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11.657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Adults Emotionally Caring for Their Elderly Parents Living Alone: Focusing on Middle-aged Adults with Insecure Attachment  

Kim, Kye-Yeon (루터대학교 상담심리학과)
Hong, Kyung-Wha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기독교상담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 and nature of emotional care for elderly parent living alone for middle-aged adult who formed initial insecure attachment with his or her parent. To this end, 12 middle-aged people aged 45 to 60 (3 males and 9 females) were recruited as subjects of the study, interviewed in-depth, and analyzed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60 constitutive meanings, 18 themes, and 4 thematic groups were derived for the experience of middle-aged adult who experienced insecure attachment to his or her parent and caring for the emotional needs of elderly parent living alone. Thematic groups included "negative experiences that caused emotional exhaustion," "emotional driving force in emotional care," "the role of helper in parental care," and "economic and physical content in emotional ca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phenomenon of experiences of emotional care for parent living alone by middle-aged adult who had an initial unstable attachment with his or her parent to understand them and contributed to the provision of counseling data.
Keywords
Elderly Parent Living Alone; Middle-aged Adults; Insecure Parental Attachment; Emotional Care; Phenomenology;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태현, 한국에 있어서의 노인부양에 관한 연구: 가족부양의 실태와 부양만족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1.
2 이위환, 권용신, "가족친밀감과 노인인식이 노인부양 의식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제14권, 제2호, pp.165-178, 2005.
3 이원준, "중년부부가 지각하는 성장 시 부모의 헌신이 노부모 수발헌신에 미치는 영향과 부모-자녀 간의 친밀성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37권, pp.77-109, 2012.
4 정의신, 한국의 국민연금과 사적이전에 관한 연구: 베이비붐 전 후 세대의 은퇴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빅사학위논문, 2010.
5 이위환, 권용신, "가족친밀감과 노인인식이 노인부양 의식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제14권, 제2호, pp.165-178, 2005.
6 http://kosis.kr, 2021.09.28
7 한경옥, 노인의 영적 안녕감 증진과 죽음불안 감소를 위한 기독교상담 방안, 성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8 M. Main and J. Solomon, "Procedures for identifying infants as disorganized/disoriented during the Ainsworth Strange Situation," Attachment in the preschool years: Theory, research, and intervention, Vol.1, pp.121-160, 1990.
9 K. Bartholomew and L. M. Horowitz, "Attachment styles among young adults: A test of a four-category mode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1, No.2, p.226, 1991.   DOI
10 C. Hazan and P. Shaver, "Romantic Love Conceptualized as an Attachment Proc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2, No.3, pp.511-524, 1987.   DOI
11 J. Wallin, A Deleuzian approach to curriculum: Essays on a pedagogical life, Springer, 2010.
12 P. J. Connell,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lived experiences of adult caregiving daughters and their elderly mothers, University of Florida, Doctoral dissertation, 2003.
13 C. Mendez-Luck, D. P. Kennedy, and S. P. Wallace, "Guardians of health: The dimensions of elder caregiving among women in a Mexico City Neighborhood," Social Science & Medicine, Vol.68, No.2, pp.228-234, 2009.   DOI
14 J. Baldock, "Social care in old age: more than a funding problem," Social Policy & Administration, Vol.31, No.1, pp.73-89, 1997.   DOI
15 김예성, "노인의 독거여부에 따른 건강증진행위와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3호, pp.400-429, 2014.   DOI
16 M. Main and J. Solomon, "Discovery of an insecure-disorganized/disoriented attachment pattern," Affective development in infancy, pp.95-124, 1986.
17 정의신, 한국의 국민연금과 사적이전에 관한 연구: 베이비붐 전후 세대의 은퇴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8 장휘숙, 성인발달 및 노화심리학, 박영사, 2012.
19 G. Corey and M. S. Corey, I never knew I had a choice: Explorations in personal growth, Cengage, 2018.
20 E. Litwak, Helping the Elderly: The Complementary Roles of Informal Networks & Formal Systems, Guilford Press, 1985.
21 김서현, 노년기 우정으로 가족 밖 새로운 가족 만들기 : 남성 독거노인의 공동체 참여 경험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22 J. Bowlby, "The bowlby-ainsworth attachment theory,"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Vol.2, No.4, pp.637-638, 1979.   DOI
23 이희숙, 성인애착과 결혼만족 간의 관계: 보살핌, 성적 친밀감의 매개 효과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24 장휘숙, "애착과 대학생의 정체감 발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13권, 제3호, pp.141-57, 2000.
25 장영은, 엄기욱, 김정숙, 나카지마 가즈오, "요보호 노인을 수발하는 가족원의 수발헌신척도 개발 및 우울과의 관련성 연구," 복지연구, 제42권, pp.79-98, 2008.
26 http://www.dailypop.kr/news/articleView.html?idxno=44177, 2021.09.28
27 한경혜, 이정화, 지금, 중년을 말할 때, 교문사, 2012.
28 J. W. Creswell,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2nd ed), Sage, 2007.
29 W. H. Berman and M. B. Sperling,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adult attachment in Attachment in Adult: Clinical and Developmental Perspectives, The Guilford Press, 1994.
30 K. Bartholomew, "Avoidance of intimacy: An attachment perspective,"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Vol.7, No.2, pp.147-178, 1990.   DOI
31 김광은, "성인 애착 유형과 요인에 따른 성격 특성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6권, 제1호, pp.53-69, 2004.
32 B. D. Carpenter, "Attachment bonds between adult daughters and their older mother: Associations with contemporary caregiving," The Journal of Gerontology, Vol.56, No.5, pp.257-266, 2001.   DOI
33 장영은, 엄기욱, 김정숙, 나카지마 가즈오, "요보호 노인을 수발하는 가족원의 수발헌신 척도 개발 및 우울과의 관련성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42권, pp.79-98, 2008.
34 안하얀, 서영석, "성인 미혼 커플의 아동기 정서학대 경험과 관계적응: 성인애착과 관계욕구충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23권, 제2호, pp.195-221, 2018.
35 V. G. Cicirelli, "Adult children's attachment and helping behavior to elderly parents: A path model,"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45, pp.815-824, 1983.   DOI
36 S. Merriam, Introduction to Qualitative Research, Jossey-Bass, 2002.
37 김미선, "초기부모애착척도 개발 및 타당화," 상담학연구, 제17권, 제4호, pp.95-113, 2016.
38 홍이화, 하인즈 코헛의 자기심리학 이야기,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11.
39 김미선, 기혼여성의 초기 부모애착과 부부친밀감의 관계에서 하나님애착의 조절효과와 성인애착의 매개효과,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40 조윤주, 이숙현,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와의 정서적 관계와 부모 부양 의식," 가정과삶의질연구, 제22권, 제3호, pp.63-74, 2004.
41 M. D. S. Ainsworth, M. C. Blehar, E. Water, and S. Wall, Patterns of Attachment: A Psychological Study of the Strange Situation, Erlbaum, 1978.
42 김혜순, "어머니 애착실행모델과 유아기 자녀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어머니 자아분화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제67권, pp.193-217, 2011.
43 J. Bowlby, Attachment and loss, Basic Books, 1980.
44 임경수, "중년의 위기와 죽음,"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제12권, pp.9-22, 2006.
45 조추용, "노인이 가족에게 기대하는 부양 기대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24권, pp.71-99, 2004.
46 김정란, 이은희, "중년 여성의 불안정 애착이 본인의 우울수준 및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역기능적 태도와 부부갈등의 매개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9권, 제2호, pp.297-319, 2007.
47 이현주, 안명희, "어머니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청소년 자녀에 대한 심리적 통제에 미치는 영향: 정신화 능력과 부정적 정서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7권, 제3호, pp.413-434, 2012.   DOI
48 안명희, "어머니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정서와 심리적 통제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29권, 제4호, pp.867-885, 2010.
49 김윤정, 최유호, "성인자녀의 부모 부양 동기에 관한 연구: 성별 및 부양자-노부모 관계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2권, 제3호, pp.313-33, 2007.
50 김분한, 김금자, 박인숙, 이금재, 김진경, 홍정주, 이미향, 김영희, 유인영, 이희영, "현상학적 연구 방법의 비교고찰," 대한간호학회지, 제29권, 제6호, pp.1208-1220, 1999.   DOI
51 신성자, 이원준, "중년남성들의 노부모와의 친밀성과 수발효능감이 노부모 수발헌신에 미치는 영향: 부모건강집단과 부모병약집단 간의 다집단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제49권, 제10호, pp.15-2, 2011.   DOI
52 김귀분, 최연주, "노인의 사회적 요인(노인차별경험, 가족지지) 및 심리 정서적 요인(고독, 무력감)과 죽음 불안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제26권, 제5호, pp.584-591, 2014.
53 이현지, "부양책임이 부양부담과 향후 부양의지에 미치는 영향-심신기능손상 노인의 부양가족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27권, 제4호, pp.1015-1030, 2007.
54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 질적 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4.
55 임신자, 이선희, "노인의 체육활동 참여 만족이 부양 기대감 및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제29권, 제1호, pp.89-99, 2009.
56 G. O. Hagestad, "Dimensions of time and the family,"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Vol.29, No.6, pp.679-694, 1986.   DOI
57 N. Folbre, The invisible heart: Economics and family values, The new press, 2001.
58 J. Bowlby, A secure base: Parent-child attachment and healthy human development, Basic Books, 1988.
59 H. Kohut, "Introspection, empathy, and psychoanalysis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 of observation and theory," Journal of the american psychoanalytic association, Vol.7, No.3, pp.459-483, 1959.   DOI
60 조혜선, "결혼만족도의 결정요인: 경제적 자원, 성 역할관, 관계성 모델의 비교," 한국사회학, 제37권, 제1호, pp.91-115, 2003.
61 조윤주, 이숙현,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와의 정서적 관계와 부모 부양 의식," 가정과삶의질연구, 제22권, 제3호, pp.63-74, 2004.
62 L. A. Sroufe, "Attachment and development: A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from birth to adulthood," Attachment & human development, Vol.7, No.4, pp.349-367, 2005   DOI
63 L. Steinberg and S. B. Silverberg, "The vicissitudes of autonomy in early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pp.841-851, 1986.
64 정석환, "중년의 위기: 중년남성의 위기와 일중독,"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제12권, pp.23-41, 2006.
65 L. Morgan and S. Kunkel, Aging: The Social Context (2nd Edition), Pine Forge Press, 2001.
66 R. B. Wilkinson, "Development and properties of the adolescent friendship attachment scal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t, Vol.37, pp.1270-1279, 2008.   DOI
67 김선희, 시부모 부양며느리의 안녕감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68 문정희, 안정신, "노부모의 의존성 및 과잉간섭과 중년자녀의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 있어 노부모에 대한 양가감정의 매개효과: 자녀의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제54권, 제3호, pp.227-238, 2016.   DOI
69 임경수, "중년의 위기와 죽음,"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제12권, pp.9-22, 2006.
70 M. Sliverstein and V. L. Bengtson,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and the structure of adult child-parent relationships in American famili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103, No.2, pp.429-60, 1997.   DOI
71 조병은, "노년기 가족관계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현황과 과제," 가정과삶의질연구, 제25권, 제1호, pp.59-75, 2007.
72 김두섭, 박경숙, 이세용, "중년층과 노부모의 세대관계와 중년층의 노후부양관," 한국인구학, 제23권, 제1호, pp.55-89, 2007.
73 김미혜, 신경림, 강미선, 강인, "고령화 한국사회의 부양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 성공적 노후 삶의 유형별 부양체계 분석을 통하여," 한국노년학, 제26권, 제3호, pp.617-639, 2006.
74 D. J. Levinson, The Seasons of a Woman's Life, Ballantine Books, 2009.
75 김선희, 시부모 부양며느리의 안녕감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76 F. G. Lopez and B. Gormley, "Stability and change in adult attachment style over the first-year college transition: Relations to self-confidence, coping, and distress pattern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9, pp.355-364, 2002.   DOI
77 김지연, 심혜원, "불안정 성인애착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이성관계 갈등해결 전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2호, pp.73-100, 2016.
78 M. Hermanns and B. Mastel-Smith, "Caregiving: A qualitative conceptanalysis. The Qualitative Report," Vol.17, No.38, pp.1-18, 2012.
79 B. C. Spillman and L. E. Pezzin, "Potential and active family caregivers: Changing networks and the 'sandwich generation'," Milbank Quarterly, Vol.78, No.3, pp.347-374, 2000.   DOI
80 신성자, 이원준, "중년 아들.딸의 노부모 돌봄실천의지에 규범적 헌신과 정서적 헌신이 미치는 영향: 부양부담의 매개효과와 성별 및 종교유무의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신앙과 학문, 제19권, 제2호, pp.83-124, 2012.
81 정옥분, 성인발달의 이해: 성인.노인심리학, 학지사, 2000.
82 D. R. Garland, Family Ministry: a comprehensive guide(2nd ed, Inter Vasity Press, 2012.
83 김오복, 여성노인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백석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84 https://kostat.go.kr, 2021.09.28.
85 https://data.oecd.org, 2021.09.28.
86 김혜숙,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87 김미혜, 신경림, 강미선, 강인, "고령화 한국사회의 부양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 성공적 노후 삶의 유형별 부양체계 분석을 통하여," 한국노년학, 제26권, 제3호, pp.617-639, 2006.
88 M. Hermanns and B. Mastel-Smith, "Caregiving: A qualitative conceptanalysis," The Qualitative Report, Vol.17, No.38, pp.1-18, 2012.
89 G. Standing, Care work: Overcoming insecurity and neglect, International Labour Office,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