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facial crosslinking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6초

XLPE/EPDM laminate의 계면조건에 따른 전하형성 특성 (Space charge characteristics of XLPE/EPDM laminate with interfacial condition)

  • 남진호;서광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학회본부
    • /
    • pp.299-301
    • /
    • 1997
  • It was investigated that space charge characteristics of EPDM/XLPE laminates as a function of interfacial condition. There were no effects in charge accumulation characteristics at EPDM/XLPE laminate samples pasted treated silicone oil and silicone grease. But when the crosslinking coagent (TMPTA) was pasted in laminate samples, there was no space charge in interface of EPDM/XLPE laminate. There were no effects in the laminate sample pasted silicone grease dissolved crosslinking coagent. In the coupling agent pasted EPDM/ XLPE laminate sample, space charge was accumulated in XLPE side caused by coupling agent.

  • PDF

계면조건에 따른 XLPE/EPDM laminate의 공간전하 특성 (Space charge characteristics of XLPE/EPDM laminate with interfacial condition)

  • 남진호;서광석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0-143
    • /
    • 1997
  • It was investigated that space charge characteristics of EPDX/LPE laminates as a function of interfacial condition. There were no effects in charge accumulation characteristics at EPDM/XLPE laminate samples which were pasted with silicone oil and silicone grease. But when the crosslinking coagent (TMPTA) was pasted in laminate samples, there was no space charge in interface of EPDE/XLPE laminate and no effects in the laminate sample pasted with silicone grease dissolved crosslinking coagent. In the coupling agent pasted EPDhyXLPE laminate sample, space charge was accunlulated in XLPE side caused by coupling agent.

  • PDF

XLPE/EPDM laminates의 계면현상 (Interfacial phenomena of XLPE/EPDM laminates)

  • 남진호;서광석;김지환;고광철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1-214
    • /
    • 1998
  • DC breakdown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of space charge at the interfaces of crosslinked polyethylene (XLPE) /ethylene propylene diene terpolymer (EPDM) laminates were studied. Effects of silicone grease and some chemicals such as crosslinking coagent on the interfacial charge were also studied. Interfacial charge develops at the interface of XLPE/EPDM laminates, which changes depending on heat treatment conditions and types of chemicals coated at the interface. Some chemicals such as maleic anhydride reduce the accumulation of interfacial charge in the XLPE/EPDM laminates. Breakdown strength of EPDM/XLPE laminate through the interface was highest when silicone oil was pasted in the interfaces. Interfacial breakdown strength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MAH content.

  • PDF

HDPE 가교 결합과 계면 접착력 변화에 따른 PTC 특성 연구 (Effects of Interfacial Adhesion and Chemical Crosslinking of HDPE Composite Systems on PTC Characteristics)

  • 김재철;이종훈;남재도
    • 폴리머
    • /
    • 제27권4호
    • /
    • pp.275-284
    • /
    • 2003
  • 접착성이 없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과 나노입자 카본블랙 복합체를 대상으로 전극과의 계면 접착 향상과 고분자 가교 특성에 따른 양온도 계수 (PTC) 특성을 연구하였다. 은페이스트를 전극으로 사용하였을 때에는, 전극과 HDPE의 접착 계면 저항으로 인하여 카본함량이 45 wt% 이상에서 1 $\Omega$ 이었으나, 덴드라이트 (dendrite)된 구리 전극의 경우 HDPE와 전극간의 넓은 면적 접촉에 의한 계면 저항이 0.2 $\Omega$ 이하였다. HDPE와 은페이스트의 계면 저항의 증가로 인하여 구리 박막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전체적으로 저항이 높게 나타났다. HDPE와 나노입자 카본블랙 복합체는 온도가 증가하여 HDPE의 비캣연화온도까지는 저항이 일정하게 유지하다가, HDPE의 연화점에서 증가하기 시작하여 용융점에서 극대 값을 나타내는 전형적인 PTC특성을 보여주었다. 일반적으로 HDPE의 용융점을 넘어서면 음온도 계수 (NTC) 현상이 나타나는데, 가교결합을 시킨 HDPE의 경우는, 용융점 이상에서 NTC 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저항이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구리 (copper) 전극과 고분자와의 계면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크롬 (chromium)을 덴드라이트시킨 전극을 사용하여 계면 접촉 저항을 감소시켰다.

반응성 폴리우레탄 레진을 이용한 Pressure Sensitive Adhesive 제조 및 계면 가교 반응이 점착 물성에 미치는 영향 (Preparation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Using Reactive Polyurethane Resin and the Effect of Interfacial Crosslinking on the Adhesion Property)

  • 신진섭;김지헌;정인우;김중현
    • 공업화학
    • /
    • 제16권1호
    • /
    • pp.81-85
    • /
    • 2005
  • 카르복실화된 비반응성 및 반응성 폴리우레탄 레진을 이용, 아크릴 단량체의 반회분식 유화중합법을 통해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폴리우레탄 레진의 종류, 함량 그리고 가교제의 투입 방법에 제조된 점착제의 점착 성능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실험에서 반응성 폴리우레탄 레진에 의해 제조된 점착제가 비반응성 폴리우레탄 레진에 의해 제조된 것에 비해 우수한 점착 성능을 나타내었다. 특히, acetoacetoxy ethyl methacrylate와 1,6 hexane diamine을 가교제로 도입하여 제조된 점착제는 혹독한 가습조건에 계면가교반응으로 인해 월등한 peel strength를 보여 주었다.

전력케이블 절연접속계면의 절연파괴 특성에 미치는 열처리 효과 (Effect oh Heat Treatment on Breakdown Properties in the Joint Interface of Power Cables)

  • 이창종;김진수;박강식;한상옥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502-507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breakdown properties in joint interface of power cables with heat treatment. The specimens have the structure of XLPE/EPDM interface like the joint of distribution power cable. The breakdown characteristics of the SLPE/EPDM joint were studied with crosslinking by=products. AC breakdown voltages were measured with heat treatment time and interfacial materials and crosslinking by-products as testing factors. This study has shown that crosslinking by-product gases play an important role at the insulation properties of cable joints by heating. The dielectric strength shows the lowest values at 4 hours heat treatment. The AC breakdown strength in the untreated sample was increased with heat treatment time.

  • PDF

자외선 경화형 2-EHA/AA 점착제의 점착 물성 및 열 안정성에 미치는 실리카 함량 및 경화제 효과 (Effect Of Silica Concentration and Crosslinking Agent on Adhesion Properties and Thermal Stability Of UV Cured 2-EHA/AA PSAs)

  • 김호겸
    • 접착 및 계면
    • /
    • 제16권2호
    • /
    • pp.55-62
    • /
    • 2015
  • 자외선 경화를 통한 2-EHA/AA 점착제 제조 시 나노 충전제로 실리카를 도입하는 경우 실리카의 표면 처리 여부와 실리카 함량이 점착제의 점착 물성 및 열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서로 다른 반복단위 길이를 가진 경화제에 따른 실리카의 보강 효과 차이도 관찰하였다. 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실리카의 경우 실리카 표면과 고분자 매트릭스 간 계면 상호 작용으로 고분자 매트릭스 내 분산 정도를 높여 겔 함량의 저하 없이 0.3 wt%의 농도까지 점착 물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경화제로 PEGDMA를 사용할 때 분자 내 상대적으로 긴 에틸렌옥사이드 반복단위에 기인하는 분자 유연성으로 EGDMA를 사용한 계에 비해 실리카 보강 역할에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열 분해 후 잔존량을 통해 실리카와 고분자 간 강한 계면 결합으로 인한 열 장벽 효과로 점착제의 열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XLPE/EPDM의 계면조건이 절연파괴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terfacial Conditions on Breakdown Strength of XLPE/EPDM Laminates)

  • 최원창;이제정;조대식;박강식;김종석;한상옥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8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1273-1275
    • /
    • 1998
  • The main faults at cable joint are mainly originate from double layered structure, which is composed of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such as XLPE/EPDM laminatest. In this pap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rfacial condition and coagents on dielectric strength of XLPE/EPDM, we prepared XLPE/grease/EPDM, XLPE/grease + coagent/EPDM laminates. Dielectric strength of the XLPE/EPDM laminates pasted with the grease compounded crosslinking coagent (TMPTA, TMPTMA) is higher than that of the laminates paseted with the grease without coagent.

  • PDF

EPDM/NR 블랜드의 물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Properties of EPDM/NR Blends)

  • 고진환;박성수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29권2호
    • /
    • pp.121-130
    • /
    • 1994
  • The physical properties of rubber blend between natural rubber(NR) and ethylene propylene diene terpolymer(EPDM) were investigated as a study of EPDM composite materials. For EPDM/NR blends, the effects of ethylene and diene contents in EPDM, blend ratio, dicumyl peroxide(DCP) curing system on the physical properties, interfacial adhesion force and dynamic crack growth etc. were studied. EPDM/NR blends loaded with carbon black were prepared by mechanical mixing and cured by plate heating cure press. Crosslinking density was measured by swelling method with toluene. The physical properties of all blends were measured with Instron, fatigue to failure(FTF), Demattia flex cracking tester(DMFC),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etc. As the ethylene and diene contents in EPDM increased, th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dynamic crack growth, adhesion to other component were increased too. Interfacial adhesion force of EPDM/NR blends to dissimilar layer was improved by the use of optimum peroxide curing system.

  • PDF

레졸형 구형 페놀입자의 합성에서 반응물의 조성이 입자 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actant Composition on the Synthesis of Resole-Type Phenolic Bead)

  • 한동석;김홍경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2권1호
    • /
    • pp.63-67
    • /
    • 2014
  • 페놀-포름알데히드를 이용하여 레졸형 구형 페놀수지 입자를 합성함에 있어 반응물의 조성이 입도분포, 수율 및 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분산매의 양을 감소시킴에 따라 현탁액의 점도가 증가하며 이로 인해 입도분포의 변화 및 응집 현상의 원인이 됨을 확인하였고, 안정제의 양을 증가시킴에 따라 현탁입자의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평균입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적정량 이상의 경화제의 사용은 입도분포 및 수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형성된 입자 내부의 격렬한 경화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는 물분자의 탈출이 원활하지 않게 되어 밀도가 감소하는 것을 SEM 사진을 통해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