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ecure adult attachment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31초

어머니의 부모와의 애착관계에 대한 내적 실행모델 -성인애착면접(Adult Attachment Interview)을 중심으로- (Mother's Internal Working Model for Attachment Relationships; Adult Attachment Interview)

  • 장미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69-82
    • /
    • 1998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adaptability of AAI(Adult Attachment Interview) in Korea. The subjects were 20 mothers who had toddlers from middle class. AAI was administrated to them. Interviews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verbatim.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n Mothers' AAI classifications were Secure-Autonomous(F) 60%, Insecure=Dismissing(Ds) 20%, Insecure-Preoccupied(E) 5%, Insecure-Unresolved/disorganized(U/d) 15%. The classification of AAI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mothers' education, but not mothers' age. Autonomous mothers discribed consistently in evaluation of attachment-related experiences and valued attachment. Dismissing mothers showed a incoherent discourse and dismissed attachment-related experiences and relations. Preoccupied mother sticted to past attachment relationship and perplexed with evaluation of these experiences. Unresolved mothers showed lapse during discussion of loss or abuse and were not free from past experienc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t was found th AAI(Adult Attachment Interview) can be used for evaluation of mother's internal working model in Korean culture.

  • PDF

성인 애착 표상의 세대간 전이 : 미주 한인 1세대 어머니와 대학생 자녀를 중심으로 (Attachment Representations in Korean-American Mothers and Their College Students :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 이고은;이영
    • 아동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3-8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irst generation Korean-American mothers' attachment representation as well as the attachment representation of their second generation Korean-American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consisted of 25 first generation Korean-American mothers and 27 second generation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Los Angeles. The Adult Attachment Interview (George, Kaplan, & Main, 1985) was used for assessing attachment representation patter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36% of the subject mothers were classified as secure, 64% were insecurely attached and there was no unresolved/disorganized pattern in the insecure group. Second, 33% of the subject students were classified as secure. 67% were insecure on the AAI, and there was 4% unresolved/disorganized patterns in the insecure group. Third, a difference of 76% was found between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first generation Korean-American mothers' attachment representation pattern and the attachment representation of the second generation Korean-American college students.

성인의 애착양식과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전업주부의 내적 표상을 중심으로 (Adult attachment style and related variables: Focused on internal working models of housewives)

  • 이은해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6권4호
    • /
    • pp.1-16
    • /
    • 1998
  •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es of adult attachment focused on internal working models of 201 housewives. Findings indicated that 68.3% of subjects were classified as secure whereas 27.5% as avoidant and 4.2% as anxious. Greater security was associated with slightly less avoidance while greater anxiousness was associated with slightly greater avoidance. That is subjects who possessed more security tended to be less avoidant while subjects who possessed more anxiousness tended to be more avoidant. The primary characteristics classifying subjects into those three attachment styles were feelings about closeness dependence and anxiousness in relationships with others. Adult attachment was related in theoretically expected ways to one's history of attachment and parenting. Secure subjects were more likely to report warm/responsive parental caregiving style than insecure styles. Insecure subjects in comparison with secure subjects perceived their mothers as cold inconsistent and ot very responsive. Anxious subjects dscribed their fathers as cold and rejecting. The secure attachment style in comparsion with insecure styles was associated with positive mental models of self and social world indicating greater self-esteem positive beliefs about self and others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ir children greater marital satisfaction and greater secure attachment to their husban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ernal working model offers a useful perspective on adult attachment.

  • PDF

불안정 성인애착과 정서조절곤란 간의 관계 :정신화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Emotion Dysregulation : The Mediation Effect of Mentalization)

  • 고미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171-177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불안정 성인애착과 정서조절곤란과의 관계에서 정신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온라인 리서치 회사에 설문을 의뢰하여 총 468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5.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정신화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애착불안, 애착회피, 정신화, 정서조절곤란 간에 모두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애착불안과 정서조절곤란 간의 관계에서 정신화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애착회피와 정서조절곤란 간의 관계에서도 정신화의 유의미한 부분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불안정 성인애착과 정서조절곤란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이들 간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정신화의 역할 또한 확인하였다.

불안정 성인애착과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 :정신화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Resilience : The Mediation Effect of Mentalization)

  • 고미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339-345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불안정 성인애착과 회복탄력성과의 관계에서 정신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온라인 리서치 회사에 설문을 의뢰하여 총 468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5.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정신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애착불안, 애착회피, 정신화, 회복탄력성 간에 모두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애착불안과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에서 정신화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애착회피와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에서 정신화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불안정 성인애착과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를 재확인하였으며, 이들 간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정신화의 역할 또한 확인하였다.

대학생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정서인식명확성을 매개로 스트레스 대처전략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Insecure Adult Attachment on Stress Coping Strategies Through Emotional Clarity of University Students)

  • 박재욱;이은경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6권2호
    • /
    • pp.27-43
    • /
    • 2022
  •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검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 소재 4년제 대학교 남학생 182명, 여학생 219명, 총 401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척도, 정서인식명확성 척도, 스트레스 대처전략 척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불안정 성인애착과 정서인식명확성, 스트레스 대처전략 관계에서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불안정 성인애착과 스트레스 대처전략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정서인식명확성은 불안정성인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과 스트레스 대처전략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코칭에서 자신의 정서를 인식하고 수용할 수 있는 정서인식 명확성을 함께 다루는 감정코칭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중년기 성인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정신화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life Adults: Mediating Effects of Mentalization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 김창래;김현진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7권3호
    • /
    • pp.81-107
    • /
    • 2023
  •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을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특히 중년기 성인의 불안정 성인애착(불안애착, 회피애착)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신의 내적 경험을 명료화할 수 있는 능력인 정신화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능력이 이중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모바일과 오프라인을 통해 자발적으로 참여한 중년기 성인 317명(남자 117명, 여자 200명)의 설문 응답 자료를 Jamovi 2.2.5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구조방정식 모델에서 중년기 성인의 불안정 성인애착(불안애착, 회피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신화의 단순 매개효과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중년기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단순 매개효과는 불안애착에서만 유의미하였다. 셋째, 중년기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불안애착은 정신화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을 통한 완전 이중매개효과를 보였으나, 회피애착은 부분 이중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그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중년기 성인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제공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영아의 애착 유형과 어머니의 애착 표상 유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nfant Attachment Classification and Maternal Attachment Representation)

  • 진미경
    • 아동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9-79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d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from mother's attachment representation to infant's attachment pattern and the associations between maternal attachment representation and their childhood experiences. Subjects were forty 12- to 15-month-old infants and their mothers. The Adult Attachment Interview (Main & Goldwyn, 1984) was used to assess mother's attachment representation. The Strange Situation (Ainsworth, 1978) was used to classify infant's attachment relationship. Mothers were classified as autonomous (F), dismissing (Ds), preoccupied (E), or unresolved/disorganized (Ud). Infants were classified as secure (B), insecure-avoidant (A), insecure-resistant (C), or insecure-disorganized (D). Exact A/B/C/D and Ds/F/E/Ud agreement was observed in 30 of 40 dyads(75%). Maternal childhood experiences were related to maternal attachment representation.

  • PDF

Attachment Representations of Korean-Immigrant Mothers in America

  • Lee, Goh-Eun;Lee, Young
    • Child Studies in Asia-Pacific Contexts
    • /
    • 제1권1호
    • /
    • pp.25-38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ttachment representations of Korean immigrant mothers in America. The subjects were 25 first-generation Korean immigrant mothers who reside in Los Angeles. The Adult Attachment Interview (George, Kaplan, & Main, 1985) was used for assessing their attachment representations. As a result, 36% of the mothers were classified as secure-autonomous (F), 52% as insecure-dismissing (Ds), and 12% as insecure-preoccupied (E). It was concluded that there were lower rates of the secure type among Korean immigrant mothers who had immigrated to the U.S. during the 70's and 80's and higher rates of the dismissing type compared to mothers in South Korea.

독거노년부모에 대한 중년자녀의 정서적 돌봄 경험 : 불안정부모애착 중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Adults Emotionally Caring for Their Elderly Parents Living Alone: Focusing on Middle-aged Adults with Insecure Attachment)

  • 김계연;홍경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657-679
    • /
    • 2021
  • 본 연구는 불안정부모애착을 형성한 중년을 대상으로 독거노년부모에 대한 정서적 돌봄의 경험과 그 본질의 탐색을 통해 이들에 대한 이해와 상담학적 자료제공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5세 이상 60세 미만의 중년 12명(남 3명, 여 9명)을 심층면접한 후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불안정 부모애착을 경험한 중년이 독거노년부모의 정서적 필요를 돌보는 경험에 대하여 60개의 구성된 의미, 18개의 주제, 4개의 주제군이 도출되었다. 주제군으로는 '정서적 소진을 불러온 부정적 경험', '정서적 돌봄에서의 정서적 원동력', '부모돌봄에서의 조력자의 역할', '정서적 돌봄에서의 경제적·신체적 내용'이 있었다. 본 연구는 불안정부모애착을 맺은 중년이 독거부모를 정서적으로 돌보는 경험의 현상을 밝혀 불안정애착 중년에 대한 이해를 넓혔고 상담 적용에 기여할 자료를 마련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