-검양옻나무류집군(類集群)으로 분류(分類)되었다. 이들중 17개(個)의 기본 형질(形質)에 대(對)한 주성분(主成分) 분석결과(分析結果) Eigenvalue 1.0 이상(以上)이 3개(個)의 주성분군(主成分群)으로 분리(分離)되었으며, 제(第)2 주성분(主成分)까지의 누적기여율(累積寄與率)은 89.47%로 높은 설명력(說明力)을 보였고, 종자(種子)의 길이, 과실(果實)의 길이, 종자(種子)의 폭(幅), 종자(種子)의 무게, 과실(果實)의 폭순(幅順)으로 높은 기여도(寄與度)를 보였다. 화서(花序)와 종실(種實)의 외부(外部) 형태적(形態的), 해부학적(解剖學的) 특징(特徵)을 종합(綜合)하여 종간(種間)의 검색표(檢索表)를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