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검색결과 414건 처리시간 0.027초

퇴비 및 화학비료가 무경운 귀리의 사초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vestock Manure and Chemical Fertilizer on the Forage Yield and Quality of Oat at No-till Cropping System)

  • 김종덕;김수곤;채상헌;권찬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27-132
    • /
    • 2006
  • 가을에 무경운 귀리 재배에 퇴비, 화학비료 및 퇴비+화학비료를 혼용한 처리로 시험결과 사초의 생산성과 품질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 시험은 3 처리 3 반복의 난괴법 배치로 처리는 화학비료구, 퇴비구 및 혼용구를 각각 두었다. 무경운 귀리에서 화학비료는 퇴비보다 유식물 활력은 우수하였으나, 수확시 녹체성은 화학비료구가 퇴비구보다 떨어졌다. 귀리의 건물률은 퇴비구가 다른 처리보다 높았다 (p<0.05). 귀리의 사초생산성 비교에서는 생초 수량은 처리간에 차이가 있었으나 건물수량, TDN 수량 및 CP 수량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귀리의 조단백질 함량은 퇴비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높았으나 (p<0.05), ADF, NDF 및 TDN 함량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시험결과를 볼 때 무경운 귀리재배에서 비료의 종류에 따른 사초생산성과 품질의 비교에서는 조단백질 함량을 제외하고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따라서 단경기 작물인 귀리에서 퇴비의 효과를 보기는 힘든 것으로 판단되었다.

안동지역 전통문화와 연계한 전통문화상품의 디자인 개발: 소비자 의식조사 (Branding Program Connected with the Traditional Culture in Andong: Consumer's Evaluation)

  • 김희숙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645-650
    • /
    • 2007
  • Three hundred of women between twenty and over seventy living around Andong, Sangju, Youngju and northern part of Kyungsang Province replied consumer research on industrialization of traditional clothing products in that area. An age distribution of the women is 60 people (20.0%) between 20 and 34 years old, 147 people (49.1%) between 35 and 54 years old, 93 people (27.9%) over 55 years old and the subject of study included in middle-aged and old-aged is 77.0%. A direct questionnaire and enclosed questionnaire are used to measure. The questions consist of questions about current circumstances of traditional clothing production, features of natural fabrics in the northern part of Kyungsang Province, distributive process, features classified by kinds, directions of development and economic conditions of natural fabrics. Andong has a traditionally unique culture throughout Korea. If Andongpo are developed as clothing fabrics harmonized beauty of tradition with modern characteristics, fashion business in the northern part of Kyungsang Province will be improved. In addition, encouraging majority of the young to participate in this movement is regarded as beneficial for the reinforcement of competitiveness against other regions and public relations of the region. As one of the solutions to development of this traditional clothing business, its own program made b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lothing products which is suitable for traditional fabric in Andong should be implemented.

산학협력단의 특허실적이 기술이전사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n earnings patent technology transfer business performance of the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 노성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394-399
    • /
    • 2016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분야의 국가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차원에서 기업의 R&D Source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대학의 산학협력 시스템의 효과적인 활용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대학 산학협력단의 연구개발 성과물인 특허실적이 기술이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교육과학기술부 한국연구재단(2013)이 발표한 패널데이터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허실적을 독립변수로, 기술이전을 종속변수로 투입하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석결과 기술이전 전체 건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특허실적 요인은 국내 특허출원수와 해외특허등록수, 미래기술(6T)특허 출원 등록수, 과학기술특허출원수로 나타났고, 기술료를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기술이전 전체 건수이며, 특허실적으로는 국내 특허출원수와 미래기술(6T)특허출원수, 과학기술특허출원수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시사점으로 많은 특허가 출원될 수 있도록 연구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특허의 주요대상을 미래기술(6T)과 과학기술분야에 집중해야 함을 제안하였으며, 특허출원에 많은 노력을 기울임과 동시에 계약기간에 대한 협상대책을 별도로 기획하여야 함을 시사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대학 산학협력단의 1차적인 연구성과인 특허실적만을 고려했다는 데에서 한계가 있을 수 있으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근본적인 요인으로 제시될 수 있는 인적, 물적자원과 운영시스템 요인을 포함하여 연구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장기현장실습(IPP) 제도를 위한 학사운영 방안 (Academic Program Operation for the 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Implementation)

  • 오창헌;하준홍;김남호;조재수;엄기용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10-115
    • /
    • 2012
  • IPP (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는 학부교육(academic study)과 산업체 근무(industrial work)를 결합시킨 산학협력 교육모델로 학생들에게 학업과 현장업무를 교대로 경험하게 하여 실용교육의 효과를 극대화 시키고 또한 본인의 적성과 전공에 맞는 진로를 스스로 결정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는 대학 졸업생의 취업역량을 강화하고, 국가적으로는 청년실업 문제의 해소 및 대학과 산업체간의 인력수급 불일치 현상 등을 해소하기 위한 제도이다. 본 논문에서는 IPP 제도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고려해야 할 학사-운영방안에 대해 검토하고 제안한다. 주요 내용은 학제개편(semester-based quarter제) 방안, 교과과정 개편방안, 학점인정(15학점) 및 성적평가 방안, 공학설계/졸업설계 운영방안, 산학연계 교과목 운영방안 및 경과조치 방안 등이다.

  • PDF

비대면 교육 환경에서 산학협력형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 개발 사례 연구 (Case Study of Industrial- Academic Cooperation Capstone Design Subject Development in Non-face-to-face Educational Environment)

  • 황윤자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7-3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비대면 교육(online mode)의 형태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는 시점에서 여러 대학 간의 디지털 기술을 토대로 대학 간 공유와 협력을 공유할 수 있도록 비대면 환경에서의 산학협력형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비대면 환경, 캡스톤 디자인 등의 문헌 및 선행 연구를 분석하고 비대면 환경에서의 산학협력형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 개발 모델을 개발하여 적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웨어러블 캡스톤 디자인 프로그램을 시범 적용하여 학생 인터뷰, 설문을 통해 실효성을 확인하고 수정, 보완하였다. 이는 비대면 환경에서 산학협력형 캡스톤 디자인 수업 계획, 개발 시 기초자료 제공 및 단계별 운영가이드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보령시 머드사업소의 공공서비스 법인화 방향 (A Study on the Corporations of Mud Official in Boryeong City Hall)

  • 변영덕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945-948
    • /
    • 2010
  • 본 연구는 보령시 머드사업소의 법인화를 위한 사전연구로서, 기업형태의 법인설립을 위한 논리적인 근거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기존의 지식체계와 공공서비스의 경영방식 등을 검토해서 법인화를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주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결과, 머드사업소가 서해안의 갯벌인 보령의 바다진흙을 이용하여 생산 공급하는 재화는 공공서비스이다. 따라서 머드사업소의 법인화 방향은 공공성(publicness)과 기업성(entrepreneurship), 지역성(locality)을 조화시키는 지방공기업이나 공익사업 형태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산학협력기반 다학제적 융합 캡스톤디자인 적용사례 및 성과분석 (Analysis of Application Cases and Performance of Multidisciplinary Convergence Capstone Design based on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 윤상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639-652
    • /
    • 2021
  • 최근 급변하는 사회 환경에 따라 유연한 사고력 및 문제해결능력 등을 갖춘 창의·융합형 실무 인재 양성이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대학은 학생들이 다학제적으로 협력하고 융합하여 학교에서 배운 내용을 토대로 실무현장의 프로젝트를 수행 할 수 있는 교육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산학협력기반 다학제적 융합 캡스톤디자인 교육과정을 통해 통합적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창의적 인재양성을 목표로 설계·계발·운영하였다. 이를 위해 참여 기업 및 융합 교수팀을 구성하고 함께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D대학 화장품공학부 재학생을 대상으로 15주간 운영하였다. 교육이 끝난 후 학습만족도와 인지된 학업성취도를 조사한 결과 5점 만점에 각각 3.77점, 3.86점으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참여 경험에 대한 심층인터뷰 결과 긍정적 경험과 관련된 5개 주제와 부정적 경험과 관련된 3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산학협력기반 다학제적 융합 캡스톤디자인 교육과정 운영 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산학 연계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을 활용한 AI 패션 큐레이션 실습 교과목 운영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Fashion Curation Practice Subject through Industrial-academic Project-based Learning)

  • 안효선;박민정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37-346
    • /
    • 2021
  •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ashion students are expected to work with various technologies to show creativity. This study aimed to conduct project-based learning(PBL) in collaboration with industry experts to design and operate artificial intelligence(AI) in the practice subject of fashion curation through the industrial academic teaching method. We first looked at teaching methods and strategies incorporating PBL in various academic fields. Next, we analyzed fashion projects and fashion curation services applying AI. Then through the question-and-answer method and by consulting with industry experts, we developed a curriculum for AI fashion curation, applying PBL(fashion market and trend analysis; new styles and time, place, and occasion planning; AI machine learning data set production; curation model development; and evaluation) suitable for the university's educational environment, information technology company conditions, and fashion students. As part of a close cooperation system with the industry, we conducted a 15-week Fashion Project II (Capstone Design) course and evaluated the outcomes and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 course. Students were able to develop new style, and time, place, and occasion categories and to utilize strategies for AI fashion curation services reflecting the unique needs of Millennials and Generation Z. Students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Further, it was confirmed that the study successfully applied PBL in class using AI technology in fashion education.

In vitro에서 polycalcium 복합조성물이 파골세포와 조골세포에 미치는 영향 (In vitro Activities of Polycalcium, a Mixture of Polycan and Calcium Lactate-Gluconate, on Osteoclasts and Osteoblasts)

  • 최재석;김주완;김기영;문승배;하유미;구세광;조광근;최인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8호
    • /
    • pp.1199-1203
    • /
    • 2011
  • 본 실험에서는 폴리칸(베타-글루칸)과 칼슘 락테이트 글루코네이트 1:9 (g/g) 복합 조성물인 Polycalcium의 시험관 내(in vitro) 골다공증에 대한 효과를 사람 유래 조골세포(human primary osteoblast)와 설치류 유래 파골 전구세포(raw264.7 cell)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Polycalcium이 조골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10 mg/ml 농도의 polycalcium 처리군에서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조골세포의 수적 증가가 각각 배양 3, 7 및 10일 후에 확인되었으며, 또한 10 mg/ml 농도의 polycalcium 처리군에서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있는 ALP함량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Polycalcium이 파골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각각 $10^{-5}$, $10^{-3}$$10^{-1}$ mg/ml polycalcium 처리군에서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파골세포의 수적 감소가 배양 4일 후에 확인되었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polycalcium이 조골세포의 증식 촉진 효과와 함께 파골세포 형성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Flotation of cyanobacterial particles without chemical coagulant under auto-flocculation

  • Kwak, Dong-Heui;Kim, Tae-Geum;Kim, Mi-Sug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9권6호
    • /
    • pp.447-454
    • /
    • 2018
  • Although flotation techniques are often used for the removal of algal particles, the practicality of algae-harvesting technologies is limited owing to the complex and expensive facilities and equipment required for chemical coagulation. Here, we examined the feasibility of an approach to separating algal particles from water bodies without the need for chemical coagulant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algae, and to determine the optimal conditions. Using Anabaena sp., a cyanobacterium causes algal blooms in lakes, we stimulated auto-flocculation in algal particles without coagulants and conducted solid-liquid separation experiments of algal particles under various conditions. The six cultivation columns included in our analysis comprised four factors: Water temperature, light intensity, nutrients, and carbon source; auto-flocculation was induced under all treatments, with the exception of the treatment involving no limits to all factors, and algal particles were well-settled under all conditions for which auto-flocculation occurred. Meanwhile, flotation removal of auto-flocculated algal particles was attained only when nutrients were blocked after algae were grown in an optimal medium.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tected between the functional groups of the 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s (EPSs) of floated and settled algal particles in the FT-IR peak, which can cause attachment by collision with micro-bubb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