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lligent user interface

검색결과 280건 처리시간 0.058초

휴대용 단말기 기반의 재능 로봇 사용자 인터페이스 (Mobile Terminal-Based User Interface for Intelligent Robots)

  • 김기오;;박지환;홍순혁;전재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3B권2호
    • /
    • pp.179-186
    • /
    • 2006
  • 사용자가 지능 로봇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려면 사용자와 지능 로봇을 연결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 로봇의 기능과 자율화 수준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 지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나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지능 로봇을 원격에서 조종할 때 필요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발하고자 한다. 영상 기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로봇의 동작을 직접 보면서 로봇을 조종할 수 있고, 지도 기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면 전송되는 정보가 줄어들기 때문에 정보 전송 지연시간을 줄이면서 사용자가 로봇을 조종할 수 있다.

Intelligent User Interface for Teleoperated Microassembly

  • Song, Eun-Ha;Kim, Deok-Ho;Kim, Kyunghwan;Lee, Jaehoon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1년도 ICCAS
    • /
    • pp.168.2-168
    • /
    • 2001
  • Generally, operators suffer much difficulty in manipulating micro-nano-sized objects without assisting of human interface, due to the scaling effects in micro/nano world. Thus, the micromanipulation system based on the teleoperation techniques enables operators to manipulate the micro objects easily by transferring both human motion and manipulation skills to the micromanipulator. In teleoperated microassemb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useful user interface for facilitating micro assembly task executed by human operators. In this paper, Intelligent User Interface (UI) for teleoperated microassembly is proposed. The proposed intelligent UI improves task performance by teleoperated micromanipulation as well as guides operators to succeed in desirable ...

  • PDF

Teleloperation of Field Mobile Manipulator with Wearable Haptic-based Multi-Modal User Interface and Its Application to Explosive Ordnance Disposal

  • Ryu Dongseok;Hwang Chang-Soon;Kang Sungchul;Kim Munsang;Song Jae-Bok
    •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9권10호
    • /
    • pp.1864-1874
    • /
    • 2005
  • This paper describes a wearable multi-modal user interface design and its implementation for a teleoperated field robot system. Recently some teleoperated field robots are employed for hazard environment applications (e.g. rescue, explosive ordnance disposal, security). To complete these missions in outdoor environment, the robot system must have appropriate functions, accuracy and reliability. However, the more functions it has, the more difficulties occur in operation of the functions. To cope up with this problem, an effective user interface should be developed. Furthermore, the user interface is needed to be wearable for portability and prompt action. This research starts at the question: how to teleoperate the complicated slave robot easily. The main challenge is to make a simple and intuitive user interface with a wearable shape and size. This research provides multi-modalities such as visual, auditory and haptic sense. It enables an operator to control every functions of a field robot more intuitively. As a result, an EOD (explosive ordnance disposal) demonstration is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wearable multi-modal user interface.

A Design of Multi-Field User Interface for Simulated Breeding

  • Unemi, Tastsuo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1998년도 The Third Asian Fuzzy Systems Symposium
    • /
    • pp.489-494
    • /
    • 1998
  • This paper describes a design of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simulated breeding tool with multifield. The term field is used here as a population of visualized individuals that are candidates of selection. Multi-field interface enables the user to breed his/her favorite phenotypes by selection independently in each field, and he/she can copy arbitrary individual into another field. As known on genetic algorithms, a small population likely leads to premature convergence trapped by a local optimum, and migration among plural populations is useful to escape from local optimum. The multi-field user interface provides easy implementation of migration and wider diversity. We show the usefulness of multi-field user interface through an example of a breeding system of 2D CG images.

  • PDF

지능형 로봇의 인터넷 기반 원격 제어 (Internet-Based Remote Control of the Intelligent Robot)

  • 유영선;김종선;김형석;주영훈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42-248
    • /
    • 2007
  • In this paper, we implement the internet-based remote control system for intelligent robot. For remote control of the robot, it uses the socket communication of the TCP/IP. It consists of the user interface and the robot control interface. Robot control interface transmits the navig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s of the robot into the user interface. In order to transmit the large environmental images, a JPEG compression algorithm is used. User interface displays the navigation status of the robot and transmits the navigation order into the robot control interface. Also, we propose the design method of the fuzzy controller using navigation data acquired by expert's knowledge or experience. To do this, we use virus-evolutionary genetic algorithm(VEGA). Finally, we have shown the proposed system can be operated through the real world experimentations.

멀티모달 인터페이스(3차원 시각과 음성 )를 이용한 지능적 가상검객과의 전신 검도게임 (A Full Body Gumdo Game with an Intelligent Cyber Fencer using Multi-modal(3D Vision and Speech) Interface)

  • 윤정원;김세환;류제하;우운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9권4호
    • /
    • pp.420-430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멀티모달(multi-modal)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능적 가상검객과 체감형 검도게임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검도게임 시스템은 멀티모달 인터페이스(시각과 청각), 인공지능(AI), 피드백(스크린과 사운드) 등 크게 세 가지 모듈로 구성된다. 첫 번째로, 멀티모달 인터페이스는 시각기반, 3차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3차원 공간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음성기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현실감 있는 검도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두 번째, 인공지능은 가상검객에게 멀티모달 인터페이스에서 입력되는 시각과 음성을 인식하여 가상검객의 반응을 유도한다. 마지막으로, 대형 스크린과 스피커를 통한 시청각 피드백은 체감형 상호작용을 통하여 사용자가 몰입감을 느끼며 검도게임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제안된 시스템은 전신의 움직임으로 사용자에게 몰입감의 검도게임을 제공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오락 외에 교육, 운동, 예술행위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Conceptual Fuzzy Sets for Picture Reference System with Visual User Interface and Command Recognition System without Keyboard and Mouse

  • Saito, Maiji;Yamaguchi, Toru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3년도 ISIS 2003
    • /
    • pp.138-141
    • /
    • 2003
  • This paper proposes conceptual fuzzy sets for picture reference system with visual user interface and command recognition system without keyboard and mouse. The picture reference system consists of the associative picture database, the visual user interface and command recognition system. The associative picture database searches pictures by using conceptual fuzzy sets. To show pictures attractive, the visual user interface provides some visual effect functions. The command recognition unit, without keyboard and mouse, captures user's hand by camera and informs it to the system as a command. We implement and evaluate the picture reference system.

  • PDF

3D기반 지능형 흠 통합 제어 인터페이스 구현 (Intelligent Home Control Interface based on 3D)

  • 김용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A
    • /
    • pp.540-543
    • /
    • 2008
  • 지능형 홈은 수많은 정보가전기기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기기들을 제어하고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지능형 홈을 구성하는 기기들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다수의 기기, 기기별로 서로 다른 제어 방법 등에 의해 복잡하고 사용하기 불편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도 부족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홈 시스템 보급 장애요인 중 하나인 지능형 홈 서비스 인터페이스의 복잡성을 낮추고 편의성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구현하였다. 제안하는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들이 실제 거주하고 있는 공간을 모델링하고, 사용자 소유의 홈 기기들을 실제 집안에 배치하는 것과 같이 가상공간에 배치하는 등 실제 가정 내에서 홈 기기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패턴으로 지능형 홈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도록 통합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이는 사용자가 집 안의 홈 기기들의 위치와 상태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고, 제어하기를 원하는 기기를 선택하여 직접 제어하는 등 사용자가 장치의 선택 및 제어를 직관적으로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 PDF

이동 로봇의 원격 주행 시스템 (Remote Navigation System for Mobile Robot)

  • 김종선;유영선;김성호;주영훈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325-327
    • /
    • 2007
  • In this paper, we implement the internet- based remote control system for intelligent robot. For remote control of the robot, it uses the socket communication of the TCP/IP. It consists of- the user interface and the robot control interface. Robot control interface transmits the navig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s of the robot into the user interface. In order to transmit the large environmental images, a JPEG compression algorithm is used. User interface displays the navigation status of the robot and transmits the navigation order into the robot control interface. Also, we propose the design method of the fuzzy controller using navigation data acquired by expert's knowledge or experience. To do this, we use virus-evolutionary genetic algorithm(VEGA). Finally, we have shown the proposed system can be operated through the real world experimenta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