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25초

후보자 이미지 형성에 관한 미디어의 차별적 효과와 미디어 이용, 대인커뮤니케이션, 투표참여 간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Differential Media Effects on Candidates' Image and Correlations Among Media Us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Voting Participation)

  • 김진영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2권
    • /
    • pp.113-14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이용과 선거캠페인의 이용이 투표참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1) 지역미디어이용과 주의 깊은 선거캠페인 이용이 대인커뮤니케이션과 투표참여에 영향을 끼쳤는가 2) 주의 깊은 선거캠페인에서 형성된 후보자 이미지가 투표에 영향을 미쳤는가, 또, 정당요인이 크게 작용하는 지방선거에서 정당요인과 이미지요인이 투표에 어떤 영향을 가지는가 그리고 3) 각기 다른 매체들은 후보자 이미지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어떤 차별적 역할을 하는가를 검토해보았다. 연구 결과, 주의 깊은 정치캠페인 이용과 지역신문 이용은 대인커뮤니케이션의 증가를 가져왔고, 또 대인커뮤니케이션을 많이 하면 할수록, 투표참여가 높았음이 경로분석에서 드러났다. 즉, 정치참여에서 대인커뮤니케이션은 미디어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보완적 관계임이 확인되었다. 또, 투표참여의 중요한 세 변인인 이슈, 이미지, 정당 가운데, 이미지와 정당요인이 후보자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한 결과, 정당지지와 후보 결정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를 발견했지만, 후보자 이미지가 후보결정이나 투표참여로는 연결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미지 요인과 정당 요인 중 후보결정에는 정당 요인이 더 큰 영향력을 발휘했다. 또, 유권자들은 자신이 이미 선호하고 있는 정당지지성향에 따라, 상대정당 후보보다 자신의 지지정당 후보의 이미지를 모든 요인에서 높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어, 인지균형이론의 적용을 보여주었다. 후보자 이미지에 대한 미디어의 차별적 효과는 부분적으로 증명이 되었다. 즉, 후보자의 이미지 중, 능력 요인은 TV 토론회, 인터넷 홈페이지, 홍보책자를 각각 주의 깊게 이용한 실험집단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성연구의 차별적으로 기여하는 점은 기존의 연구는 기업의 명성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문항개발에 초점을 맞추었는데 비해서 실제 국내에서 명성을 축적한 기업을 대상으로 명성측정을 개별적으로 적용함으로써 각 기업의 명성을 계량화하고 명성을 구성하는 차원이 실제 명성에 어떻게 기여했는지에 대해서 파악했다는 점이다. 이는 실무적으로 보았을 때 홍보담당자가 자신의 기업홍보활동이 기업명성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를 파악하고 경쟁기업의 홍보활동에 비해서 얼마만큼 효율적이었는지에 대한 평가기준을 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어에 대한 차별성 내지 특수성에 기인하는 동기들에 비해 전체적으로 강하다. 또한 기존 이론과 연구들에서 유의미한 이동전화 이용의 요인으로 제기된 사회심리적 특성들은 조사대상인 청소년들에 있어서도 큰 차이 없이 일반화가 가능한 것으로 보이며, 그 중에서도 "혁신성"과 "타인지향성"이 미치는 영향이 주목된다.X>62mL, 부분반응군 330${\pm}$136mL, 무반응군 140${\pm}$43mL, 야간 다뇨는 각각 59.3$\%$(16/27), 40.7$\%$(11/27), 0$\%$(0/27)로 야간 요량이 많을수록 유의하게 치료 효과가 좋았다(P<0.05). 일회 최대 요량은 완전반응군 236${\pm}$42 mL, 부분반응군 209${\pm}$56 mL, 무반응군 107${\pm}$36mL로 최대 요량이 많을수록 유의하게 치료 효과가 좋았다 (p<0.05). 연령, 성별, 일일 수분 섭취량, 다음, 일일 요량과 다뇨은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야간 수분

  • PDF

융합독서교육이 청소년의 융합적 소양에 미치는 영향 - 학습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Convergence Reading Education on the Convergence Literacy of Adolesc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 조수연;조미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51-178
    • /
    • 2023
  • 이 연구는 융합독서교육모형을 토대로 학교도서관 독서수업을 실시하여 청소년의 융합적 소양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 및 문헌을 바탕으로 미래지향적 역량을 위한 융합적 교육의 요소를 독서교육의 차원에서 도출하였고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 50명을 대상으로 융합적 소양 검사를 수행하여 교육의 효과성을 측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2022년 3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12차시에 걸쳐 독서수업 및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융합독서교육과 자율독서교육을 각각 적용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융합적 소양의 증진에 있어 독서교육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둘째, 융합독서교육은 융합력, 창의력, 자기주도성 및 소통능력 등 청소년의 융합적 소양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셋째, 융합독서교육이 융합적 소양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학습동기가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검증한 결과, 학습동기는 융합독서교육과 융합적 소양 사이에서 창의력, 자기주도성, 소통능력에 대해서는 부분매개 역할을 하며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융합력에 대해서는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공학교육에서 하브루타 수업방식의 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Havruta Method in Engineering Education)

  • 엄미리;이영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49-15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공대 대학수업에 하브루타 방식을 적용하여 실제적으로 학습자의 역량에 변화가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으로, 대학수업에서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학물리및실험2>를 수강하는 105명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선행연구들을 탐색하여 하브루타 수업에서의 학습자 역량으로 학습준비도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을 선정하고 연구도구를 활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는 하브루타 수업적용을 위한 수업설계, 실험설계,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하고 SPSS 21.0 for window를 활용하여 사전-사후 학습자 역량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첫째, 학습준비도능력은 사전-사후검사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특히 하위역량 중 학습에 대한 애착, 학습기회에 대한 개방성, 학습에 대한 주도성/독립성에서 긍정적인 역량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사전-사후검사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사소통능력은 사전-사후검사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특히 하위역량 중 주도적 의사소통에서 긍정적인 역량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연구결과는 교수자 중심의 교육에서 탈피하여 공대 수업에 학생중심의 하브루타 방식을 적용하여 효과를 탐색한 것으로, 공대 수업이나 대학수업에 하브루타를 적용하고 싶은 교수자나 수업설계자들에게 좋은 지침 및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의과대학생을 위한 환자안전 교육의 국제적 동향 및 국내 현황 (Patient Safety Education for Medical Students: Global Trends and Korea's Status)

  • 노혜린
    • 의학교육논단
    • /
    • 제21권1호
    • /
    • pp.1-12
    • /
    • 2019
  • This study is a narrative review introducing global trends in patient safety education within medical schools and exploring the status of Korean education. Core competences for patient safety include patient centeredness, teamwork, evidence- and information-based practice, quality improvement, addressing medical errors, managing human factors and system complexity, and patient safety knowledge and responsibility. According to a Korean report addressing the role of doctors, patient safety was described as a subcategory of clinical care. Doctors' roles in patient safety included taking precautions, educating patients about the side effects of drugs, and implementing rapid treatment and appropriate follow-up when patient safety is compromised. The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 suggested patient safety competence as one of eight essential human and society-centered learning outcomes. They included appropriate attitude and knowledge, human factors, a systematic approach, teamwork skills, engaging with patients and carers, and dealing with common errors. Four Korean medical schools reported integration of a patient safety course in their preclinical curriculum. Studies have shown that students experience difficulty in reporting medical errors because of hierarchical culture. It seems that patient safety is considered in a narrow sense and its education is limited in Korea. Patient safety is not a topic for dealing with only adverse events, but a science to prevent and detect early system failure. Patient safety emphasizes patient perspectives, so it has a different paradigm of medical ethics and professionalism, which have doctor-centered perspectives. Medical educators in Korea should understand patient safety concepts to implement patient safety curriculum. Further research should be done on communication in hierarchical culture and patient safety education during clerkship.

델파이 조사를 통한 영재교육 핵심역량 개발 및 타당화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and Validating Core Competencies for Gifted Education Based on Delphi Technique)

  • 박혜진;차승봉;김용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319-328
    • /
    • 2021
  • 본 연구는 델파이 조사 방법을 활용하여 영재교육 핵심역량을 개발하고, 역량별 정의를 토대로 행동 요소 선정 및 척도 문항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문헌 분석을 통해 영재교육 핵심역량을 선정한 후 각 역량의 정의가 역량명에 적합한지를 확인하기 위한 1차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후 2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핵심역량 함양을 위해 요구되는 능력을 행동 요소로 표현하여 세부 문항을 개발하고 타당화 작업을 수행하였다.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태도와 실천의지, 의사소통과 협업, 정보처리와 도구 활용, 창의적 문제해결, 융합과 응용, 고등 추론, 공동체 의식, 학습성취지향의 8개 핵심역량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영재교육이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 필요한 영재교육 핵심역량과 행동 요소를 선정하고, 역량 함양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시맨틱 웹 기술혁신의 채택과 확산: 질적연구접근법 (The Adoption and Diffusion of Semantic Web Technology Innovation: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 주재훈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9권1호
    • /
    • pp.33-62
    • /
    • 2009
  • Internet computing is a disruptive IT innovation. Semantic Web can be considered as an IT innovation because the Semantic Web technology possesses the potential to reduce information overload and enable semantic integration, using capabilities such as semantics and machine-processability. How should organizations adopt the Semantic Web? What factors affect the adoption and diffusion of Semantic Web innovation? Most studies on adoption and diffusion of innovation use empirical analysis as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n the post-implementation stage. There is criticism that the positivist requiring theoretical rigor can sacrifice relevance to practice. Rapid advances in technology require studies relevant to practice. In particular, it is realistically impossible to conduct quantitative approach for factors affecting adoption of the Semantic Web because the Semantic Web is in its infancy. However, in an early stage of introduction of the Semantic Web, it is necessary to give a model and some guidelines and for adoption and diffusion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to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odel of adoption and diffusion of the Semantic Web and to offer propositions as guidelines for successful adoption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cluding multiple case studies and in-depth interviews. The researcher conducted interviews with 15 people based on face-to face and 2 interviews by telephone and e-mail to collect data to saturate the categories. Nine interviews including 2 telephone interviews were from nine user organizations adopting the technology innovation and the others were from three supply organizations.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used to collect data.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on digital voice recorder memory and subsequently transcribed verbatim. 196 pages of transcripts were obtained from about 12 hours interviews. Triangulation of evidence was achieved by examining each organization website and various documents, such as brochures and white papers. The researcher read the transcripts several times and underlined core words, phrases, or sentences. Then, data analysis used the procedure of open coding, in which the researcher forms initial categories of information about the phenomenon being studied by segmenting information. QSR NVivo version 8.0 was used to categorize sentences including similar concepts. 47 categories derived from interview data were grouped into 21 categories from which six factors were named. Five factors affecting adoption of the Semantic Web were identified. The first factor is demand pull including requirements for improving search and integration services of the existing systems and for creating new services. Second, environmental conduciveness, reference models, uncertainty, technology maturity, potential business value, government sponsorship programs, promising prospects for technology demand, complexity and trialability affect the adoption of the Semantic Web from the perspective of technology push. Third, absorptive capacity is an important role of the adoption. Fourth, suppler's competence includes communication with and training for users, and absorptive capacity of supply organization. Fifth, over-expectance which results in the gap between user's expectation level and perceived benefits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adoption of the Semantic Web. Finally, the factor including critical mass of ontology, budget. visible effects is identified as a determinant affecting routinization and infusion. The researcher suggested a model of adoption and diffusion of the Semantic Web, representing relationships between six factors and adoption/diffusion as dependent variables. Six propositions are derived from the adoption/diffusion model to offer some guidelines to practitioners and a research model to further studies. Proposition 1 : Demand pull has an influence on the adoption of the Semantic Web. Proposition 1-1 : The stronger the degree of requirements for improving existing services, the more successfully the Semantic Web is adopted. Proposition 1-2 : The stronger the degree of requirements for new services, the more successfully the Semantic Web is adopted. Proposition 2 : Technology push has an influence on the adoption of the Semantic Web. Proposition 2-1 : From the perceptive of user organizations, the technology push forces such as environmental conduciveness, reference models, potential business value, and government sponsorship program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adoption of the Semantic Web while uncertainty and lower technology maturity have a negative impact on its adoption. Proposition 2-2 : From the perceptive of suppliers, the technology push forces such as environmental conduciveness, reference models, potential business value, government sponsorship programs, and promising prospects for technology demand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adoption of the Semantic Web while uncertainty, lower technology maturity, complexity and lower trialability have a negative impact on its adoption. Proposition 3 : The absorptive capacities such as organizational formal support systems, officer's or manager's competency analyzing technology characteristics, their passion or willingness, and top management support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successful adoption of the Semantic Web innovation from the perceptive of user organizations. Proposition 4 : Supplier's competence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absorptive capacities of user organizations and technology push forces. Proposition 5 : The greater the gap of expectation between users and suppliers, the later the Semantic Web is adopted. Proposition 6 : The post-adoption activities such as budget allocation, reaching critical mass, and sharing ontology to offer sustainable service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successful routinization and infusion of the Semantic Web innovation from the perceptive of user organizations.

Digital Tools for Optimizing the Educational Process of a Modern University under Quarantine Restrictions

  • Nadiia A. Bachynska;Oksana Z. Klymenko;Tetiana V. Novalska;Halyna V. Salata;Vladyslav V. Kasian;Maryna M. Tsily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4권1호
    • /
    • pp.133-139
    • /
    • 2024
  • The educational situation, which resulted from the announced self-isolation regime, intensified the forced decisions on the organization of the distance educational process. The study is topical because of the provision of distance learning based on the experience of Kyiv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e and Arts.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stages. Systemic, socio-communicative, competence approaches, sociological methods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were chosen as methodological tools of the research. The results of a survey of teachers and entrants to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on the topic "Using social networks and digital platforms for online classes under the conditions of quarantine restrictions" allowed to scientifically substantiate the need for deeper knowledge of such tools as Google Meet (79%), Zoom (13.78%) and Google Classroom (11.62%), which are preferred by entrants. Almost a third of entrants (34.26%) noted the lack of scientific and methodological support for learning the subjects. The study showed high efficiency of messengers in distance education. The study found that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communication in the student-teacher system,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the priority of Telegram on the basis of which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a chatbot for convenient and effective exchange of information about the educational process. Further research should focu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use of Telegram. The effectiveness of using chatbots should also be considered. Chatbots can be used to automate routine components of the learning process.

인터넷을 이용한 간호학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간호정보학을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and Effect Analysis of an Internet Based Nursing Program: Application to Nursing Informatics)

  • 염영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035-1044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n internet based program for nursing informatics. The course subject, Nursing Informatics, was made by a computerized instructional module using the internet. The program was developed after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level of competence and knowledge in the subjects. It was based on 10 steps of the CAI module developed by Alessi and Trollip. The subjects consisted of 76 junior nursing students taking a Nursing Informatics course. Two sets of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is study. First,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76 students to collect general information on their experience while using computers and the internet. Secondly, another questionnaire was administrated to 76 students after they took the course. They were asked to evaluate the program in terms of easiness of use, precision of contents, freshness of contents, motivation in learning, effectiveness of learning, enhancement of communication, precision of screen, and interest in the contents. IDs and passwords were given to the students. The students were asked to write their IDs and passwords when they connected to Nursing Informatics (http://hallym.ac.kr/~yhyom/ inform.html). They were led the menu page which was categorized into 8 icons (i. e., syllabus, lecture notes, quick test, Q & A board, assignment, on-line test, related web sites and mailing lists) after confirming their IDs and passwords. The students' responses were very positive. This program was a very useful in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and motivation in the students. Suggest to be use for other nursing courses.

  • PDF

대학생 핵심역량(K-CESA)이 창의융합역량에 미치는 영향과 코칭역량의 매개효과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K-CESA and creativity confluence competency and coaching skill of undergraduate students)

  • 박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206-215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 핵심역량과 창의융합역량 및 코칭역량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G지역 사립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34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대학생 핵심역량, 코칭역량, 창의융합역량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초통계를 통해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았고, 관련성과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 및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첫째, 대학생 핵심역량, 코칭역량, 창의융합역량은 정규성 가정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 핵심역량과 창의융합역량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핵심역량의 점수가 높을수록 창의융합역량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코칭역량과 창의융합역량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코칭역량의 점수가 높을수록 창의융합역량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넷째, 핵심역량은 창의융합역량을 의미 있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코칭역량이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창의융합역량을 강화하는 데 핵심역량과 코칭역량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었고, 역량강화를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정부조직의 정보화교육훈련 체계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for Informationalization in Governmental Organization)

  • 정해용;김상훈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34-51
    • /
    • 1999
  • 본 연구는 정부조직의 효과적인 정보화추진에 가장 중요한 요소중 하나인 공무원의 정보기술활용 및 운영능력 (정보화능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정보화 교육훈련체계 수립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를 위해 우선 공무원에게 필요한 정보화교육훈련의 차원을 기본정보능력, 현행시스템운영능력 정보화전략추진 및 정보관리능력, 정보기술전문능력 등 네 차원으로 구분하고 각 차원별로 세부적인 교육훈련항목을 도출하였다. 또한 각 항목들에 대해 교육훈련정도 및 바람직한 교육훈련방식이 담당업무별, 직급별, 정보능력별로 상이함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이러한 결과에 입각한 합리적인 교육훈련내용 및 방법을 설정·제시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조사를 위하여 정보통신부 현업부서 공무원 및 정부 각 부처 정보화 담당공무원들 중 정보통신공무원교육원에 입교한 공무원을 대상으로 담당업무와 직급 등을 고려한 임의표본추출을 행하였으며 이들 표본추출된 공무원들에 대해 직접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우리나라 제반 조직에서의 정보화교육훈련 체계구축에 있어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실제 정보화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수립에 있어서 가이드라인으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