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1457/kjcp.2022.12.6.2.27

The Influence of Insecure Adult Attachment on Stress Coping Strategies Through Emotional Clarity of University Students  

Jaewook Park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Myongji University)
Eunkyoung Lea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Myongji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The Korean Journal of Coaching Psychology / v.6, no.2, 2022 , pp. 27-4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im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in the relation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of university students. 420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area participated in the survey which was composed of adult attachment scale, emotional clarity scale,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scale, and total 401 data (182 men and 219 women) were used in the analysis.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showed the need of intervention on emotional clarity by discovering psychological processes when people who have strong insecure adult attachment tendency cope with stress situations. That is, the emotion coaching will be more effective when emotional clarity is dealt with together as well as stress coping strategies.
Keywords
insecure adult attachment;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stress coping strategies; emotional clarity; emotions coach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강혜림, 정남운 (2018). 성인애착, 의도적 반추 및 스트레스 대처가 실연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23(1), 247-270.
2 김광은 (2004). 성인 애착 유형과 요인에 따른 성격 특성 및 스트레스 대처전략.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1), 53-69
3 김광은, 이위갑 (2005). 연애관계에서 성인 애착 유형 및 요인에 따른 관계 만족.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1), 233-247
4 김동직, 한성열 (1997). 한국대학생의 애착 유형 분포와 대인관계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1(2), 91-109
5 김성현 (2004). 친밀관계 경험검사 개정판 타당화 연구: 확증적 요인분석과 문항반응 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신실, 유금란 (2014). 청소년의 애착유형이 자기 자비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 청소년상담연구, 22(1), 27-45.   DOI
7 김정문 (2010). 불안정애착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동적 사고, 정서인식, 정서표현 양가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지연, 심혜원 (2016). 불안정 성인애착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이성관계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3(2), 73-100.
9 문형춘 (2007). 성인애착 특성과 상담 관계. 한국심리학회, 19(3), 609-634.
10 박희룡 (2015). 대학생 성인아이 특성과 정서인식명확성, 자기분화, 스트레스 대처방식, 커플관계탄력성의 관계. 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권수영, 성기정 (2017). 내면가족시스템이론기반 감정관리 코칭모형, 한국심리학회지: 코칭, 1(2), 23-43.   DOI
12 김경희 (2008). 애착, 의사소통,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이성관계 갈등해결 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배옥현, 홍상욱 (2008). 대학생의 자아분화 정도가 스트레스 수준 및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7(1), 27-34.
14 서영석 (2010).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시 고려사항.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4), 1147-1168.
15 성선진, 이재신 (2000).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 청주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22, 51-89.
16 손윤실, 김정섭 (2017). 대학생의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소진관계. 사고개발, 13(4), 67-88.
17 양혜선 (2004). 애착유형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신노라, 안창일 (2006). 성인 애착 유형과 자기개념, 효능감, 대처 양식, 사회적지지 수준과 대인불안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4), 949-968.
19 신선임(2015). 성인애착 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대학생활 적응. 청소년학 연구, 22(4). 1-21.
20 양난미, 이은경, 송미경, 이동훈 (2015). 외상을 경험한 여자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6(1). 175-197.   DOI
21 윤수진, 탁진국(2020).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감정코칭 프로그램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담임교사와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코칭, 4(2), 27-56.   DOI
22 이보민 (2016). 수용전념치료(ACT)가 불안애착대학생의 우울, 반추, 무조건적 자기수용 및 불안애착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수정,이훈구 (1997). Trait Meta-Mood Scale 의 타당화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1(1), 95-116
24 이은경, 송미경, 양난미, 이동훈 (2016). 대학생의 회피애착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효과. 재활심리연구, 23(1), 37-50
25 이자영 (2013). 학년에 따른 학업열의의 잠재평균 차이 검증. 청소년학연구, 20(2), 1-21.
26 신혜진(2002). 스트레스 대처전략 검사의 타당화 연구: 한국 대학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신혜진, 김창대 (2002). 스트레스 대처전략 검사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상담 및 치료, 14(1), 919-935.
28 이주일, 황석, 한정원, 민경환 (1997). 정서의 체험 표성이 건강과 심리 안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성격, 11(1), 117-140.
29 이선혜 (2017). 대학생의 소진에 관한 국내 문헌 고찰,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1), 371-382.   DOI
30 임그린 탁진국. (2019).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정서중심 그룹코칭의 효과성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코칭, 3(1), 1-23.   DOI
31 조성은. 오경자(2007).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강도, 정서주의력과 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4), 797-812
32 정서영, 송미경 (2017).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인터넷 중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2(1), 61-80.   DOI
33 정은선 (2013).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 및 학업소진의 차이 연구. 인문과학연구, 39, 617-646.
34 조은선 (2012).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 한국발달지원학회, 1(2), 223-239.
35 최요원, 이수정 (2004).학생의 정서인식의 개인차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4), 887-901.
36 최해연, 이동귀, 민경환 (2008). 정서강도, 정서주의, 정서명료성 및 정서표현양가성의 군집과 심리적응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2(4), 63-77.   DOI
37 한건환, 장휘숙, 안권순 (2004).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경험, 대처방식 및 문제 행동에서 자기존중감의 역할. 한국청소년학회, 11(3), 385-402.
38 황미진, 김보라 (2009).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에 대한 애착과 자기분화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한국가정관리학회, 27(2), 269-280.
39 Ainsworth M.D.S.(1967). Infancy in Uganda:Inf ant care and the growth of love.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40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51(6), 1173-1182.   DOI
41 Bowlby, J.(1958). The nature of a child's tie to his mother.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39 ,350-373.
42 Bowlby, J.(1988). A secure base: Parent - child attachments and healthy human development. New York: Basic Books.
43 Stevens, F. L. (2014). Affect regulation styles in avoidant and anxious attachment. Individual Differences Research, 12(3), 123-130.
44 Ciarrochi, J., Chan, A., & Baigar, J. (2000). A critical evaluation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construc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8, 539-561.   DOI
45 Hayes, A. F. (2012). PROCESS: A Versatile Computational Tool for Observed Variable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Modeling.
46 Salovey, P., Mayer, J. D., Goldman, S., Turkey, C., & Palfai, T. (1995). Emotional attention, larity and repair: Exploringemotional intelligence using the Trait Meta-Mood Scale. In J. Pennebaker(Ed.),Emotion, disclosure, and ealth(pp. 125-154)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7 Teyber, E., & McClure, F. H. (2014). 상담 및 심리치료 대인과정접근 (Interpersonal Process in Therapy: An Integrative Model 6th, International Edition). (장미경 외역). Cengage Learnin
48 Gohm,C.L.(2003). Mood Regulation andEmotional Intelligence: IndividualDifferenc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84, 594-607.   DOI
49 Lankler, J. S. (2005). Adult attachment styles and relationship themes: Is there an empirical link ? Adelphi University, The Institute of Advanced Psychological Studies.
50 Lewis, M., Feiring, C., & Rosenthal, S.(2000). The differential relations of parentand peer attachment to adolescent adjustment.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9(1),45-59.   DOI
51 Schachner, D. A., Shaver, P. R., & Mikulincer, M. (2005). Patterns of nonverbal behavior and sensitivity in the context of attachment relationships. Journal of Nonverbal Behavior, 29, 141-169.   DOI
52 Shaver, P. R., & Mikulincer, M. (2002). Attachment - related psychodynamics. Attachment & Human Development, 4, 133-161.   DOI
53 Zivin, K., Eisenberg, D., Gollust, S., & Golberstein, E.(2009). Persistence of mental health problems and needs in a college student populatio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17(3), 180-185.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