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solation forest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8초

Phenolic Compounds from the Bark of Acer barbinerve Max.

  • Kwon, Dong-Joo;Bae, Young-So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2호
    • /
    • pp.164-170
    • /
    • 2009
  • The bark of Acer barbinerve was extracted with 70% aqueous acetone and the organic extracts were concentrated to small volume using rotary evaporator and then fractionated successively with n-hexane, dichloromethane, ethyl acetate and water. The chromatographic separation of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 led to the isolation of five phenolic compounds. By means of spectroscopic method, the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were identified to methyl gallate (1), methyl gallate-4-O-${\beta}$-D-glucose (2), (+)-catechin (3), (-)-epicatechin (4) and (-)-epicatechin-3-O-gallate (5). These compounds (1-5) have not been reported in this plant yet.

일본 잎갈나무재로부터 Diterpene의 단리 (Isolation of Diterpene from Larix leptolepis Gorden)

  • 황병호;조국란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6권4호
    • /
    • pp.71-77
    • /
    • 1998
  • To elucidate chemical structure of the wood extractive, wood meal of Larix leptolepis Gorden was extracted with 95% ethanol for 72 hours. The extract was fractionated with organic solvents such as n-hexane, chloroform, diethylether, and ethyl acetate. From the hexane somble fraction of the extractives, a new diterpene compound was isolated and identified as 6-acetoxymanool or 13-hydroxy-8(17), 14-labddienyl-6-acetate by IR, $^1H(^{13}C)$-NMR and Mass spectrometry.

  • PDF

현사시나무에서 Formate Dehydrogenase cDNA의 분리와 특성 구명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Formate Dehydrogenase cDNA in Poplar (Populus alba ${\times}$ P. glandulosa))

  • 배은경;이효신;이재순;최영임;윤서경;어수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3호
    • /
    • pp.331-337
    • /
    • 2013
  • Formate dehydrogenase(FDH)는 포름산이온을 이산화탄소로 산화하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로서, 건조와 저온 그리고 병원균 감염 등에 반응하는 스트레스 단백질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사시나무에서 FDH의 cDNA를 분리하여 구조와 발현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현사시나무의 FDH cDNA(PagFDH1)는 1,499개의 염기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388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는 예상 분자량 42.5 kDa의 단백질을 암호화한다. PagFDH1 단백질은 미토콘드리아 신호펩티드와 $NAD^+$ 결합부위를 가지고 있다. PagFDH1은 현사시나무의 염색체에 1 copy가 존재하며, 배양세포에서 가장 높게 발현되고 뿌리와 꽃 그리고 잎에서도 발현되었다. 현탁배양세포의 생장주기에서 유도기와 초기 지수생장기에 높게 발현하였다. PagFDH1은 건조와 염 스트레스에 반응하여 ABA를 경유한 신호전달경로에 의해 발현이 유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FDH 유전자의 도입과 발현조절을 통한 환경 스트레스 저항성나무의 개발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현사시나무 monodehydroascorbate reductase (MDHAR) 유전자의 분리 및 발현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monodehydroascorbate reductase gene in poplar (Populus alba × P. glandulosa))

  • 윤서경;박응준;배은경;최영임;김준혁;이효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1권4호
    • /
    • pp.194-200
    • /
    • 2014
  • Monodehydroascorbate reductase (MDHAR)는 활성산소종 제거에 중요한 효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MDHAR 유전자를 현사시나무(Populus alba ${\times}$ P. glandulosa)에서 분리하여 이를 PagMDHAR1이라 명명하고 유전자의 구조와 발현특성을 조사 하였다. PagMDHAR1 유전자는 434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을 암호화하며 3개의 FAD/NAD(P)H 결합 영역이 보존되어 있다. PagMDHAR1은 현사시나무의 염색체에 1 ~ 2 copy가 존재하며, 배양세포와 꽃에서 높게 발현하였다. 현탁배양세포의 생장주기에서는 유도기와 초기 지수생장기에서 높게 발현하였다. 또한 PagMDHAR1은 건조와 염, 저온, 상처 및 ABA 처리에 의해서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PagMDHAR1은 ABA를 경유한 신호전달경로를 따라 다양한 스트레스에 반응하며, PagMDHAR1의 기능이 활성산소종에 의해 유도되는 산화 스트레스 방어기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내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향후 PagMDHAR1 형질전환 식물체 생산 등 생명공학적 기술을 이용한 유전자 기능에 대한 연구를 비롯하여 신기능성 임목의 개발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신갈나무의 부후에 관여하는 곰팡이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ungi Associated with Decay of Quercus mongolica)

  • HAM, Youngseok;AN, Ji-Eun;LEE, Soo Min;CHUNG, Sang-Hoon;KIM, Sun Hee;PARK, Mi-Ji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3호
    • /
    • pp.234-253
    • /
    • 2021
  • 신갈나무는 국내 전역에 두루 분포되어 있는 경제, 산업적으로 활용 가치가 큰 수종이지만, 변색, 부후 등의 열화에 의한 피해가 심각하다. 이러한 이유로 신갈나무의 부후는 목재로써의 활용에 걸림돌이 되나, 부후 요인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갈나무 부후에 영향하는 요인으로 곰팡이에 주목하였으며, 신갈나무의 부후 부위로부터 곰팡이를 분리, 동정하였다. 또한, 동정 된 곰팡이가 실제로 목재 열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효소 활성을 평가하고, 곰팡이를 처리한 신갈나무 목재의 질량 손실을 목재 부후 실험을 통해 측정하였다. 신갈나무에서 분리된 곰팡이 5종의 genomic DNA의 ITS region을 이용한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Mucoromycota phylum에 속하는 Mucor circinelloides, Cunninghamella elegans, 그리고 Umbelopsis isabellina 3종과 Ascomycota phylum에 속하는 Ophiostoma piceae와 Aureobasidium melanogenum 2종의 곰팡이가 동정되었다. 이러한 5종의 곰팡이는 목재의 부후와 관련된 cellulase나 laccase와 같은 효소 활성이 있으며, 실제로 신갈나무의 심재와 변재의 중량을 감소시켰다. 특히, cellulase와 laccase 활성을 모두 보유한 O. piceae와 A. melanogenum는 신갈나무의 중량을 각각 6.9%와 1.5%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들은 본 연구에서 동정된 5종의 곰팡이가 신갈나무의 열화에 영향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신갈나무에 대한 목재 부후균으로써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akkenolides and caffeoylquinic acids from the aerial parts of Petasites japonicus

  • Woo, Hyun Sim;Lee, Min-Sung;Jeong, Hea Seok;Kim, Dae Wook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9-99
    • /
    • 2018
  • The major aim of this work is the research of secondary metabolites isolated from the aerial parts of Petasites japonicus. The plant material is extracted with a polar solvent, which is 95% by volume methanol at room temperature. The concentrated extract was partitioned as EtOAc, n-BuOH, and $H_2O$ fractions. From the EtOAC and n-BuOH fraction, two bakkenolides and two caffoylquinic acid were isolated using the Diaion HP-20, silica gel, ODS-A, and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sults of physico-chemical and spectroscopic data including NMR, MS and UV.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 compounds were respectively determined as bakkenolide B (1), bakkenolide D (2), 1,5-dicaffeoylquinic acid (3), and 5-O-caffeoylquinic acid (4).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mpounds isolated from the aerial parts of this plant were almost identical with known components of Petasites japonicus. However,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more about the difference of amounts of constituents according to harvest area and time.

  • PDF

Cumulative Effects of Constituents from the Mushroom Calvatia nipponica on the Contractility of Penile Corpus Cavernosum Smooth Muscle

  • Lee, Seulah;Kim, Min-Ji;Lee, Bum Soo;Ryoo, Rhim;Kim, Hye Kyung;Kim, Ki Hyun
    • Mycobiology
    • /
    • 제48권2호
    • /
    • pp.153-156
    • /
    • 2020
  • Calvatia nipponica, a puffball mushroom (Agaricaceae), is thought to be an aphrodisiac, as this mushroom is traditionally known to improve sexual function in males. As part of the systematic study to determine the bioactive secondary metabolites from C. nipponica responsible for aphrodisiac effects, chemical analysis of methanol (MeOH) extracts of the fruiting bodies of C. nipponica resulted in the isolation of two major compounds: N,N-dimethyl-anthranilic acid (1) and (7Z,10Z)-7,10-octadecadienoic acid methyl ester (2). Compounds 1 and 2 were evaluated for cumulative dose-dependent relaxation responses to precontracted penile corpus smooth muscle (PCCSM). Results show that compounds 1 and 2 exhibited a maximum relaxation effect of 20.33 ± 2.18% and 24.63 ± 3.60%, respectivel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compounds 1 and 2, major components of C. nipponica, could potentially be used to treat erectile dysfunction, functioning as natural aphrodisiacs.

HPLC에 의한 차나무 잔가지(부산물)의 추출물 내 지표 성분의 정량분석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Marker Compounds in the Extracts of Camellia sinensis L. Sub-branches (Residual Products) by HPLC)

  • 이민성;임현정;정회석;조해진;우현심;오유진;이수인;김현철;안경환;김영수;김대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4-29
    • /
    • 2019
  • Background: Camellia sinensis L.(CS) is a perennial evergreen species of plant whose leaves are used to produce tea. In this plant species, the parts used are the leaves, sub-branch parts are thrown out. Methods and Results: Ethanol extract of sub-branch parts was used for isolation of major compounds by column chromatography.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caffeine (1), (-)-epicatechin (2) and (-)-epicatechin gallate (3) by interpretation of spectroscopic analysis, including $^1H$- and $^{13}C$-NMR.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method was used to compare the quantitative level of marker compounds in various extraction solvents of sub-branch parts of CS. The content of caffeine, (-)-epicatechin, and (-)-epicatechin gallate in 30% ethanol extract showed higher value with $3.28{\pm}0.57mg/g$, $5.53{\pm}0.88mg/g$, and $1.29{\pm}0.24mg/g$, respectively.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not only leaves parts but also sub-branch, could be a good source for the functional materi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유기인계 살충제 fenitrothion 분해미생물 탐색 (Screening of Organo Phosphorus Insecticide Fenitrothion-Degrading Microorganisms)

  • 최혁;김복진;배도용;이영득;강선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79-285
    • /
    • 1998
  • 논, 밭, 임야, 오염지 토양과 폐수 등 124 지점의 미생물 급원에서 fenitrothion 분해미생물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총 1,071 균주를 1차 분리하였다. 배지별로는 nutrient agar, potato dextrose agar, Actinomyces isolation agar 및 basal salt medium 고체배지에서 각각 601, 201, 168, 101종의 활성균주를 1차 분리하였다. 이 중에서 fenitrothion 분해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미생물을 선발하기 위하여 액체배양을 통한 GLC분석 결과 분해율이 80% 이상인 균주 28종을 2차 선발하였다. 이들을 선발배지별, 미생물 급원별로 살펴보면 NA 배지에서는 논토양에서 3종, 밭 토양에서 3종, 임야 토양에서 2종, 오염지 토양에서 4종이 각각 분리되어 총 12종이 분리되었다. PDA 배지에서는 논 토양에서 1종, 밭 토양에서 2종, 임야 토양에서 2종, 오염지 토양에서 3종이 각각 분리되어 총 8종이 분리되었다. BSM 배지에서는 논 토양에서 1종, 임야 토양에서 1종, 오염지 토양엣 6종이 각각 분리되어 총 8종이 분리되었다. 그러나 AIA 배지에서는 모든 균주가 fenitrothion 분해율이 50% 이하이었다. 한편 100mg/ l의 고농도 fenitrothion 첨가 배지에서 2차 선발 균주를 강화배양하면 세균 중에는 Npa1과 NFo1 균주가, 사상균 중에서는 PFo1과 BPo1 균주가 분해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현사시나무에서 Dormancy-associated protein 1 (DRM1) 유전자의 분리와 발현특성 구명 (Isolation and Expression of Dormancy-associated protein 1 (DRM1) in Poplar (Populus alba × P. glandulosa))

  • 윤서경;배은경;최현모;최영임;이효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69-75
    • /
    • 2017
  • Dormancy-associated protein (DRM)은 식물의 휴면생리에 관여하는 대표적인 단백질로 거의 모든 식물에 보존되어 있다. 최근 DRM 유전자가 비생물적 스트레스 반응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 유전자의 특성구명 연구가 여러 식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나무에서는 DRM 유전자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DRM 유전자를 현사시나무(Populus alba ${\times}$ P. glandulosa)에서 분리하여 이를 PagDRM1이라 명명하고, 유전자의 구조와 발현특성을 조사하였다. PagDRM1 유전자는 123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을 암호화하며, 2개의 영역(Domain I과 Domain II)이 잘 보존되어 있다. PagDRM1은 현사시나무의 염색체에 1 ~ 2 copy가 존재하며, 줄기에서 가장 높게 발현하였고 성숙 잎, 뿌리 및 꽃에서도 높은 발현 수준을 나타내었다. 현탁배양세포의 생장주기에서는 늦은 지수생장기부터 정지기까지 높게 발현하였다. 또한 PagDRM1은 건조와 염 스트레스에 반응하여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호르몬 처리에 의해서는 ABA와 GA 처리에 의한 발현 증가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PagDRM1은 식물의 휴면유도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환경 스트레스 내성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