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an low-density lipoprotein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8초

청심연자탕 복용에 따른 생체 징후, 혈액 검사, 기능 검사 결과의 변화 (Changes in Results of Vital Signs, Blood Tests, and Functional Tests after Taking Cheongsimyeonja-tang)

  • 조재현;배고은;서희정;최진용;심소현;한창우;김소연;최준용;박성하;윤영주;이인;권정남;이시우;홍진우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971-979
    • /
    • 2017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Cheongsimyeonja-tang on the human body. 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study, conducted us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 (EMR). Appropriate clinical cases were identified and databased through EMR. Changes of vital signs, blood tests, and functional tests before and after taking Cheongsimyeonja-tang were determined. Results: There were several significant changes after taking Cheongsimyeonja-tang. Hemoglobin, total blood proteins, and total bilirubin were increased. Eosinophil, aspartate aminotransferase, total cholesterol, and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were decreased. Conclusions: Cheonseomyeonja-tang had significant effects, including improvement of blood cell count (increase of red blood cells and hemoglobin), improvement of blood lipid level (decrease of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and blood pressure control (reduction of systolic blood pressure).

Aged garlic extract enhances exercise-mediated improvement of metabolic parameters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rats

  • Seo, Dae Yun;Lee, SungRyul;Figueroa, Arturo;Kwak, Yi Sub;Kim, Nari;Rhee, Byoung Doo;Ko, Kyung Soo;Bang, Hyun Seok;Baek, Yeong Ho;Han, Ji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6권6호
    • /
    • pp.513-519
    • /
    • 2012
  • Aged garlic extract (AGE) is known to have a protective effect against immune system, endothelial function,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We examined the effects of exercise with and without aged garlic extract administration on body weight, lipid profiles, inflammatory cytokines, and oxidative stress marker in high-fat diet (HFD)-induced obese rats. Forty-five Sprague-Dawley rats were fed either a HFD (HFD, n = 40) or a normal diet (ND, n = 5) for 6 weeks and thereafter randomized into ND (n = 5), HFD (n = 10), HFD with AGE (n = 10), HFD with Exercise (n = 10), or HFD with Exercise+AGE (n = 10) for 4 weeks. AGE groups were administered at a dose of 2.86 g/kg body weight, orally. Exercise consisted of running 15-60 min 5 days/week with gradually increasing intensity. AGE (P<0.01), Exercise, and Exercise+AGE (P<0.001) attenuated body weight gain and food efficiency ratio compared to HFD. Visceral fat and liver weight gain were attenuated (P<0.05) with all three interventions with a greater effect on visceral fat in the Exercise+AGE than AGE (P<0.001). In reducing visceral fat (P<0.001), epididymal fat (P<0.01) and liver weight (P<0.001), Exercise+AGE was effective, but exercise showed a stronger suppressive effect than AGE. Exercise+AGE showed further additive effects on reducing visceral fat and liver weight (P<0.001). AGE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increase in total cholesterol and low-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compared with HFD (P<0.05). Exercise+AGE attenuated the increase in triglycerides compared with HFD (P<0.05). Exercise group significantly decrease in C-reactive protein (P<0.001). These results suggest that AGE supplementation and exercise alone have anti-obesity, cholesterol lowering,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but the combined intervention is more effective in reducing weight gain and triglycerides levels than either intervention alone.

고콜레스테롤 조건하에 배양된 HepG2에서의 ginsenoside-Rb2에 의한 LDL receptor 억제 완화 기전 (The Mechanism of LDL Receptor Up-regulation by Ginsenoside-Rb2 in HepG2 Cultured under Enriched Cholesterol Condition)

  • 임그리워;이현일;김은주;노영태;노연희;구자현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8권2호
    • /
    • pp.87-93
    • /
    • 2004
  • 인삼성분 중 ginsenoside-Rb$_2$에 의한 LDL receptor발현 증가의 기전을 HepG$_2$세포에서 관찰하였고 이를 lovastatin과 비교하였다. 콜레스테롤 투여에 의하여 억제된 LDL receptor mRNA발현이 ginsenoside-Rb$_2$에 의하여 다시 증가하였고 이는 lovastatin에 의한 증가 효과보다 뛰어났다. SREBP mRNA의 발현 또한 콜레스테롤 투여에 의하여 억제되나 ginseonside-Rb$_2$에 의하여 발현이 증가하였고 이는 lovastatin에 의한 효과와 비슷하였다. 세포에 투여한 ginsenoside-Rb$_2$의 농도에 비례하여 SREBP-1 mRNA의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ginsenoside-Rb$_2$의 대사체인 compound K를 투여한 경우에도 SREBP-1 mRNA가 비슷한 양상으로 혹은 더 많이 발현되었다. 따라서 ginsenoside-Rb$_2$에 의한 LDL receptor의 발현 증가는 SREBP의 발현 증가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즉 ginsenoside-Rb$_2$에 의한 SREBP 발현 증가는 콜레스테롤 투여에 의하여 억제된 LDL receptor발현을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혈중의 콜레스테롤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참여형 개선기법(PAOT)의 원리를 적용한 대사증후군 관리 프로그램 효과분석 (The Effect of Metabolic syndrome Management Program Applying Participatory Action-Oriented Training Principle)

  • 윤성용;우극현;김화성;김용배;김진석;조성용;이성수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81-95
    • /
    • 201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participatory action-oriented training (PAOT) principle for the management of metabolic syndrome and to assess its effectiveness in the workplace. Methods: The metabolic syndrome management program applying participatory action-oriented training (PAOT) principle is constructed action checklist, Group discussion, self-creation of an action plan, after 3 months, 6 months, 1 year, the practice carried out check up and encourage practice activity. Results: The seventy-seven workers who participated in the metabolic syndrome management program made a total of 246 action plans, 3.8 action plans per person and 234 action plans were achieved after one year, so that 81.0% of action plans have been achieved. After 1 year, in the intervention group, systolic blood pressure (SBP)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DBP), body mass index (BMI), the risk factors score de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metabolic syndrome prevalence decreased 54.8%. whereas the control group also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d in the mean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the risk factors score. but, low-density lipoprotein (LD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nclusion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metabolic syndrome management program applying participatory action-oriented training (PAOT) principle, the need to continues implementing programs and analysis of the long-term effects are required. Participatory action-oriented training (PAOT) principle can applying without cost and time, the human burden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s such as metabolic syndrome.

털부처꽃 뿌리로부터 조제된 분획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y of Organic Solvent Fractions from Lythrum salicaria L. (Root))

  • 이승은;김금숙;한희선;이은숙;김영옥;이정훈;성낙술;이상원;김영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323-328
    • /
    • 2010
  • Root extract of Lythrum salicaria reported a hepato-protective effect on $CCl_4$-induced liver toxicity of rat was prepared into fractions such as n-hexane up layer (HA), n-hexane down layer (HB), diethyl ether (E), ethylacetate (EA), n-butanol (B) and water (W). Fractions prepared were tested their activities in vitro and in vivo condition. All of the fractions showed effective antioxidant asctivities on DPPH radical and $CuSO_4$-induced oxidation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and E fraction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effect (98.1% at $50\;{\mu}g/m{\ell}$) on linoleic acid autoxidation at $40^{\circ}C$, which was more effective than $\alpha$-tocopherol (82.4%). Five fractions (H = HA plus HB, E, EA, B, and W, 150 mg/kg/day) were fed into Sprague Dawley, male rats for 4 days, which were intoxicated with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carbon tetrachloride ($1\;m{\ell}/kg$ in corn oil) at the 4th day and were sacrificed in 24 hrs. Serum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a proinflammatory cytokine, elevated with $CCl_4$-intoxication in negative control group ($83\;pg/m{\el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E fraction-supplemented group ($18\;pg/m{\ell}$). Cu, Zn-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increased in negative control group (0.12 U/mg protein) was decreased in E fraction (0.07 U/mg protein). From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ether fraction from root extract of L. salicaria would be a potent antioxidant candidate for ameliorating liver injury induced by chemical intoxicant.

마가목 수피에서 분리한 scopoletin의 EA.hy926 혈관내피세포에서 NF-κB 신호전달을 통한 TNF-α로 유도된 혈관염증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 of Scopoletin Isolated from Sorbus commixta on TNF-α-Induced Inflammation in Human Vascular Endothelial EA.hy926 Cells through NF-κB Signaling Pathway Suppression)

  • 강혜령;김효정;김보미;김선건;소재현;조수정;권현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43-351
    • /
    • 2020
  • 마가목은 한방에서 기침, 천식, 기관지 질환 등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가목(sorbus commixta) 수피의 chloroform 분획물로부터 3종의 triterpenoid 화합물과 1종의 coumarin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화합물의 구조는 MS와 1D-, 2D-NMR분석에 의해 확인하였으며, 이들은 lupeol, β-sitosterol, ursolic acid와 scopoletin으로 구조동정되었다. 분리된 화합물 중 scopoletin은 마가목에서 처음으로 분리된 화합물이다. Scopoletin은 식물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물질로써 항염증 활성을 가진 기능성 화합물이다. 분리된 화합물들의 혈관 염증 억제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in vitro에서 LDL 산화 억제능을 평가한 결과, 분리된 화합물 중 scopoletin (IC50=10.2 μM)이 강한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TNF-α로 활성화된 인체혈관내피세포(EA.hy926)를 이용한 실험에서 scopoletin은 세포부착인자인 ICAM-1, VCAM-1, E-selectin의 발현을 저해하였고, THP-1 단핵구와 EA.hy926 혈관내피세포 간의 부착력도 약화시켰다. 뿐만 아니라, scopoletin은 TNF-α로 유도된 NF-κB 전사인자의 핵내 이동 및 IκBα의 인산화도 저해하였다. 따라서 마가목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scopoletin은 NF-κB 신호전달의 억제를 통해 세포부착인자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단핵구의 혈관내피세포로의 부착을 억제시켜 혈관내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실험결과, scopoletin은 혈관염증 반응으로부터 유도되는 죽상동맥경화증 치료를 위한 후보소재로서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제7기 (2016-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식생활평가지수 준수와 대사증후군 위험요소 및 대사증후군 발생 관계 연구 (Benefits of adherence to the Korea Healthy Eating Index on the risk factors and incid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analysis of the 7th (2016-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최선아;정성석;노정옥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1호
    • /
    • pp.120-140
    • /
    • 2022
  • 본 연구는 제7기 (2016-2018)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이용하여, KHEI 점수와 대사증후군 위험요소 및 대사증후군의 발생 관련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참여자 중 20-59세의 성인으로 연구에 이용한 변수의 결측치가 없는 8,345명을 최종대상으로 분석하였다. KHEI의 총 평균은 100점 만점에 61.06점, 남성의 총 평균은 59.63점, 여성의 총 평균은 62.50점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유의적으로 KHEI 총 평균이 높았다. KHEI의 3개 영역 중 '권고하는 식품 및 적정성 평가영역'과 '절제영역'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유의적으로 점수가 높았다. KHEI 점수에 따른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KHEI 점수를 4분위수로 나누었으며 남녀 모두 연령대와 가구소득이 Q1그룹에서 Q4그룹으로 갈수록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현재 흡연 비율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남성은 교육수준과 경제활동상태에서 Q1그룹에 비해 Q4그룹이 대학교 졸업이상 비율과 경제활동 참여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여성은 음주여부, 우울증여부, 외식횟수에서 Q4그룹이 Q1그룹보다 현재 음주, 우울증 유병자비율과 1일 1회이상 외식 비율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식품안정성에서는 남녀 모두 Q1그룹이 Q3그룹보다 '식품안정군'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영양소 섭취 실태에서 남녀 모두 Q1 그룹의 에너지 필요 추정량 미만 섭취자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탄수화물, 단백질, 비타민 C, 칼슘, 비타민 B1, 비타민 B2, 니아신은 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식이섬유소는 충분 섭취량 미만 섭취자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남성의 공복혈당은 Q3그룹이 Q1그룹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여성의 BMI는 Q4그룹이 Q2그룹보다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수축기 혈압은 Q3그룹이 Q1그룹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여성의 총콜레스테롤은 Q4그룹이 Q1그룹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서 남성의 고중성지방혈증 유병률은 Q1그룹이 Q4그룹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고혈당 유병률은 Q3그룹이 Q1그룹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여성의 고혈압 유병률은 Q3그룹이 Q1그룹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대사증후군은 Q2그룹이 Q1그룹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KHEI 점수에 따른 대사증후군 위험요인과 대사증후군 연관성 연구결과, 남녀 모두 KHEI 총점수가 높을수록, 20-29세가 50-59세에 비해 대사증후군 위험요소 및 대사증후군의 발생위험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교육수준, 소득수준, 흡연, 음주, 우울증 여부는 성별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교육수준에서 남성은 저HDL콜레스테롤혈증, 고혈당의 발생위험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여성은 우울증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고중성지방혈증은 1.81배, 고혈당은 1.90배, 대사증후군은 2.50배로 발생위험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남녀 모두 소득수준이 '하'일 때 '상'에 비해 고중성지방혈증, 대사증후군의 발생위험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여성은 복부비만, 고혈당, 고혈압을 남성은 저HDL콜레스테롤혈증 발생위험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인삼 추출물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 효과와 항산화 활성 (Inhibitory Effect against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anax ginseng C. A. Meyer Extracts)

  • 이승은;성낙술;방진기;강승원;이성우;정태영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36-245
    • /
    • 2003
  • 한국산 백삼으로부터 온도 및 에탄올 함유 비율을 달리하여 조제된 추출물들에 대한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저해활성을 검정하고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0가지 조건에서 얻어진 추출물의 인삼분말에 대한 수율과 총 페놀함량은 $85^{\circ}C$에서 50% 에탄올로 추출했을 때 42.25% 및 0.82%로 가장 높았으며 대체적으로 가온조건이 상온조건보다 높았다. 상온 50% 에탄을 추출물로부터 조제된 분획물의 수율은 물 분획이 72.08%로 가장 높았고, 총 페놀함량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이 6.59%로 가장 높았다. 2. 10가지 추출물의 ACE 저해활성을 실험한 결과 $4000{\mu}g/ml$의 농도에서 상온 50% 에탄올 추출물이 93.8%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보였으며 이 값은 시판 ACE inhibitor의 85.2%보다도 월등하게 높은 수치였으며 분획물은 핵산(201%) > 에텔 (105%) > 에틸아세테이트 (67%) > 부탄올 (46%) < 물 분획 (19%)의 순으로 효과가 높았다. 3. 사람 LDL에 대한 산화저해효과 실험에서는 $85^{\circ}C$에서 얻어진 50% 에탄올 추출물이 $200{\mu}g/ml$의 농도에서 78.2%로 가장 효과적으로 항산화력을 보였으며 모든 추출물들이 60%이상의 높은 산화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분획물에 대한 LDL산화저해효과 검정 실험에서는 에텔 분획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10{\sim}200\;{\mu}g/ml$의 농도에서 $34.38%{\sim}78.13%$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4. 각 에탄올 추출물의 linoleic acid 과산화저해 및 DPPH라디칼 소거효과는 그다지 높지 않았으며 비교 실험된 시판 천연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보다 매우 낮았다. 5 상관분석의 결과 총 페놀함량과 ACE 저해활성은 P<0.05의 수준에서 0.6353의 유의적인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부터 인삼이 ACE 저해 및 LDL산화 저해작용을 효과적으로 나타내고 총 페놀함량이 많이 추출될 수 있으며 수율을 높일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조건은 상온 혹은 가온의 50% 에탄올 추출조건이었으며 인삼은 이러한 활성에 의해 항고혈압 및 동맥경화예방의 효과를 발휘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