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dentification methods of gifted students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3초

수행평가를 활용한 영재 판별 (An Applicaton of Performance Assessment for the Identification of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 오영주
    • 영재교육연구
    • /
    • 제7권1호
    • /
    • pp.77-116
    • /
    • 1997
  • The paper-and-pencil multiplce choise test has been widely used to identify gifted and talented student in Korea. Such test have several drawbacks; such~a s not being able to asses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high level thinking abilities which ar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EDI) developed a performance assessment which challenged traditional methods of identification. The 5-day summer camp was held to select gifted students for the Korean Minjok Leadership Academy. 211 students were evaluated in the aspect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high level thinking abilities, task commitments, and cooperativeness with various performance tasks, such as essay tests, conversations, oral examinations, computer simulations, puzzles, experiments, group discussions, debates, research reports, and gam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everal limitations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in terms of low reliability, requiring high costs and many professionals, and taking long times and large spaces. Expanding and continuing research should follow in order for a performance assessment to use widely as an identification methods because it assesses 'true' abilities of each individual student. follow in order for a performance assessment to use widely as an identification methods because it assesses 'true' abilities of each individual student.

  • PDF

미래사회 영재 판별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dentification Methods for Gifted Students in the Future Society)

  • 이재호;류지영;진석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307-317
    • /
    • 2011
  • 영재교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는 영재성에 대한 정의와 영재를 정확하게 판별하는 것이다. 영재의 판별은 영재성의 정의에 근거해야 하는데, 영재성의 정의는 사회의 가치관에 따라 다르며, 영재성은 개념적인 용어이므로 직접적으로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영재를 판별하는 것도 명확한 기준에 따른 객관적이고 절대적인 도구는 존재하지 않는다. 최근 영재교육이 상위학교 진학에 도움이 된다고 하여 많은 학부모들이 영재교육을 특목고와 명문대 진학을 위한 발판이나 수단으로 생각하고 있다. 본 연구는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영재를 판별할 방안을 개발하기 위하여 영재선발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현행 영재 선발 방법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한 다음, 이를 활용한 판별 전략과 선발 절차 및 방법 등을 제안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래사회에 성공할 가능성이 많은 영재를 선발하기 위해서는 인지적인 요소 외에 정의적인 요소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영재성을 가진 모든 영재들에게 영재교육의 기회를 확대하고, 영재 프로그램 배치 후에도 영재성에 대한 평가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밝히고 있다.

  • PDF

단위학교 영재학급 선발방식에 따른 영재 특성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Gifted Students'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Diverse Identification Methods for the Gifted Education Program at Each Elementary School)

  • 김혜정;한기순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2호
    • /
    • pp.257-273
    • /
    • 2013
  • 최근 영재교육의 핫 이슈 중 하나는 단위학교 영재학급의 급격한 증가이다. 영재교육의 양적 성장이라는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단위학교 영재학급이 본격적으로 운영되면서 단위학교 영재학급에서 선발되고 있는 학생들의 영재성에 대한 의문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단위학교 영재학급 선발방식에 따른 영재 특성(지능, 창의성, 동기 및 자기조절 학습전략)을 비교하여 현재 단위학교 영재학급 선발방식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보다 유용한 단위학교 영재학급 교육대상자 선발방법을 강구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각기 다른 방식(선발시험, 혼합, 성취도, 희망)으로 선발된 단위학교 영재학급 4학년, 6학년 학생 402명, 지역교육청 영재교육원 6학년 학생 50명, 일반 학생 4학년, 6학년 학생 142명을 포함하여 총 594명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지능, 창의성, 동기 및 자기조절 학습전략 검사를 실시하고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단위학교 영재학급 영재는 영재 특성에 있어 지역교육청 영재교육원 영재와 차이가 없었으며 일반학생들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단위학교 영재학급의 다양한 선발방식(선발시험, 혼합, 성취도, 희망)에 따라 영재의 특성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희망에 의한 선발은 지능, 창의성, 동기 및 자기조절 학습전략 전반에서 다른 선발방식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어 영재선발방식으로서의 타당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단위학교 영재학급의 선발방식 개선 맥락에서 심도 깊게 논의되었다.

영재학급 대상자 선발을 위한 관찰.추천 영재판별모형 개발 연구 (Identification Model Development for Gifted Students Based on Class Observations and Nominations)

  • 류지영;정현철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1호
    • /
    • pp.257-287
    • /
    • 2010
  • 본 연구는 교육청 산하 영재학급의 영재선발에 적용되는 관찰과 추천에 의한 영재판별모형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영재 판별의 정의와 가능성, 현재의 영재선발, 영재판별의 방법에 대해 조사하였다. 관찰 추천 영재판별모형은 모두 4단계로 구성되었다. 1단계는 다양한 정보들의 수집이고, 2단계는 포트폴리오 구성과 그 내용을 루브릭으로 평정하는 것이고, 3단계는 2단계에서 선발된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과 면접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과 정의적 특성을 알아본 다음, 4단계인 영재선정심사위원회에서 최종적으로 영재선발을 결정한다. 본 영재판별모형은 영재프로그램에 배치되고 나서도 영재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을 통하여 영재의 재배치나 상위 영재기관에의 추천 근거자료로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본 모형은 현재 영재성을 발휘하거나 앞으로 발휘할 가능성이 높은 잠재적인 영재의 선발에 도움을 주며, 특히 소외계층의 영재선발에 일익을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

수학·과학 영재성 검사에서 창의성과 사고력 및 수학·과학 학업성취 간의 관계와 영재판별 준거 분석 (A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Thinking Skill,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Identifying Reference of the Gifted Students in Math and Science)

  • 이경화;박춘성;유경훈;최병연
    • 교육심리연구
    • /
    • 제23권3호
    • /
    • pp.543-560
    • /
    • 2009
  • 본 연구는 영재교육이 확산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최근 상황에서 영재를 판별하기 위하여 타당한 방법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학과 과학교과에서 탁월한 학생들을 판별하기 위한 영재성 검사를 개발하여 전국 단위로 검사를 실시한 결과를 활용하여 각 하위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영재성 검사에 포함된 하위변인은 영재성 영역에는 창의성과 사고력, 학업성취 영역에는 수학과 과학에서의 학업성취이다. 연구대상은 전국의 초등학교 3학년-6학년과 중학교 1학년 학생 6,237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첫째로 창의성, 사고력, 교과 간의 관련성을 본 결과, 창의성과 사고력은 수학과 과학에서의 학업성취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특히 과학에서의 성취는 창의성과 사고력 하위요인 모두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로 영재집단의 선별 방법에 따라 창의성, 사고력, 수학 과학 교과의 학업성취의 영향력은 매우 다르게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으며 4가지 특성을 모두 고려하는 것이 상위 1%의 영재선별에 매우 근접한 선별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 초중등학교에서 과학영재를 위한 과학 심화학습 프로그램의 탐색 (An Exploration of Science Enrichment Learning Program for the Science Gifted in General Elemetary and Secondary School)

  • 김명환
    • 영재교육연구
    • /
    • 제8권1호
    • /
    • pp.7-38
    • /
    • 1998
  • In order to explore the science enrichment learning program for the science gifted in general elemetary and secondary schoo1,the identification of the science gifted, gifted education methods and science education cumculums were investigated through literature survey. Admitting the Renzulli's enrichment triad model and three dmensional scienctific factors as context, process and content, the snow ball program was explored. Identification methods and science education cumculum of enrichment learning for the science gifted were presented. In the snow ball program, it was presented that each factor of three dimensional scienctific factors was focused in the different ways due to the levels or the ages of students. The examples of the snow ball program and science education cumculum of enrichment learning for the science gifted were illustrated.

  • PDF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판별 방안 연구 (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ethods of Identifying for the Elementary Gifted Children of Information Science)

  • 황국환;이애정;이재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69-7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초등정보과학영재의 판별 방안을 제안하기 위하여 수행한 연구는 아래와 같다. 첫째, 초등 정보과학영재의 정의와 판별을 위해 영재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시행하고, 여러 학자들의 이론과 수학 과학영재의 판별원칙 요소 절차를 바탕으로 하여 초등 정보과학영재의 판별원칙 요소 절차를 재구성하여 새로운 초등 정보과학영재의 판별방법을 제안한다. 둘째, 초등 정보과학영재의 판별절차와 그에 따른 내용을 정의하고, 6학년들을 대상으로 3단계에 걸친 관찰 및 평가를 통해 영재판별을 실시한다. 셋째, 판별절차에 의해 정해진 영재집단과 타 초등학교의 수학 과학 학업우수자인 일반집단과의 과제 성취를 비교, 분석하여 타당도를 분석한다.

  • PDF

수학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조사 연구 (A Survey for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Gifted Education Program)

  • 송상헌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권1호
    • /
    • pp.51-93
    • /
    • 1999
  • This survey is to know the present situation and effective alternatives of mathematics gifted education program for the 5-8 grade students in Korea. This is aiming at finding effective ideas useful to the definition of the gifted, the development of the methods and tools for identification, the proper organization of program and urgent issues. The number of collected questionnaire available by mailing is 92; 21 specialists, 24 experienced teachers and 47 scholars who are concerned with the education for the gifted. Not translated original Korean-Questionnaire is in the appendix.

  • PDF

복합판별 과정에 의한 초등학교에서의 미성취 영재 판별 (A Comprehensive Model for Identification of Underachieved Gifted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s)

  • 박소영;이진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17권2호
    • /
    • pp.251-279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 영재 판별의 이론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다인수 학급에서의 미성취 영재를 효율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 단계와 내용을 구성하는 데 있다. 2006년 3월 1일부터 2006년 9월 30일까지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S 초등학교 전교생 1980명을 대상으로 하여, 70명의 교사 추천(1단계)으로 시작하여 6단계 위원회 최종판별에서 4명의 미성취 영재(2 4 5 6학년 남학생)가 판별되기까지의 과정에 대하여 기술한다. 보다 다면적이고 적합한 미성취 영재 판별을 위하여 표준화 검사 도구, 체크리스트와 설문지, 학업 성취도 검사를 채택, 수정, 혹은 개발하였으며 판별 과정에서 수정 보완하였다. 미성취 영재의 복합판별 과정의 개발 및 적용과정을 통하여 본 연구는 교사추천, 간편검사, 미성취 특성 체크리스트, 다차원검사, 관찰 면담, 위원회 최종판별이라는 복합판별 과정이 교육현장에서 미성취 영재를 적절하게 판별할 수 있을 것으로 제안한다.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에서 교사 추천의 효용성 분석 (The Analysis of Teacher's Recommendation Usefulness in Selecting Scientific Gifted Students)

  • 이인호;한기순
    • 영재교육연구
    • /
    • 제19권2호
    • /
    • pp.381-404
    • /
    • 2009
  • 이 연구는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에서 교사 추천의 효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추천 학생과 미추천 학생이 영재로 선발된 정도와 인지적 정의적 영재 관련 특성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 지를 분석하였다. 인천광역시 관내 20개 초등학교의 6학년 지도 교사 87명과 위 학교의 6학년 중 추천 학생 103명과 미추천 학생 6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 학생의 지능,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창의성, 학습방법, 성취동기, 학업능력에 대한 신념, 문제해결 성향 및 과제선호도를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추천 유무에 따라 학생의 영재 관련 특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둘째, 영재 선발 2단계(영재성 검사)와 3단계(학문적성 검사)를 통과한 학생과 탈락한 학생의 영재 관련 특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교사 추천은 영재 선발에서 $70{\sim}80%$의 판별 적중률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