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tructional influence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19초

PBL 모형을 적용한 초등학교 영어·과학 융합 수업 모델 설계 (An Instructional Design for the Converged English-Science Teaching Method using PBL Model in Elementary School)

  • 박인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66-72
    • /
    • 2020
  •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21세기 현대 사회에서 국가 경제력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해 최근 미국, 영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 교육이 점차 강조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Arts(예술)를 추가하여 STEA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 교육이 나타났다. 융합(STEAM) 교육 목표는 기존의 주입식 및 암기식 교육이 아닌 학습자들의 흥미도와 학습에 대한 동기 부여를 강화하여 체험, 탐구, 실험이 중심이 되어 융합적 사고와 실생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 국가 경제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가 이루어진 Y 초등학교에서는 세계 공용어로 자리매김한 영어와 4차 산업 혁명으로 인한 발전으로 거의 모든 분야에서 찾아볼 수 있는 과학을 융합하여 학습자들이 주도적으로 수업에 참여하여 문제해결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PBL 모형과 ADDIE 모형이 기반이 된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이 모형은 크게 5가지 절차로 분석(Analysis), 설계(Design), 개발(Development), 실행(Implementation), 평가(Evaluation)로 구성된다. 국가 경제력을 갖춘 인재 양성이라는 목표도 중요하지만, 교육 현장에 있는 교사들이 융합(STEAM)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이에 알맞은 수업 설계에 관한 연구가 지속하며 강화되어야 한다.

정보적 과학 텍스트의 사회-언어학적 특징과 초등 과학 학습에 미치는 효과 (A Comparison of Socio-linguistic Characteristics and Instructional Influences of Different Types of Informational Science Texts)

  • 임희준;김현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2호
    • /
    • pp.232-24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socio-linguistic characteristics and instructional influences of two different types of texts, which were narrative and expository. Socio-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wo different types of texts were analyzed in their content specialization, linguistic formality, and social-pedagogic relationships. Expository texts showed strong scientific classification, and medium level of linguistic formality, and low level of social-pedagogic relationships. Narrative texts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The instructional effects were investigated with 91 fifth grade elementary students in three classes. Each class was randomly assigned into three groups: expository text group, narrative text group, control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cience achievement scores of the narrative text group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The affective domain test scores of the expository text group were higher than other groups. The perception of students on informational science text were generally positive both types of texts.

사이버가정학습에서 학습 스타일과 교육 방법이 미치는 효과성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Learning Style and Instructional Method in Cyber-home Learning)

  • 한희섭;한선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81-89
    • /
    • 2011
  • 사이버가정학습은 학습자의 학습 영역을 가정으로 확산해 가는 것이 근본 취지이지만, 학교교육과 연계되지 못하면 그 실효성이 미미하다는 것이 연구학교 교사들의 지적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가정학습을 활용함에 있어서 학교교육과 연계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learning) 교육방법과 학습 스타일 등 학습자의 학습 요소가 학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해보았다. 사전검사결과 사회과의 학력에 차이가 없는 두 개 학급을 선정해 1학기동안 순수한 사이버학습과 블렌디드 학습의 두 형태로 운영을 해보고, 학력 향상에 미친 요소들의 영향력을 통계적으로 검정해보았다. 그 결과 학습 방법이 가장 큰 영향력을 보여주었고, 다음으로 Kolb의 학습 스타일에서 구체적 경험을 중시하는 학습 스타일과 반성적 관찰을 중시하는 학습 스타일의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연구 결과 사이버가정학습의 효과적 운영을 위해 학교교육과 적극적으로 연계되어 활용되어야 하며, 학습자들의 학습 스타일에 맞추어 적합한 학습 콘텐츠가 마련되어야 함을 보여주었다.

  • PDF

대학 e-러닝 학습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Practical Study on Learning Effects of University e-Learning)

  • 김준호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2권3호
    • /
    • pp.19-48
    • /
    • 2010
  • 본 연구는 기존의 e-러닝에 관한 개념적 연구 결과 및 실증적 연구들을 바탕으로 대학 e-러닝 교육의 최우선 목표라고 할 수 있는 학습자에게 학습의 흥미를 지속시키고, 학습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을 유형화하여, 이를 실종적으로 검정하였다. 또한 전반적으로 어떠한 요인이 e-러닝 학습효과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서 함께 분석하였다. 그리고 e-러닝 학습효과라는 결과 요인을 하나의 단일적으로 측정하였던 기존의 많은 연구에서 학습만족 및 학습전이, 그리고 학습추천 등 크게 3가지로 나누어 세부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e러닝 학습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한 요인을 크게 학습내용과 교수설계, 사용자 편의성 등 3개의 요인으로 유형화하여 설정하였다. 그리고 학습대용 요인은 학습주제와 목표, 지식정보, 일관성과 적절성 등 3개의 세부적 요인으로 구성하였고, 교수설계 요인은 흥미와 공감성, 상호작용, 내용제시, 설명전략 등 4개의 세부적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편의성 요인은 화면구성, 내용 및 진도확인 등 2개의 세부적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학습내용과 교수설계, 그리고 사용자 편의성 등 3개의 요인 모두 e-러닝 학습효과(학습만족, 학습전이, 학습추천)에 유의한 영향용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부적으로 e-러닝 학습만족에 있어서는 학습내용 요인의 학습주제와 목표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만족을 높이기 위해선 학습주제와 목표는 학습자를 기준으로 하여 설정해야 할 것이며, 평가가 가능한 학습목표로 선정해야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학습전이에 있어서는 교수설계 요인의 내용제시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전이를 높이기 위해선 강의내용의 상호관계와 제시순서가 학습을 촉진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구조화시켜 학습자에게 접근이 가능하도록 해야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학습추천에 있어서는 교수설계 요인의 흥미와 공감성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수자가 시의적절한 미디어를 잘 활용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최대한 유도시키며, 적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학습자가 공감을 가질 수 있게 강의를 진행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미국의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학생들의 흥미와 창의성을 높이는 수업요소 (Identification of Instructional Components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 and Creativity in American Science Classrooms)

  • 강남화;박윤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4권2호
    • /
    • pp.421-431
    • /
    • 2010
  • 본 연구는 미국의 한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학생들의 흥미와 창의성을 높이는 수업요소를 추출하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7학년 두 학급을 대상으로 하여 11차시씩의 수업을 관찰하였고, 사전 사후에 흥미검사와 창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소집단 구체적 체험 활동이 흥미와 창의성을 높이는데 가장 좋은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그 외에 흥미를 높이는 방법들로는 개별화된 보조에 따른 수업 진행, 동료교수(peer teaching)가 가능한 모둠별 실험을 위한 충분한 시간 제공, 언제나 어떤 질문에 대해서도 여유있고 허용적인 분위기, 다양한 매체, 특히 첨단 장비의 활용, 목표지향적이고 개인책무를 높인 요약 게임의 사용 등이 관찰되었다. 창의성을 높이는 방법으로는 흥미를 높이기, 실험 전에 가설을 만들어 보기, 실험 시간을 충분히 가지고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해보기 등이 관찰되었다.

  • PDF

교사의 환경교과 전담 여부가 환경교과 수업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생태와 환경 수업을 사례로 - (The Influence of Teacher's Charge on Environmental Education Class -A Case Study on Ecology and Environment Class for High School in Korea-)

  • 강유정;김종욱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7권1호
    • /
    • pp.101-111
    • /
    • 2004
  • The selection rates of Environmental subject have been increasing since the environmental subject was made. Although the quantitative growth, environmental subject is not acknowledged yet in many schools in Korea. Most of environmental teachers teach two subjects; main subject on their own major and environmental subject. In this respect, this qualitative case study aims to show the influence of teachers' charge on environmental class or environmental subject. In the case study, Teacher 'A' takes charge one subject; Environmet, and teacher 'B' takes charge two subjects; Social Study and Environment. Teacher 'A' took some current issues such as SARS(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and Saemangum project, and uses various instructional methods and instruments. On the other hand, teacher 'B' might not choose the current issues, or usually gives up various instructional methods and instruments because of lack of time. Although they have those differences on the instruction, the teachers 'A' and 'B' both agreed to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as well as they did their best to prepare for class on environmental subject. As a result, all these outcomes show teachers need to be responsible for single subject on environment as teachers' interests seriously affect to environmental subject and class.

  • PDF

Tools for the Acquisition of Graphing Ability: Real-Time Graphing Technology

  • Kwon, Oh-Nam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6권1호
    • /
    • pp.53-63
    • /
    • 2002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Calculator-Based Ranger (CBR) activities in the performa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graphing abilities of physical phenomena. Two issues about CBR activities on graphing abilities were addressed in this study; (1) the effect of CBR activities on graphing abilities, and (2) the influence of instructional styles on students' graphing abilities. Following the use of CBR activities, students' graphing abilities were significantly more developed in three components-interpreting, modeling, and transforming.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tudents' achievement depending on instructional styles related to differentiation, which is closely connected to transforming distance-time graphs to velocity-time graph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CBR activities may enhance students in constructing appropriate webs of related concepts and ability to qualitatively interpret graphs. Using collaborative CBR activities to introduce and explore graphing of physical phenomena is, therefore, recommended for inclusion in the secondary mathematics curriculum.

  • PDF

사회적 구성'의 수학교육적 의미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Meaning of 'Social Construc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 홍진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1권3호
    • /
    • pp.329-339
    • /
    • 2002
  • This study analyzes the epistemological meaning of‘social construction’in mathematical instruction. The perspective that consider the cognition of mathematical concept as a social construction is explained by a cyclic scheme of an academic context and a school context. Both of the contexts require a public procedure, social conversation. However, there is a considerable difference that in the academic context it is Lakatos' ‘logic of mathematical discovery’In the school context, it is Vygotsky's‘instructional and learning interaction’. In the situa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the‘society’which has an influence on learner's cognition does not only mean‘collective members’, but‘form of life’which is constituted by the activity with purposes, language, discourse, etc. Teachers have to play a central role that guide and coordinate the educational process involving interactions with learners in this context. We can get useful suggestions to mathematics education through this consideration of the social contexts and levels to form didactical situations of mathematics.

  • PDF

비행훈련 품질 향상을 위한 개선 효과 분석 (Analysis of Improvement Effects for Flight Training Quality)

  • 강달원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82-88
    • /
    • 2020
  • Currently, flight training is not only a technical instruction that teaches maneuvering operations, but has expertise equal to that of general disciplines. Therefore, flight instructors must have academic knowledge and flight skills. As flight instructors are the first teacher in flight training for students who have never experienced actual flight control, the behavior of flight instructors will affect the students' flight education. Therefore, the influence of flight instructors for students are quite large compared to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is study, the factors of instructional behavior were determined, and the actual state of instructional behavior of flight instructors were confirmed through students' survey. Improvements were derived to solve the problems identified in the survey results. For the follow-up analysis, improvements were applied to the flight instructors for 8 months, and then re-question was conducted to the same students who responded to the first questionnaire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results before and after through a paired t-test.

The Effectiveness of Streaming Video with Web Based Text in Online Course: Comparative Study on Three Types of Online Instruction for Korean College Students

  • HEO, JeongChul;HAN, Su-Mi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4권1호
    • /
    • pp.1-26
    • /
    • 2013
  • This study is to identify whether three types of online instruction (text-based, video-based, and video-based instruction without text) and age category have a different influence on students' comprehension and motivation. Onlin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six groups, and they attended two-week online lectures via Course Management System. The comprehension test and the short form of IMMS were implemented when 114 participants accomplished two-week online lectures. The results revealed that using instructional video in online instruction is more effective instructional medium than text only in order to promote learner's motivation. Besides, older adults aged 41-60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younger adults (21-40 years old) in terms of students' comprehension. Furthermore, three types of online instructions are likely to be influenced by age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