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droxy radical scavenging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5초

학슬 및 관동화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용혈 효과 (Antioxidant and Antihemolytic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of Carpesii Fructus and Farfarae Flos)

  • 강현주;김홍준;정승일;김현수;전인화;목지예;심재석;장선일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5-31
    • /
    • 2013
  • Objectives : To develop a natural antioxidant and anti-hemolytic agent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thanol extracts of Carpesii Fructus and Farfarae Flos. Methods : Aerial parts of Carpesii Fructus and Farfarae Flos were extracted with 80% ethanol. Antioxidant activity of Carpesii Fructus or Farfarae Flos extract was evaluated by employing three different assays, i.e., 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2,2'-azino-bis (3-ethylbenzthiazoline-6-suphonic acid) diammonium (ABTS) scavenging and reducing power activities. Also, anti-hemolytic activity of Carpesii Fructus or Farfarae Flos extract was determined using [2,2'-azobis (2-methylpropionamidine) dihydrochloride (AAPH)]-induced hemolysis, glutathione (GSH) depletion and malondialdehyde (MDA) formation in normal rat red blood cells (RBC) or plasma. Results : The extracts obtained from Carpesii Fructus and Farfarae Flos dose-dependently increased the scavenging activity on DPPH- or ABTS-induced radicals and the reducing power activities. Carpesii Fructus and Farfarae Flos were similar to the scavenging activity and the reducing power of butylated hydroxy anisole effect at high concentration ($1,000{\mu}g/mL$). RBC oxidative hemolysis and plasma MDA formation induced by AAPH were significantly suppressed by the extracts of Carpesii Fructus and Farfarae Flos in a dose-dependent manner. Also, Carpesii Fructus and Farfarae Flos extracts prevented the depletion of cystosolic antioxidant GSH in RBCs. Carpesii Fructus generally had better than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reducing power and anti-hemolytic effects of Farfarae Flo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rpesii Fructus and Farfarae Flos may have value as the potential antioxidant and anti-hemolytic medicinal plant.

A Novel Benzoyl Glucoside and Phenolic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Camellia japonica

  • Cho, Jeong-Yong;Ji, Soo-Hyun;Moon, Jae-Hak;Lee, Kye-Han;Jung, Kyung-Hee;Park, Keun-Hy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5호
    • /
    • pp.1060-1065
    • /
    • 2008
  • A novel benzoyl glucoside (4) and 13 known phenolic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leaves of Camellia japonica by a guided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The structure of 4 was determined to be 4-hydroxy-2-methoxyphenol 1-O-$\beta$-D-(6'-O-p-hydroxylbenzoyl)-glucopyranoside (camelliadiphenoside). The 13 known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E)-coniferyl alcohol (1), (-)-epicatechin (2), 4-hydroxyphenol 1-O-$\beta$-D-(6-O-p-hydroxybenzoyl) glucopyranoside (3), naringenin 7-O-$\beta$-D-glucopyranoside (5), quercetin 3-O-$\beta$-L-rhamnopyranosyl(1$\rightarrow$6)-$\beta$-D-glucopyranoside (6), kaempferol 3-O-$\beta$-L-rhamnopyranosyl(1$\rightarrow$6)-$\beta$-D-glucopyranoside (7), (+)-catechin (8), 1,6-di-O-p-hydroxybenzoyl-$\beta$-D-glucopyranoside (9), phloretin 2'-O-$\beta$-D-glucopyranoside (10), quercetin 3-O-$\beta$-D-glucopyranoside (11), quercetin 3-O-$\beta$-D-galactopyranoside (12), kaempferol 3-O-$\beta$-D-galactopyranoside (13), and kaempferol 3-O-$\beta$-D-glucopyranoside (14). Their chemical structures were determined by the spectroscopic data of fast atom bondardment mass spectrometry (FABMS) and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Flavonoids having the catechol moiet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other isolated compounds having monohydroxy phenyl group.

비쑥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 및 염증억제 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n Artemisia scoparia)

  • 윤원종;이정아;김지영;오대주;정용환;이욱재;박수영
    • 생약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35-240
    • /
    • 2006
  •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such as DPPH radical scavenging capacity,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and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capacity of the aqueous EtOH extract and its solvent fractions of Artemisia scoparia.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high antioxidant activity, compared to positive controls such as ascorbic acid, butylated hydroxy anisole (BHA), trolox, and allopurinol in these assay systems. Moreover, we examined the inhibitory effect of solvent fractions of A. scoparia on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factors that the nitric oxide (NO),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cyclooxygenase-2 (COX-2) and prostaglandin E2 $(PGE_2)$ production activated with LPS $(1{\mu}g/ml)$ in 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264.7. The amounts of protein levels were determined by immunoblottting. Tn the sequential fractions of hexane and dichloromethane inhibited the NO and $PGE_2$ production and the protein level of iNOS and COX-2.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scoparia may have anti-inflammatory activity through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on of pro-inflammatory factors.

발효된 홍삼 미강 대두의 혼합비율에 대한 항산화와 항노화 효과 (Antioxidative and Antiaging Effects of Fermented Soybean, Rice Bran, and Red Ginseng by Mixed Ratios)

  • 손정현;하배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54-359
    • /
    • 2013
  • 본 연구는 발효된 대두, 미강, 홍삼 3종을 배합을 하여 시너지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개별 시료보다 더욱 더 좋은 혼합물을 만들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3가지 혼합비율 262, 622, 442를 비교하였을 때 442 비율이 항산화활성과 항노화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42 혼합비율은 개별 재료의 효과와 비교하였을 때 개별 홍삼보다 높은 시너지 효과를 보여 주었다. 그러므로 홍삼을 원료로 하여 화장품을 제조할 때는 홍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미강과 대두와 혼합된 442 혼합비율 재료가 항산화활성과 주름개선에 더 높은 활성을 가지는 기능성 화장품의 중요원료로 선호될 수 있다. 앞으로 이 물질에서 주요한 유효성분을 분리, 정제하여 항산화 검증과 항노화 검증의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유자(Citrus junos SIEB ex TANAKA)종실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Citron (Citrus junos SIEB ex TANAKA) Seed)

  • 권오천;신정혜;강민정;이수정;최선영;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94-300
    • /
    • 2006
  • 폐자원의 기능성 식품으로서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유자종실의 일반성분 분석 및 항산화활성을 검토하였다. 유자종실의 조지방의 함량은 $35.29{\pm}0.18%$이었으며, 총 무기질함량은 1171.64 mg/100g으로 칼륨의 함량은 $637.99{\pm}5.38mg/100g$으로 가장 높았다. 총 페놀함량은 $24.44{\pm}1.10mg/100g$, 총 플라보노이드함량은 $2.27{\pm}0.18mg/100g$으로 정량되었다. 전자공여능, hydroxy radical 소거능 및 SOD유사활성은 유자종실 에탄올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항산화효과가 상승하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모든 실험구에서 시료의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상승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적었으며 , 전반적으로 pH 4.2보다 pH 1.2에서 아질산염 소거능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대두유 기질에서 과산화물가 및 산가는 유자종실추출물의 첨가유무에 관계없이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저장 16일에 시료 무첨가구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해삼 단백질로부터 펩타이드 제조 최적공정 확립 및 항산화 특성 (Process Optimization of Peptides Production from Protein of Sea Cucumber and Its Antioxidant Capacity Analysis)

  • 하유진;유선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38-348
    • /
    • 2017
  • 식물 및 동물성 단백질 유래 펩타이드 형태의 단백질 가수분해물들은 항산화, 고혈압 완화, 면역조절, 진통완화 및 항균작용 등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본 연구는 건조 해삼으로부터 해삼육 슬러리를 제조하고 flavourzyme 프로티아제를 이용하여 단백질 가수분해 최적공정을 수행하였다. 이어서 생산된 펩타이드의 항산화 특성을 연구하였다. 효소반응 최적공정은 표면반응 분석법을 이용하여 수행을 하였고 공정의 범위는 반응온도 $40-60^{\circ}C$, 반응 pH 6-8, 효소의 농도 0.5-1.5%(w/v) 이었다. 해삼의 단백질 최적 효소가수분해 공정조건은 효소 반응온도 $48-50^{\circ}C$, 반응 pH 7.0-7.2, 효소의 양은 1.0-1.1%(w/v)에서 결정 되었다. 이때 단백질 가수분해 수율은 43-45%에 도달하였다. 생산된 대부분 가수분해물의 분자량들은 전형적인 펩타이드인 분자량 500-3,500Da로 분포되었다. 펩타이드들은 항산화 능력은 금속 킬레이션 능력($IC_{50}$, 1.25 mg/mL), DPPH 소거능($IC_{50}$, 3.40 mg/mL), 슈퍼옥사이드 라디칼 소거능($IC_{50}$, 10.3 mg/mL), 하이드록시 라디칼 소거능($IC_{50}$, 22.11 mg/mL) 순서로 저해농도가 낮음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해삼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건강 기능 식품소재로서 활용할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를 한다.

치자의 항산화 활성 및 활성성분의 분리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omponents of Gardenia jasminoides)

  • 양혜정;박미정;이흠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51-57
    • /
    • 2011
  • 치자의 항산화 활성과 유지산화 지연효과를 측정하고 활성을 보인 분획에서 주성분인 geniposide와 crocin을 분리하고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여러 분획 중 부탄올 분획과 물 분획의 항산화성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고 그 분획의 주성분으로 분리된 geniposide와 crocin의 단일물질로서의 항산화력을 측정 비교한 결과, crocin의 항산화력이 더 강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SOD 유사활성 시험에서 여러 분획의 활성이 총 메탄올 추출물보다도 낮음에 비하여 crocin 단일 물질은 양성 대조군 cholorogenic acid의 $EC_{50}$ 값 453 ppm에 비하여 절반정도 낮은 $EC_{50}$값 259 ppm으로 매우 높은 활성을 보였다. 유지 산화 지연효과도 치자의 총 메탄올 추출물 250 ppm 이상의 농도에서의 AI값은 BHA 1000 ppm에서의 AI값 1.66 보다 큰 1.81 이상임을 보여 유지 산화 지연효과가 우수함을 나타내었다. 이 논문의 연구결과로 치자의 항산화 기능성 식품 및 첨가제로서의 개발가능성이 확인되었다고 사료된다.

일당귀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Angelica acutiloba Kitagawa Ethanol Extract)

  • 김아라;이재준;이명렬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7-122
    • /
    • 2009
  • 본 연구는 일당귀의 생리활성 및 기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in vitro에서 일당귀 에탄올 추출물과 용매별 분획물에 대한 DPPH radical 소거능, 항산화 지수, 아질산염 소거능,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 효과,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를 측정하여 일당귀의 항산화력을 측정하였다. 일당귀 에탄올 추출물을 n-hexane, chloroform, ethylacerate, n-butanol, water로 계통 분획하여 DPPH radical에 대한 자유기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n-hexane 분획이 $39{\mu}g/ml$로 가장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Rancimat로 측정한 항산화 지수도 분획 중 n-hexane 분획이 1.7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아질산염 소거능에서도 모든 pH에서 n-hexane 분획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H 변화에 따른 각 분획의 아질산염 소거 작용은 pH 1.2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지질과산화물 생성 억제 효과는 n-hexane 분획이 87.7%로 가장 높았으나,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BHT의 억제율보다는 낮았다.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과산화물가로 측정한 결과도 n-hexane의 항산화력이 가장 우수하였고 ethylaceta, chloroform, n-butanol, water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 일당귀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 원인물질에 대한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일당귀 추출물의 in vitro 에서 항산화효능의 우수함을 통해 일당귀의 천연항산화제로서 개발 및 활용성을 기대해 본다.

Invitro and Virtual Screening of Bioactive Molecule from Mycelium of Trichoderma atroviride Inhibit the UDP-3-O-(R-3-hydroxymyristoyl)-N-acetylglucosamine Deacetylases (LpxC) for Treatment of Bacterial Infection

  • Saravanakumar, Kandasamy;Park, Cheol-Ho;Wang, Myeong-Hyeo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67-67
    • /
    • 2018
  • Trichoderma species are a rich source of metabolites, but less known for biomedical potential. This work deals with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potentials of intracellular non-cytotoxic metabolites, extracted from Trichoderma atroviride (KNUP001). A total of 53 fractions was collected by column chromatography and tested for cytotoxicity by MTT assay. Only one fraction (F41) was found to be non-toxic to Vero cells with $95.4{\pm}0.61%$ of survival. The F41 was then subjected to chemical analysis,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ssays. The F41 at $500{\mu}g.ml^{-1}$ showed the total antioxidant of $48.70{\pm}2.90%$,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37.25{\pm}2.25$, nitric oxide (NO)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54.55{\pm}1.95$ and $H_2O_2$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43.75{\pm}3.21$. The F41 at $25{\mu}g.ml^{-1}$ displaye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E. coli ($14.25{\pm}0.2mm$), P. mirabilis ($10.4{\pm}0.6mm$), S. dysenteriae ($18.6{\pm}03mm$), S. paratyphi A ($14.1{\pm}1.1mm$), E. aerogenes ($5.6{\pm}0.4mm$) and S. marcescens ($14.25{\pm}0.2mm$). GC-MS analysis revealed the dominant presence of oleic acid C 18.1 (63.18%), n-hexadecanoic acid (6.17%), and ethyl oleate (4.93%) and potent molecules such as 8-[(2E)-2-(3-hydroxybenzylidene)hydrazinyl]-1,3,7-trimethyl-3,7-dihydro-1H-purine-2,6-dione, 2-(Dimethylamino)ethyl (1Z)-N-hydroxy-2-(4-morpholinyl)-2-oxoethanimidothioate, Fluorene in the F41, and virtual study revealed that these molecules are likely responsible for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F41. Hence, further investigation deserves o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active metabolites from T. atroviride strain KNUP001 towards developing molecular leads to effective antibacterial drugs, and non-toxic to host cells.

  • PDF

프로폴리스에서 분리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항산화 활성 및 방사선 방어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Radioprotection of Two Flavonoids from Propolis)

  • 정일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62-166
    • /
    • 2005
  • 프로폴리스에서 분리한 MDQ 및 quercetin의 작용기에 따른 항산화 효과를 비교 분석하고 방사선 조사에 의한 DNA의 산화적 손상에 있어서 두 화합물이 어느 정도의 방어효과가 있는지를 측정 하고자 하였다. 두 화합물의 항산화 활성 시험(DPPH 라디칼 소거활성, 지질과산화 억제활성, superoxide anion 라디칼 소거활성)에서 quercetin이 MDQ보다 훨씬 강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superoxide anion라디칼 소거활성 시험에서 MBQ는 거의 활성을 보이지 않았지만 quercetin은 농도 의존적인 강한 소거활성을 보였다. 또한, mouse 림프구에서 방사선 조사에 의한DNA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두 화합물의 방어효과 시험에서 MDQ와 Quercetin은 동일 농도에서 거의 유사한 방사선 방어효과가 관찰되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두 화합물의 작용기를 고려해 볼 때 B ring에 있는 catechol작용기의 존재 유무에 따라서 항산화 활성의 차이가 있으며 또한 MDQ화합물의 C ring에 존재하는 methoxy group은 quercetin에 존재하는 hydroxy group과 비교해 볼 때 항산화를 비활성화시키는 작용기의 하나로서 판단되어진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방사선 방어 효과는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메카니즘과 유사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지며 아울러 일차적으로 항산화 활성 물질을 검색함으로써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DNA에 대한 방어물질 검색 수단으로서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프로폴리스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경감제로서 그 가능성이 시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