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Low-Cost Data Acquisition Method for Close-range Digital Photogrammetric System

근거리 수치사진측량시스템을 위한 저가격 자료획득방법의 개발

  • Published : 1999.06.30

Abstract

GIS have become easier to use and very popular. In recent year digital photogrammetric systems ire becoming cost-effective tools to build and update GIS databases. In close-range photogrammetry for the acquisition of geospatial data, the bundle adjustment needs both initial approximate values and control points to solve the ex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This paper gives a review of applied and potential algorithms for estimating Initial approximate values before the bundle adjustment, develope new algorithms for determine the ex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and gives a cost-effective methods for close-range digital photogrammetric system Modifications of existing DLT algorithm were made in this study for providing an efficient, economic, and more accurate photogrammetric data reduction technique. These modifications include robust approaches for automatic detection and elimination of all lands of gross errors in the measurement data, and incorporation of GPS to reduce the number of control points necessary for a DLT solution. Also, this paper derives a new method for space resection from a monocular image. A major advantage of proposed method is that the solution can be uniquely and analytically determined without initial approximate values of ex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and without iterative computation.

지형공간정보체계는 사용이 용이하여 널리 대중화되어가고 있다. 최근 수치사진측량은 GIS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거나 갱신하기 위한 경제적인 방법으로 인정받아 가고 있다. 지형공간정보의 획득을 위한 근거리사진측량은 좌표해석을 위해 이용되고 있는 번들조정이 요구된다 번들조정은 외부표정요소를 결정하기 위해서 초기 근사 값과 기준점들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번들조정을 수행하기 전에 초기근사값을 추정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들을 비교분석하고, 이들 외부표정요소의 결정을 위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선 효과적이고 경제적이며 보다 정확한 사진측량 관측값처리 기법을 제공하고자, 기존의 DLT 알고리즘에 관측값에서의 모든 종류의 과대오차들을 자동적으로 검출하고 제거하기 위한 robust 방법과 해를 위해 필요한 기준점의 수를 줄이기 위해 GPS를 도입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단사진으로 처리하는 새로운 후방교회법(space resection)유도하였다. 제안한 방법의 주된 장점은 외부표정요소의 초기근사값을 요구하지 않고 계산과정에서 반복계산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