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

검색결과 242건 처리시간 0.031초

초등예비교사의 교수역량 증진을 위한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 실행 및 효과 (Performing and Effects Team-Based Learning Program for improving of Teaching Competencie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류현아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3권2호
    • /
    • pp.217-233
    • /
    • 2017
  • This study expects that Team Based Project Learning can act positive role to improv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eaching competence from previous studies. So designing and executing Team Based Project Learning program, I can provide some suggestions to the teaching method for teacher training education. In this study, Team Based Project Learning focuses on the use of history of mathematics in school mathematics. Also from organizing the team to evaluation, I conduct team activity systematically both inside and outside the classroom.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eaching competence has improved and I could identify the positive response about the value of using the history of mathematics and effect of Team Based Project Learning in mathematics learning.

예비교사의 수학 교수 자료 분석 및 개발 사례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Semiotic Analysis on A Pre-service Teacher's Thinking Process in the Analysis and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ing Materials)

  • 김선희;김태익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2호
    • /
    • pp.353-367
    • /
    • 2013
  • 본 연구는 한 예비교사의 교수 자료 분석 및 개발 사례를 기호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수학 교과서를 기호의 표현체로, 학생들이 배워야 하는 단위 변환 내용을 대상체로 볼 때, 예비교사의 교과서 분석은 교과 내용 지식과 학생들의 이해라는 측면에서 다양한 해석체가 되었다. 이에 따라 교사의 교수 자료 분석은 한 가지 해석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었으며, 본 연구는 이를 기호 공간에서 설명하였다. 그리고 예비교사가 교수 자료를 도해로 구성했을 때 수업을 염두에 둔 실험과 반성의 단계에서 예비교사의 추상적 연역이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사고 과정을 기호학을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었다는 데 의의를 가지며, 기호학을 활용한 수학교육분야의 연구가 다방면에서 활용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PDF

예비초등교사의 수학적 신념과 수업 실제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Belidfs and Their Teaching Practices)

  • 류현아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6권2호
    • /
    • pp.203-227
    • /
    • 2020
  • This study is observed in this paper that how the mathematical belief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re reflected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actual mathematics classe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are senior students at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fter examining their mathematical beliefs and analyzing their actual mathematics classes in a teaching practicum,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First, the mathematical belief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have generally shown in a similar tendency. The beliefs formed by the students' experience and the beliefs established in the course of preparing to become teachers have coexisted. Second, the teachers' belief in learning mathematics and the teaching practices are largely inconsistent. Third, whe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lan and implement their mathematic classes, they are influenced by their guidance teachers and students as well as their own mathematical beliefs.

수업 설계 및 실연의 자기평가 기준에 대한 고찰 (A Study of Criteria for Self-Assessment of Lesson Planning and Teaching Performance)

  • 김소형;김용석;한선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5권2호
    • /
    • pp.171-192
    • /
    • 2016
  • As teachers' competency is evaluated based on their teaching performance. pre-service teachers need to hav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mselves by systematically analyzing and evaluating their own lesson planning and teaching performance through self-assessment. In this study, we aimed to examine what evaluation criteria for lesson planning and teaching performanc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consider in the process of self-assessment. This study used a mixed-methods research design. To draw the self-evaluation criteria for lesson planning and teaching performance, pre-service self-reported assessments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analyses. In addition,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pre-service teachers' distribution across the criteria and check the ratio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for each element. As a result, it was disclosed that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considered eight elements in self evaluating their own lesson planning and teaching performance. In addition, we found that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ended to conside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more than Subject-Matter Knowledge (SMK).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curriculum in the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program.

학교현장실습이 중등 예비수학교사들의 교사의 지식에 대한 인식 변화에 미친 영향 (Effect of teaching practicum fo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 changes about teacher's knowledge)

  • 심상길;이강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4권4호
    • /
    • pp.351-363
    • /
    • 2015
  • In this study, 45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were surveyed about how the perception of knowledge through teaching practicum have changed and how the knowledge learned in college and teaching practicum helped to format teachers' knowledge and analyzed survey's result.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felt the knowledge for understanding students were needed the most and considered the experiences from teaching practicum were more useful than the knowledge learned from college classes. However, they had low appreciations on connecting knowledge on learned contents with real-life or other subjects and on necessity of knowledge of using various learning tools or mathematical materials in class. Also, they have answered the knowledges from college classes and teaching practicum were useless in those areas. Especially, they pointed out that guidance teachers during teaching practicum were insufficient in instructing. Therefore, we suggest the following two to improve the teaching ability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hrough teaching practicum. First, college and secondary school cooperating programs such as class-observation and student-mentor system connected with local society should be developed. Second, the special re-training program for guidance teachers of teaching practicum is needed.

분수의 나눗셈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노티싱 특징 분석 (An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n elementary teachers' noticing in fraction division lessons)

  • 선우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7권1호
    • /
    • pp.1-18
    • /
    • 2024
  • 교사의 노티싱 역량은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서 다양하게 연구되었다. 그러나 수학 교사 교육 연구에서는 주로 예비교사의 노티싱을 조사한 사례가 많은 반면에 전문성을 갖춘 현직교사의 노티싱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문성을 갖춘 현직 초등교사들의 노티싱 특징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대학원에서 초등수학교육 전공 강의를 수강하는 초등교사 23인에게 (진분수)÷(자연수)의 원리를 지도하는 수학 수업 영상 한 차시를 시청하며 분석지를 작성하게 했고, 그 결과를 주목하기, 해석하기, 반응하기의 측면으로 자세히 분석했다. 연구 결과, 대다수의 교사들은 분수의 나눗셈 수업에서 수학적으로 중요한 측면을 선택적으로 주목하였고, 분수의 나눗셈 지도에 대한 교수·학습 원리를 토대로 자신이 주목한 현상을 해석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구체적인 교수학적 대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현직교사의 노티싱 신장을 위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교대 수학심화과정에서 본 초등교원 임용고사의 문제점 (The Issues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 이의원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659-680
    • /
    • 2010
  • 평가는 수학 교실에서 의미 있게 활용된다. 최근 대부분의 수학교실에는 교수 학습이 결합된 수행평가가 도입되고, 또 평가는 많은 사람들(학생, 교사, 학부모, 행정가)의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수학교실의 수행평가에도 불구하고 일부 교대생은 임용시험에 대한 불안 때문에 학원을 찾고, 또 일부 강좌에는 그러한 학생들의 불안을 외면할 수 없게 되었다. 왜냐하면 학생의 불안을 외면한 수행평가는 자칫 공허해지고, 또 그들의 수학적 힘을 효율적으로 증진할 수 없기 때문이다. 본고는 초등교원 임용시험(2010)을 수학 심화과정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는, (1) 초등교원 임용시험 기간은 단축되어야 한다. (2) '어법 원고지 사용법'은 수학적 관점에서 접근되어야 한다. (3) 교대생 시험불안은 임용시험보다는 합격자 수감축에서 비롯된다. (4) 영어 교과의 비중은 재고되어야 한다.

  • PDF

초등학교 교직수학에 관한 연구(2) - 교육대학교 교양수학 교재 분석 및 초등학교 교직수학 교수요목 탐색 (A Study on Mathematics for Elementary Teachers (part 2) - An Analysis of Textbooks for Liberal Mathematics in Elementary Teacher's Colleges and Groping for Syllabus of Mathematics for Elementary Teachers)

  • 정은실;박교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0권1호
    • /
    • pp.115-137
    • /
    • 2000
  • In this paper, we tried to analyze 7 textbooks for liberal mathematics in elementary teacher's colleges in Korea and 3 foreign textbooks (2 American textbooks and 1 Japan textbook) which are believed to be used for pre-service education. We tried also to analyze in 3 lesson plans in homepages of Japan teacher's colleges. Next we tried to grope for syllabus of Mathematics for Elementary Teachers, and we suggested one syllabus. But we think that syllabus as a tentative one. So, it must be criticized by other researchers to be better one.

  • PDF

교사가 수업 설계에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 초등 수학 수업지도안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What Teachers Consider Important in Lesson Design: Focusing on the Analysis of a Lesson Plan of Elementary Mathematics)

  • 선우진;방정숙;박예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5권1호
    • /
    • pp.15-36
    • /
    • 2021
  • 수학 수업을 잘 설계하는 능력은 좋은 수학 수업을 구현할 수 있는 토대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직교사들이 초등학교 수학 수업의 설계에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현직교사 27명을 대상으로 수학 수업을 설계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가 무엇인지 자유기술식으로 응답하게 했고, 현직교사들에게 예비교사가 작성한 수학 수업지도안을 제공한 후 그 수업지도안의 장점과 개선사항을 분석하게 하였다. 교사들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현직교사들은 자신이 평소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를 중심으로 예비교사가 작성한 수학 수업지도안을 분석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수업지도안의 장점을 분석하거나 개선사항에 대한 피드백 의견을 제안할 때 수학 수업의 설계에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들이 더욱 구체적으로 드러났으며, 특히 수업 전략 및 자료의 측면을 자세하게 고려하는 경향을 보였다. 현직교사의 수학 수업 설계에 대한 주요 결과를 토대로 교사교육에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수학 중등 교사들 간의 수학교수지식(MKT) 차이 발생 요인 분석 및 이를 통한 통계적 소양 신장 방안 (A Study on Analyzing the Difference Factors Occurred in the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s on the Mathematical Knowledge of Teaching and on Exploring the Enhancement on the Statistical Literacy)

  • 김슬비;황혜정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9권2호
    • /
    • pp.141-166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MKT(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of the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s on the statistics(Representative value, Degree of scattering)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sub-elements of the MKT. In addition, it i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cause the difference of the subjects' MKT. To accomplish this, by the subject of 12 secondary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s, in this study the test items of the MKT on the statistics were developed an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MKT test sheet, the CCK(Common Content Knowledge) and SCK(Specialized Content Knowledge) of the mathematics teacher was confirmed as a high score, whereas the and KCS(Knowledge of Content and Students) and KCT(Knowldge of Curriculum and teaching) were confirmed as low scores. In addition,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shown that the difference in MKT's elements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s obtain occurred sligh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