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nformation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검색결과 1,019건 처리시간 0.024초

통신재난의 유형 및 위험분석 (Communication Disaster Type and Risk Analysis)

  • 최재명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제9권3호
    • /
    • pp.18-23
    • /
    • 2021
  • 초연결사회로 발전됨에 따라 정보통신의 역할이 크게 증대되고 통신재난이 발생할 경우 사회 인프라, 국가핵심기반의 서비스 중단 및 국민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초래한다. 또한 정보통신분야는 산업구조가 고도화되면서 이에 대한 의존도가 급격히 증대하였기 때문에 재난으로부터 안전한 정보통신 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서 정보통신, 금융, 보건 및 의료 등 국가핵심기반 및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정보통신인프라에 발생할 수 있는 재난의 유형 및 위험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정보통신인프라에 재난이 발생할 경우 국가핵심기반의 서비스 중단 및 국민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초래할 것으로 사료된다.

Estimation of the Demand Function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struction Business

  • Kwak, Jeong Ho;Lee, Jemin Justin;Lee, Han-Joo;Lee, Bong Gyou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9권8호
    • /
    • pp.3249-3257
    • /
    • 2015
  • The smart convergence environment, in which all industries are converged around ICT infrastructure -- with the eventual inclusion of both industry and culture -- looms. With the emergence of new convergence industries such as smart medicine, smart cities, and smart automobiles, the ICT infrastructure is recognized as the foundation of the overall economy. As such, the importance of the next gener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struction businesses, which constructs the ICT infrastructure, is highlighted under the smart convergence paradigm environment; various multilateral policies to foster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struction business -- l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 are being implemented. Like other infrastructure industries, however, the estimation of the demand function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struction business overall is essential for effectively establishing promotional policies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struction businesses. However, there has been no study which theoretically estimates the market demand function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struction business thus far. The pursuit of a creative economy is a national agenda, as the significance of accelerating the ICT infrastructure is emphasized. Therefore, this paper seeks to estimate quantitatively the demand function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struction business using empirical data and a statistical model and then to present policy implications which will aid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struction business.

전기차 충전 인프라와 전력망 간의 통신 상호운용성 연구 (Communication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Uehicle Charging Infrastructure and Grid Network)

  • 주승환;이일호;송상훈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5-25
    • /
    • 2018
  • ISO/IEC 15118 is a standard for communications and services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infrastructure. Although this standard deals only with data communication between an electric vehicle and a charge statio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is essential for establishing an authentication system for vehicle certification and V2G service for electric power transmission. In this study, it was designed to verify the information of electric car charging infrastructure in electric power system through communication link between ISO/IEC 15118 electric vehicle model and IEC 61850 standard MMS protocol. This is demonstrated in the field so that the electric vehicle communication data is linked with the micro grid management system. This could be used as an element technology in other distributed power sources as well as electric cars in the future.

DEA 모형을 이용한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취약점 분석·평가의 효율성 분석 (Analysis of Efficiency of Maj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nalysis and Evaluation Methods Using DEA Model)

  • 선종욱;이경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1권4호
    • /
    • pp.853-862
    • /
    • 2021
  • 오늘날 국가 기반시설의 전자적 침해 행위에 의한 정보통신 인프라의 교란 및 마비가 위협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주요 기반시설의 정보시스템 및 제어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취약점 분석·평가제도를 정기적으로 시행하고 있으며 이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매년 늘어난 인적·물적 자원을 투자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가 기반시설을 대상으로 한 침해사고가 지속해서 발생함에 따라 정보보호 기반마련을 위한 정부의 자원 투입이 정보보호 활동 결과 산출에 미치는 영향도가 떨어져 평가체계가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취약점 분석·평가 제도의 효율적 운용여부를 DEA 모형을 이용해 검토하고,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정보보호 수준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도록 한다.

주요 정보통신 기반시설 취약점 분석 및 평가절차 모델 개선 연구 (An Advanced Model for Week Point Analysis and Evaluation on Important Information Communication Infrastructures)

  • 최웅규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43-48
    • /
    • 2012
  • 주요 정보통신 기반시설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국내에서는 2001년부터 정보통신 기반보호법을 제정하여 주요 통신장비가 집중된 시설 및 정보통신 서비스 전국감시 시설, 국가 행정 운영 및 관리 시설 등을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주요 정보통신 기반시설에 대하여 해당 관리기관은 주요 정보통신 기반시설에 대한 취약점 분석 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자체 수행이 불가능한 경우 외부 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적절한 주요 정보통신 기반시설 취약점 분석 평가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개선된 취약점 분석 평가 모델을 제시하였고, 주요 정보통신 기반시설에 이를 적용함으로써 검증 하였다. 관계기관은 본 연구를 활용하여 기관에 적합한 취약점 분석 평가를 수행 할 수 있을 것이다.

남북한 통일대비 북한지역 정보통신 인프라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stablishment Schem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 after korean Unification)

  • 이재완;최연성;고남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4권4호
    • /
    • pp.785-792
    • /
    • 2000
  • 정보화시대의 세계각국은 정보화 물결에 적극 대응하고 21세기 새로운 사회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경쟁적으로 국가정보인프라 구축을 강력히 추진함으로써 정보화를 가속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일후 북한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제방면에서 남북한간 통합을 달성해 나가는 데 있어 핵심적인 기반이라 할 수 있는 정보통신의 통합전략을 위해 통일후 북한지역에 정보통신 인프라구축에 필요한 기본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개도국의 공개키기반구조 도입 전략에 관한 연구: 말라위를 중심으로 (Research on Deployment Strategy of Public Key Infrastructure for Developing Country: Focused on Malawi)

  • 김현성;최해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0호
    • /
    • pp.45-51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말라위의 정보통신 인프라 현황에 맞는 공개키기반구조 도입전략을 수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말라위를 중심으로 한 개도국 및 극빈국의 정보통신 현황을 파악하고, 국가 정보보호 체계 수립에 효율적일 수 있는 모바일 기반 공개키기반구조 도입전략을 수립하고자 한다. 먼저 무선 통신에 적합한 공개키기반구조를 위한 보안 고려사항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말라위의 정보통신 환경에 적합한 모바일 기기를 중심으로 하는 경량의 국가 공개키기반구조에 대한 설계를 제시한다. 특히, 제안하는 모바일 기반 공개키기반구조는 스마트카드를 기반으로 인증서에 대한 모든 처리를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모바일 통신에 적합한 공개키기반구조는 경량의 모바일 기기를 중심으로 유선네트워크 수준의 보안을 보장할 수 있다.

Implementation of Cloud-Based Virtual Laboratory using SOI and CIMP on Virtual Machines

  • Ferdiansyah, Doddy;Hwang, Mintae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20권1호
    • /
    • pp.16-21
    • /
    • 2022
  • In this research, we create a network infrastructure based on a service-oriented infrastructure (SOI) for the virtualization technology and integrate it with a cloud technology that applies the cloud integration management platform (CIMP) concept. In CIMP, the server and storage will be separated. The server will be adopted for virtualization while the storage will be used by students and teachers to store data. As long they save their data in the storage module, every time, everywhere, and on every device, they can access their data. This research will implement the design of the network infrastructure and be applied to the remote practical learning system in the laboratory. Students and teachers will ultimately adopt this network infrastructure for remote practice using their respective devices without physically meeting in the laboratory. In the future, if the implementation phase is successful, then in addition to laboratory environments, it can be implemented in all learning activities at our campus.

가시광통신 기반 u-Society 구현을 위한 LED 조명 인프라 (LED Illumination Infrastructure for Ubiquitous Society based on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 전정우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8년도 정보통신설비 학술대회
    • /
    • pp.273-276
    • /
    • 2008
  • This article describes a LED illumination infrastructure for ubiquitous society based on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VLC is one of the advanced communication system using "Visible Light". The VLC system has a lot of advantageous features and can be used in various places for the next future generation. So, we analyzed ubiquitous service model based on the VLC system and some applications. And we renewed discussion about LED illumination infrastructure for u-Society.

  • PDF

지식경영 과정들에 대한 사회적 자본, 원가기획시스템과 정보기술 하부구조의 영향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Target Costing and IT Infrastructure on Knowledge Management Processes)

  • 최종민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89-114
    • /
    • 2010
  •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target costing system as well as information technology(IT) infrastructure on the knowledge management processes(i.e., socialization, externalization, combination and internalization) and the performance of a firm. This study also examined an impact of the social capital(i.e., inter-departmental communication, trust, cooperation and integration) on the adoption and development of the target costing and the IT infrastruc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nter-departmental communication, trust and integration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adoption of the target costing. It was also found that the effects of inter-departmental communication and integration on the development of storage and transfer infrastructure are significant and positive. However, in the adoption of search infrastructure, only the impact of inter-departmental integration was significant.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es presented that the target costing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our processes of knowledge management.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effects of storage and transfer infrastructure on combination are significant and positive. In search infrastructure, the impact on combination and internalization was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when the adoption level of the target costing is high, search infrastructure mainly affects the three processes(i.e., socialization, combination and internalization). However, under a low adoption level of the target costing, the impact of storage and transfer infrastructure on the whole processes was significant and positive. Thus, it is assumed that storage and transfer infrastructure complements a low level of the target costing adoption through the active transfer and sharing of explicit and tacit know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