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entification of Instructional Components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 and Creativity in American Science Classrooms

미국의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학생들의 흥미와 창의성을 높이는 수업요소

  • Received : 2010.11.13
  • Accepted : 2010.12.22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instructional components supporting students' interest and creativity in American middle school science classrooms. Two 7th grade classrooms were selected, and observed for 11 class periods each. Results showed that hands-on and small group activities were the most effective ways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 The teachers' instructional approaches, such as individualized paced teaching, sufficient peer teaching, permissive atmosphere, various media, and purpose-focused summary game were found to influence students' interest. To enhance students' creativity, increasing interest, making hypothesis, and trying to various experimental method with sufficient time were identified as effective components.

본 연구는 미국의 한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학생들의 흥미와 창의성을 높이는 수업요소를 추출하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7학년 두 학급을 대상으로 하여 11차시씩의 수업을 관찰하였고, 사전 사후에 흥미검사와 창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소집단 구체적 체험 활동이 흥미와 창의성을 높이는데 가장 좋은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그 외에 흥미를 높이는 방법들로는 개별화된 보조에 따른 수업 진행, 동료교수(peer teaching)가 가능한 모둠별 실험을 위한 충분한 시간 제공, 언제나 어떤 질문에 대해서도 여유있고 허용적인 분위기, 다양한 매체, 특히 첨단 장비의 활용, 목표지향적이고 개인책무를 높인 요약 게임의 사용 등이 관찰되었다. 창의성을 높이는 방법으로는 흥미를 높이기, 실험 전에 가설을 만들어 보기, 실험 시간을 충분히 가지고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해보기 등이 관찰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