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ant teacher education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3초

영아교사의 애착 및 영아의 몸짓(gesture)과 영아 언어발달 간의 관계 (Relation between Infant Teacher Attachment or Infant Gesture and Infant Language Development)

  • 신애선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21-14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 애착 및 영아의 몸짓과 영아의 언어발달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전북 J시 가정어린이집과 영아전담어린이집에 63곳에 재원 중인 18~24개월 영아와 그 담임교사 84명이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교사 애착은 영아의 언어발달과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영아교사 애착 유형별로는 긍정적정서, 접촉추구, 자기희생적온정, 근접추구, 결속, 기대감 모두 수용언어, 표현언어와 정적 상관관계가, 보호는 수용언어와 정적 상관관계가 냉담만 수용언어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영아 몸짓의 하위요인 중 지시적몸짓은 수용언어와 부적 상관관계가, 관습적몸짓과 표상적몸짓은 표현언어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영아교사의 애착과 영아 몸짓이 영아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전체언어에 대해서는 영아교사 애착의 접촉추구가 가장 큰 영향력이 있었다. 영아 언어 유형별로는 수용언어는 영아교사 애착의 접촉추구가, 표현언어는 영아교사 애착의 결속이 가장 큰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영아 언어발달에는 영아의 몸짓보다 영아교사의 애착이 더 큰 영향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영아교사와 영아의 애착관계의 중요성을 통해 영아의 언어능력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교사가 인식한 영아-교사 관계와 놀이 시 나타난 영아-교사 및 영아-또래 상호작용 (Teacher Recognized Toddler-teacher Relationships Compared with Observed Toddler-teacher and Toddler-peer Interactions in Play)

  • 정미조;김희진
    • 아동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99-112
    • /
    • 2009
  • This study examined how infant-teacher relationships perceived by teachers related to observed toddler-teacher and toddler-peer interactions in play. Participants were 57 2-year-old toddlers and their 8 teachers. Toddler-teacher perceived relationships were examined by questionnaire toddler-teacher and toddler-toddler interactions were observed and recorded during play.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Results were : (1) the perceived relationships of toddlers to multiple teachers in the classroom were very similar. (2) The pattern of interactions between toddlers and teachers was similar to that of interactions between toddlers and peers. (3) The more positive the toddler-teacher perceived relationship, the more positive the observed interactions between the children and teachers and between children and their peers.

  • PDF

영아의 기질과 어린이집 초기적응 간 관계에서 교사 - 영아관계의 조절효과: 수직적 전이집단과 수평적 전이집단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Infant's Temperament on Childcare Adaptation: Moderated Effect of Teacher-Infant Relationships)

  • 이상순;이완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1-36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infant temperament on adaptation at childcare centers and the moderated effects of teacher-infant relationships between a vertical transition group and horizontal transition group.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84 infants, aged 1-years-old and 2-years-old, who were hospitalized in childcare center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heck the effects of temperament and teacher-infant relationship on childcare adaptation. Results: Infant temperament influenced childcare adaptation in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transition groups. The quality of teacher-infant relationships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temperament and childcare adaptation in both groups.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showed different moderating effects of the teacher-infant relationship in the vertical transfer group and the horizontal transfer group, suggest the need for more diverse studies on the various transition experiences regarding childcare transition.

교사 직무만족도 및 영아기질과 교사-영아 관계 (Child 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Infant Temperament Associated with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n the 2-year-olds class)

  • 이기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89-107
    • /
    • 2007
  • 본 연구는 영아 보육시설에서의 교사 직무만족도 및 영아 기질에 따라 교사-영아 관계가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영아 보육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주지역의 27개 보육시설에서 영아반 교사 50명과 교사가 담당하는 영아 175명이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는 교사의 연령과 근무하는 시설유형에서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원장과의 관계에 대한 직무만족도는 연령이 높은 교사가 연령이 낮은 교사들보다 더 높았고, 반면, 보수에 대한 만족도는 연령이 낮은 교사들이 높은 교사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영아 성별과 월령에 따른 영아 기질은 차이가 없었다. 교사-영아관계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어서 여아가 남아의 경우보다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였으며, 어린 영아들이 교사와 더욱 의존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 직무만족도는 교사-영아 관계에서 친밀성과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직무만족도가 높은 교사는 친밀한 교사-영아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갈등과 의존성의 부정적인 교사-영아 관계는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영아 기질에 따른 교사-영아 관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질은 교사-영아 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영아교사의 경력 및 교사효능감과 민감성, 전문성 발달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Infant Teachers' Career, Efficacy, Sensitivity, and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 김진경;강은영;윤혜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155-171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infant teachers' career, efficacy, sensitivity, and the development of their professionalism.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320 infant teachers working at day care centers in Gyeonggi-do and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applied to SPSS 22.0 program. With the data,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Firstly, infant teachers' career didn't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their professionalism directly, but indirectly affected their efficacy and sensitivity. Secondly, the variables that directly affected the development of their professionalism were teacher efficacy and sensitivity. Thirdly, teacher efficacy and sensitivity had full mediation between their career and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Conclusion/Implications: Infant teachers' career affected the development of their professionalism through teacher efficacy and sensitivity. Based on the result, a plan for developing infant teachers' professionalism was proposed, and suggestions of follow-up research were discussed.

영아교사의 정서지능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사가 인식한 부모-교사 신뢰관계와 협력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Infant Teachers on Play Teaching Efficacy: The Mediating Effects of Trust Relationship and Cooperative Behavior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 이시은;송승민;한정이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29-52
    • /
    • 2021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parent-teacher trust relationship and cooperative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infant teachers and their play teaching efficacy. Methods: A total number of 216 teachers in charge of infants under the age of two at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H, Y, and O cities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e survey. Using SPSS 23.0 and AMOS 22,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analyzed. Results: First,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infant teachers had a direct effect on play teaching efficacy. Seco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infant teachers influenced play teaching efficacy through parent-teacher's trust relationship. Third,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infant teachers influenced play teaching efficacy through parent-teacher cooperative behavior. Fourthly, it was found that the parent-teacher trust relationship and cooperative behavior were mediated sequentially in the influence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infant teachers on play teaching efficacy.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improv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eachers and the trust and cooperation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in order to increase the abi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현직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현황, 효과검증 및 향후 과제 (A Study of Infant Care Teacher's Training Program and Its Effectiveness :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 서소정;오선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169-19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자질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시대 사회적인 필요성에 입각하여 현재 우리나라에서 보건복지령에서 정하는 전문기관에서 위탁하여 실시되고 있는 영아보육교사 교사교육의 현주소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지난 몇 년간 "영아기의 발달적 특수성, 보살핌과 가르침의 통합성, 영아보육에서의 포괄적 서비스제공의 필요성"에 기초하여 "영아전문가과정(Infant Care Specialist Program)"을 개설하여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국내 한 영아전문가 과정의 실제를 소개하고, 본 과정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본 영아전문가 과정에 참여한 교사들의 사후 교사효능감과 영아발달지식수준이 사전에 비해 유의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향후 영아교사 현직 교육프로그램의 내실화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어 정책적, 제도적 제언을 제공하였다.

영아-교사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보육교사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Constructing Child Care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Enhancing Infant-Teacher Interaction and Analyzing Its Effects)

  • 김현지;조복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221-1235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ant-teacher interaction and its possible effec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 child-care teachers from Jungup City, Korea. Among them, 12 teachers participated m the program as an experimental group. The program processed 8 sessions in total, a session a week and 90 minutes for each session. The data was collected by questionnaires of infant-teacher interactions and videotapes of their linguistic and behavioral interactions between infants and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tests, wilcoxon signed-rank tests, and video content analysis. As a result, the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enhancement than teachers in the comparison group in relation to the post-test of positive linguistic interactions between infant and teacher and teacher' positive reaction.

보육직무능력 프로그램이 영아교사의 보육효능감, 보육교사역할수행, 교사민감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hild Care-Work Ability Program on Efficacy of Child Care, Role Performance, and Sensitivity of Infant Teachers)

  • 김현지;한성민;전경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39-56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직무능력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즉 보육시설에서 보육효능감, 교사역할수행, 교사민감성 향상을 위한 교육을 함으로써 보육효능감, 영아교사의 역할수행, 영아의 요구에 대한 교사민감성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대상은 정읍시의 44명의 영아담당 보육교사들이다. 이들은 통제집단 22명과 실험집단 22명의 교사로 나뉘어졌다. 교사들은 보육효능감, 교사역할수행, 교사 민감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전-사후검사로서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본 연구결과, 보육직무능력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보육효능감, 교사역할수행, 교사민감성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증진되었다. 결국, 보육효능감, 교사역할수행, 민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행된 프로그램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원장 감성리더십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Leadership of Daycare Center Directors on the Rel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 이신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369-376
    • /
    • 2020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보육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 감성리더십이 매개 변인으로 작용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 29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산출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Sobel-test 및 Baron과 Kenny의 모형에 따라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교사-영유아 상호 작용, 원장 감성리더십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원장 감성리더십의 상대적 설명력에서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원장의 감성리더십 보다 상대적으로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원장의 감성리더십은 부분적으로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보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