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n Gifted Students'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Diverse Identification Methods for the Gifted Education Program at Each Elementary School

단위학교 영재학급 선발방식에 따른 영재 특성 비교

  • Received : 2013.04.01
  • Accepted : 2013.04.21
  • Published : 2013.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more useful identification method by comparing diverse selection approaches for the gifted education programs at the each elementary school. Diverse selection methods examined in the study include 'written examinations', 'mixed evaluation', 'achievement test scores', and 'self-recommendation'. For the study, each identification group's gifted students' characteristics, such as intelligence, creativity,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were compar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 total of 594 gifted and norma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in each gifted education class and gifted students who belong to the regional gifted education programs which are considered higher level of gifted education programs. Whil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of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in all aspects examined, such as intelligence, creativity,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ies. In addition and most importantly, diverse identification method utilized in each school showed differences in gifted students' characteristics. Especially, students who were selected through the self-recommendation showed significantly lower intelligence, creativity,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ie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related to the identification and education for the gifted at each elementary school were discussed in depth.

최근 영재교육의 핫 이슈 중 하나는 단위학교 영재학급의 급격한 증가이다. 영재교육의 양적 성장이라는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단위학교 영재학급이 본격적으로 운영되면서 단위학교 영재학급에서 선발되고 있는 학생들의 영재성에 대한 의문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단위학교 영재학급 선발방식에 따른 영재 특성(지능, 창의성, 동기 및 자기조절 학습전략)을 비교하여 현재 단위학교 영재학급 선발방식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보다 유용한 단위학교 영재학급 교육대상자 선발방법을 강구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각기 다른 방식(선발시험, 혼합, 성취도, 희망)으로 선발된 단위학교 영재학급 4학년, 6학년 학생 402명, 지역교육청 영재교육원 6학년 학생 50명, 일반 학생 4학년, 6학년 학생 142명을 포함하여 총 594명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지능, 창의성, 동기 및 자기조절 학습전략 검사를 실시하고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단위학교 영재학급 영재는 영재 특성에 있어 지역교육청 영재교육원 영재와 차이가 없었으며 일반학생들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단위학교 영재학급의 다양한 선발방식(선발시험, 혼합, 성취도, 희망)에 따라 영재의 특성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희망에 의한 선발은 지능, 창의성, 동기 및 자기조절 학습전략 전반에서 다른 선발방식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어 영재선발방식으로서의 타당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단위학교 영재학급의 선발방식 개선 맥락에서 심도 깊게 논의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호원 (2012). 제2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 '11년도 추진실적 점검결과 발표.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 2012. 4. 25.
  2. 강희영 (2012). 영재 선발방법에 따른 수학영재의 특성 비교.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3. 구자억, 김홍원, 박성익, 안미숙, 이순주, 조석희 (2002). 동서양 주요 국가들의 영재교육. 서울: 문음사.
  4. 권성근 (2007). 5, 6학년 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특성 비교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5. 김성희 (2010). 초등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지능과 지혜와 행복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6. 김연주 (2012). 역동적 평가를 활용한 미성취 과학영재의 판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7. 김현미 (2012). 방과 후 학교 형태의 단위학교 영재학급에 관한 인식 연구: 개념도 연구법을 활용하여.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8. 노신자 (2002). 영재와 일반아동의 자기조절학습과 창의적 성격의 차이. 석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9. 류지영, 정현철 (2010). 영재학급 대상자 선발을 위한 관찰․추천 영재판별모형 개발 연구. 영재교육연구, 20(1), 257-287.
  10. 문병상 (2000). 영재와 평재간의 학업적 자기조절 차이. 초등교육연구, 18(1), 181-197.
  11. 배진성 (2010). 단위학교별 영재학급에 의한 영재교육 확대 방안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12. 서주연 (2004). 영재와 평재 간의 자기효능감과 가지조절학습전략 사용상의 차이.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13. 안성연 (1996). 영재의 단일판별 대 복합 판별 과정의 비교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14. 유형기 (2009). 초등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지능, 창의성, 과흥분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15. 이신동, 이정규, 박춘성 (2009). 최신영재교육학개론. 서울: 학지사.
  16. 이인호, 한기순 (2009).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에서 교사 추천의 효용성 분석. 영재교육연구, 19(2), 381-404.
  17. 이재분 (2012). 영재교육 10년, 회고와 전망. 교육과학기술부 심포지움 기조발표 자료 (2012.11.28)
  18. 이재호, 류지영, 진석언 (2011). 미래사회 영재 판별 방법에 관한 연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5(2), 307-317
  19. 이지현 (2011). 초등 저학년 고도 영재들의 인지적, 비인지적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20. 임윤경 (2011).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지적능력에 대한 신념을 예측하는 변인 탐색: 지능, 동기 및 자기조절 학습전략, 부모의 학업성취 압력.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21. 한기순, 이정용 (2011). 영재교사들이 지각하는 관찰-추천 영재판별 시스템의 방향, 중요도, 실행수준 분석. 영재교육연구, 21(1), 107-122.
  22. Pintrich, P. R., & De Groot, E. V. (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33-40. https://doi.org/10.1037/0022-0663.82.1.33
  23. Renzulli, J. S. (1986). The three-ring conception of giftedness: A developmental model for creativity productivity. In R. J. Sternberg & J. E. Davidson (Eds.), Conceptions of Giftedness.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Wallach, M. A., & Kogan, N (1965). Modes of thinking young children: A study of the creativity-intelligence distinction. NY: Holt, Rinehart & Wins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