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age data acquisition and control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8초

Development of Real Time Monitoring and Forecasting/Emergency System for Land Slide of Road

  • Kim, Choon-Sik;Yoon, Soo-Ho;Shin, Seung-Mok;Hur Chul;Kim, Sang-Bong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1년도 ICCAS
    • /
    • pp.150.1-150
    • /
    • 2001
  • This paper introduces a real time inspecting and monitoring system by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image processing technique. The communication system is developed by using 80c196kc microprocessor and it has data acquisition function for several kinds of sensors such as pluviometer, temperature, tension meter, elinometer and so on. The image processing method adopts Lalacian of Gaussian operator and least square method to extract line features for the captured images and uses a relaxation matching algorithm based in global structure constraint satisfaction to distinguish the matching error for those features. When the algorithm is processed, motion parameters of displacement area and its direction are computed. Once movement is recognized ...

  • PDF

근거리 수치사진측량시스템을 위한 저가격 자료획득방법의 개발 (Development of Low-Cost Data Acquisition Method for Close-range Digital Photogrammetric System)

  • 박홍기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43-153
    • /
    • 1999
  • 지형공간정보체계는 사용이 용이하여 널리 대중화되어가고 있다. 최근 수치사진측량은 GIS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거나 갱신하기 위한 경제적인 방법으로 인정받아 가고 있다. 지형공간정보의 획득을 위한 근거리사진측량은 좌표해석을 위해 이용되고 있는 번들조정이 요구된다 번들조정은 외부표정요소를 결정하기 위해서 초기 근사 값과 기준점들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번들조정을 수행하기 전에 초기근사값을 추정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들을 비교분석하고, 이들 외부표정요소의 결정을 위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선 효과적이고 경제적이며 보다 정확한 사진측량 관측값처리 기법을 제공하고자, 기존의 DLT 알고리즘에 관측값에서의 모든 종류의 과대오차들을 자동적으로 검출하고 제거하기 위한 robust 방법과 해를 위해 필요한 기준점의 수를 줄이기 위해 GPS를 도입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단사진으로 처리하는 새로운 후방교회법(space resection)유도하였다. 제안한 방법의 주된 장점은 외부표정요소의 초기근사값을 요구하지 않고 계산과정에서 반복계산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 PDF

Accuracy Analysis of Image Orientation Technique and Direct Georeferencing Technique

  • Bae Sang-Keun;Kim Byung-Guk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3권4호
    • /
    • pp.373-380
    • /
    • 2005
  • 모바일매핑시스템은 차량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CCD 등을 탑재하고 대상에 관한 위치 및 영상 정보를 취득하는 효율적인 시스템이다. 모바일매핑시스템은 현재 도로 시설물 관리, 지도 갱신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으며 앞으로 그 활용도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항공사진측량과 같은 기존의 일반적인 사진측량의 경우, 영상 외부표정요소를 구하기 위해서는 지상기준점이 필요하다. 이러한 기준점들은 자료취득 전후에 현장측량을 통해 좌표가 결정되는데 일반적으로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고, 사실 영상을 취득할 도로를 따라 필요한 만큼 충분히 많은 기준점을 설치한다는 것도 거의 불가능하다. 하지만 모바일매핑 시스텔의 경우 GPS/INS를 이용해 영상촬영당시의 카메라의 위치 및 자세, 즉 외부표정요소를 직접적으로 구할 수 있어 시간과 비용 면에서 훨씬 효율적이다. 즉 외부표정요소를 결정하기 위해 영상표정기법은 지상기준점이 필요한 반면, 직접위치참조기법은 GPS/INS를 이용해 직접 외부표정요소를 구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표정 기법과 직접위치참조기법에서 산출되는 영상외부표정요소를 이용해 지상점의 위치정확도에 대해 비교 분석해 보았다.

  • PDF

All-In-One Observing Software for Small Telescope

  • Han, Jimin;Pak, Soojong;Ji, Tae-Geun;Lee, Hye-In;Byeon, Seoyeon;Ahn, Hojae;Im, Myungshin
    • 천문학회보
    • /
    • 제43권2호
    • /
    • pp.57.2-57.2
    • /
    • 2018
  • In astronomical observation, sequential device control and real-time data processing are important to maximize observing efficiency. We have developed series of automatic observing software (KAOS, KHU Automatic Observing Software), e.g. KAOS30 for the 30 inch telescope in the McDonald Observatory and KAOS76 for the 76 cm telescope in the KHAO. The series consist of four packages: the DAP (Data Acquisition Package) for CCD Camera control, the TCP (Telescope Control Package) for telescope control, the AFP (Auto Focus Package) for focusing, and the SMP (Script Mode Package) for automation of sequences. In this poster, we introduce KAOS10 which is being developed for controlling a small telescope such as aperture size of 10 cm. The hardware components are the QHY8pro CCD, the QHY5-II CMOS, the iOptron CEM 25 mount, and the Stellarvue SV102ED telescope. The devices are controlled on ASCOM Platform. In addition to the previous packages (DAP, SMP, TCP), KAOS10 has QLP (Quick Look Package) and astrometry function in the TCP. QHY8pro CCD has RGB Bayer matrix and the QLP transforms RGB images into BVR images in real-time. The TCP includes astrometry function which adjusts the telescope position by comparing the image with a star catalog. In the future, We expect KAOS10 be used on the research of transient objects such as a variable star.

  • PDF

레이저 거리계의 이론적 최소 분해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eoretical minimum resolution of the laser range finder)

  • 차영엽;권대갑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6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국내학술편); 포항공과대학교, 포항; 24-26 Oct. 1996
    • /
    • pp.644-647
    • /
    • 1996
  • In this study the theoretical minimum resolution analysis of an active vision system using laser range finder is performed for surrounding recognition and 3D data acquisition in unknown environment. The laser range finder consists of a slitted laser beam generator, a scanning mechanism, CCD camera,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A laser beam from laser source is slitted by a set of cylindrical lenses and the slitted laser beam is emitted up and down and rotates by the scanning mechanism. The image of laser beam reflected on the surface of an object is engraved on the CCD array. In the result, the resolution of range data in laser range finder is depend on distance between lens center of CCD camera and light emitter, view and beam angles, and parameters of CCD camera.

  • PDF

핵의학 투고 논문 분류 및 방향성 고찰 (Classification of submitted nuclear medicine dissertation and directional consideration)

  • 조호연;우영란;서강록;홍건철
    • 핵의학기술
    • /
    • 제26권2호
    • /
    • pp.37-42
    • /
    • 2022
  • Purpose Since 1985, the Korean society of nuclear medicine technology (KSNMT) has been engaged in academic activities related to nuclear medicine imaging. From 2017 to 2021, th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were classified by the specific fields to examine the trends in the research and the direction of nuclear medicine in comparison with the papers submitted to the Korean Society of Nuclear Medicine (KSNM) during the same period. Materials and Methods From 2017 to 2021, papers submitted to KSNMT and KSNM were classified and databaseization using the Excel program by submission type, examination equipment, and examination field. Through this data,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in journals by year, the number of papers submitted by detailed fields, and key words by era were analyzed and compared. Results The papers included by journal was 57 KSNMT and 280 KSNM. The major large classification of equipment, PET, Planar and SPECT was 26.3%, 21.1%, 19.3% in the KSNMT, KSNM was 49.6%, 6.4%, and 9.3%, with 66.7% and 65.3%, respectively. the major medium classification of equipment, industrial safety, urogenital system, nervous system, and quality control accounted for 54.4% of the total papers of the total ratio in the KSNMT, while the medium classification of oncology, endocrine system, urogenital system, therapy, and nervous system accounted for 61.1% of KSNM. In the major small classification of image acquisition, improvement effect, and exposure management accounted for 70.2% in KSNMT, while the items of image acquisition, report, and improvement effect accounted for 60.7% in KSNM. The major keywords except for equipment-related keywords such as PET/CT, PET/MR, and SPECT were SUV, Planar Image, and Respiration Gating Method in KSNMT and Ga68, Thyroid, and Lymphoma in the KSNM. Conclusion When checking the last 5 years of submissions, we can see that KSNMT is mainly concerned with image acquisition using existing radiotracers, while KSNM has focused on new radiotracers such as 68Ga, 177Lu, etc., and new medical technologies of theranostic. It has been confirmed that more PET-related papers than other examination equipment will account for a greater number of papers, and it is believed that future submissions will also account for a higher proportion of PET-related papers than other equipment.

Full Matrix Capture 기법을 통한 초음파신호 영상화 향상 연구 (Study on Enhancements to Ultrasonic Data Imaging Using Full Matrix Capture Technique)

  • 이태훈;윤병식;이정석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299-306
    • /
    • 2015
  • 일반 위상배열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압전소자를 가지는 탐촉자의 개별 소자에 인가하는 시간지연을 조절함으로써 초음파빔을 전자적으로 제어하고 초음파 영상을 획득한다. 반면, full matrix capture(FMC) 기술은 위상배열 탐촉자에 대해 하나의 소자에서 초음파를 입사시킨 신호를 모든 압전소자에서 수신하고, 이 방법으로 모든 가능한 송수신 조합의 신호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이다. 이 FMC 데이터는 후처리를 통해 초음파 영상으로 재구성될 수 있으며, 기존 위상배열 초음파 영상과 동등한 영상뿐만 아니라 가상적으로 관심영역의 모든 지점에 집속하여 분해능과 선명도가 향상된 total focusing method(TFM) 영상으로도 합성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 위상배열장치를 이용하여 FMC가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현하고, 취득된 FMC 신호로부터 sector B-scan 및 TFM 이미지를 영상화하는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와 GPS정보를 이용한 스마트 보안 CCTV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smart security CCTV system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s and GPS data)

  • 윤경효;박진홍;김정준;서대화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7권8호
    • /
    • pp.918-931
    • /
    • 2013
  • 기존의 Pan-Tilt Zooming 카메라를 이용한 객체 추적은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여 물체의 이동을 검출하였다. 그러나 이 방식은 영상처리를 위한 알고리즘과 이를 위한 하드웨어 비용이 소요되었다. 그리고 주변 환경의 변화나 영상 잡음 등으로 유효하지 않은 영상이 획득되는 경우나 사각지대가 존재하여 영상의 획득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대응이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 정보처리 기반의 객체 추적 기술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IEEE 802.15.4 표준을 적용한 GPS수신기가 장착된 센서노드를 시설물에 장착하여 센서노드의 가속도 센서가 장착된 시설물의 움직임을 인식하고 해당 센서노드의 GPS 정보를 이용하여 물체를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영상처리에 요구되는 연산량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넓은 지역의 이동 물체를 추적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PTZ 카메라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센서노드의 유동적 장착이 가능할 수 있도록 무선의 메쉬 네트워크를 구현하여 설치의 효율성을 올렸다.

근거리 수동 밀리미터파 이미징 시스템을 이용한 영상 측정과 영상처리 (Image Measurement and Processing using Near-Range Passive Millimeter-wave Imaging System)

  • 정경권;윤진섭;채연식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8호
    • /
    • pp.159-165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근접한 거리의 수동 밀리미터파 이미징 시스템을 설계하고 테스트하였다. 제안한 수동 밀리미터파 이미징 시스템은 안테나와 저잡음 증폭기, 다이오드 검출기로 구성된 94GHz 밀리미터파 이미징 센서와 2축 직교 로봇, 데이터 수집장치, 이미징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제어 장치로 되어있다. 금속 공구나 IC 카드, 플라스틱 등의 물체에 대해서 영상을 측정하고, 2축 직교 로봇은 래스터 스캔을 통해서 2차원 영상을 얻을 수 있다. 60초 이내로 $20{\times}20$ 픽셀의 영상을 얻어서 출력하고, 후처리를 위해서 영상을 저장한다. 측정 영상의 해상도 개선을 위해서 여러 가지 보간법을 적용하여 성능을 확인하였다.

정지궤도 해색탑재체(GOCI) 데이터의 수신.처리 시스템과 배포 서비스 (Introduction of Acquisition System, Processing System and Distributing Service for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 Data)

  • 양찬수;배상수;한희정;안유환;유주형;한태현;유홍룡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63-275
    • /
    • 2010
  • 정지궤도 해색탑재체(GOCI,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의 주관 운영기관인 해양위성센터 (KOSC, Korea Ocean Satellite Center)는 한국해양연구원에 기반시설을 구축하였다. 또한, 해양위성센터는 수신시스템(GDAS), 전처리시스템(IMPS), 처리시스템(GDPS), 배포시스템(GDDS), 자료교환시스템(DMS), 기관간 자료교환시스템(EDES), 통합감시제어시스템(TMC) 등 GOCI 데이터의 서비스를 위한 준비를 완료하였다. 해양위성센 터에서는 매일 8번 관측되는 GOCI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배포정책에 따라 Level 1B 이후의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배포하게 된다. 여기서는 해양위성센터의 시스템과 배포정책에 대한 개요를 설명하고, 사용자가 해양위성센터의 홈페이지에서 GOCI 데이터를 검색 요청하고 다운로드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