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using tenure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3초

가계저축규모의 결정요인 (The Determinants of Family Savings)

  • 양세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01-215
    • /
    • 1996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household characteristics to family savings. Family savings were defined in four ways such as monthly savings, average propensity to save, financial assets, and net financial assets. The household characteristics dealt with were family income, household size, number of earners, age, occupation, education, housing tenure, and urbanization. The data used in the study was Survey of Family Finance 1990. The main statistical method was multiple regression. Family income was found to the most important variable to determine four family saving variables holding other characteristics constant. Also, household size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family savings. Two-earner households were found to have higher average propensity to save and less financial assets compared to single-earner households. Fro monthly savings and average propensity to save, the households with forties andfifties household head tended to be less than others, while financial assets tended to increase with the age of household head. Compared to salary earner households, blue-colored households had significantly lower average propensity to save, and the households with professionals had significantly higher financial assets. The college-graduated households tended to have less monthly savings than the elementary-graduated households. Also, the housing renters were found to have more monthly savings and higher average propensity to save, compared to the housing owners.

  • PDF

서울시민 공공임대주택 입주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수요자 특성 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 Factors of Demande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Move in Public Rental Housing of Seoul Citizens)

  • 이윤홍
    • 국제지역연구
    • /
    • 제21권4호
    • /
    • pp.173-194
    • /
    • 2017
  • 본 연구는 공공임대주택 입주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수요자 특성요소를 규명하기 위해 위계선형모형(HLM: Hierarchical Linear Modeling)을 통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결과 값을 도출하였다. (1)가구특성 및 주택특성요소 회귀분석결과는 주택점유형태 중 월세에 거주하는 거주자, 직업, 전세, 가구원수, 주변 공공임대주택 입지여부, 월평균소득, 자녀학력, 자녀수, 주택유형, 자가 순으로 공동임대주택 입주희망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입지여건특성요소 회귀분석결과는 공공임대비율 상위 5개구(강서 노원 중구 강북 마포), 입지여건 중 주변 공공임대주택 입지여부, 소득, 가구원수, 자녀수, 자녀학력, 직업유무, 주택유형, 자가, 전세, 월세 순으로 공동임대주택 입주희망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서울의 경우 민간주택 매매가격이 높고, 임대료도 높아 소득이 낮은 서민들의 주거안정을 위해 공공임대주택 확대가 필요한 상황임에도 공공임대주택의 입주희망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아 선호도가 낮은 점을 바탕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상의 결과는 정부관계기관에게 수요자특성 요소를 연구하여 소득이 낮은 서민들의 주거안정에 도움이 되도록 현실에 맞는 대안을 제시한다.

충남 신혼부부의 공공임대주택 수요 추정과 정책적 함의 (The Estimation of the Demand of Newly Married Couples for Public Rental Housing in Chungnam)

  • 홍성효;임준홍
    • 토지주택연구
    • /
    • 제13권1호
    • /
    • pp.11-22
    • /
    • 2022
  • 본 논문은 충남 신혼부부의 공공임대주택에 대한 수요를 추정한다. 이는 조사자료와 행정자료를 연계하여 분석함으로써 자료의 한계를 일정 부분 극복한다는 점에서 관련 선행연구와 차별화될 수 있다. 먼저, 충남사회조사 2019년 자료를 이용한 신혼부부의 공공임대주택 입주의향에 대한 이항로짓모형 추정결과는 거주지, 학력수준, 주택유형, 차가 주택점유 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제시한다. 추정된 계수들을 행정을 위한 통계청의 신혼부부통계에 연결하여, 충남 신혼부부의 공공임대주택에 대한 수요량을 추정할 수 있다. 추정결과에 의하면, 충남 전체 신혼부부 43,705쌍의 공공임대주택에 대한 수요는 11,424호이며, 차가주택을 점유하고 있는 신혼부부 21,685쌍에 의한 수요는 9,436호로 추정된다. 향후, 충남도에서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고자 하는 주된 이유가 이들의 출산율을 제고하기 위함임을 고려할 때, 공급에 따른 출산율 제고의 효과에 대한 추정을 고민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만, 공공임대주택에 대한 수요와 자녀 출산 간 나타날 수 있는 내생성 문제를 통제하기 위한 방법론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서울 이주자의 출신지별 자가비율격차로 분석한 지역차별 (Place of Birth and Homeownership Dispariti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 이성우;임형백
    • 한국인구학
    • /
    • 제26권1호
    • /
    • pp.171-194
    • /
    • 2003
  • 한국 사회에서 출생지는 개인의 주거복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ulcorner 본 연구에서는 서울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출신지역별로 구분하여 편향적인 지역정책과 사회적 편견에 따른 자가소유 비율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센서스 미시자료(2% 표본)를 이용하여 자가소유 모형을 정립하였고, 주거선택 및 해체기법의 적용에 따른 출신지역별 자가소유비율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강원 및 호남출신 가구가 다른 지역 출신자들보다 불균형적으로 낮은 주택소유 비율을 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가비율의 차이에 대한 분석에 있어서 영남출신 가구와 강원출신 가구의 자가소유 격차는 대부분 인적자본의 특성 격차(endowment differences)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영남출신과 호남출신의 가구의 비율차이는 모형에서 통제되지 못한 변인들(사회적 차별과 편견, 기타)에 의해 설명되는 잔차 격차(residual differences)에 의한 설명이 더욱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사회적 차별을 완화할 정책의 필요성과 향후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신혼부부의 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HLM을 활용한 신혼부부의 주거특성과 지역특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Newlyweds' Birth Plan - Focused on Newlyweds' housing and residential area characteristics using HLM -)

  • 박서연
    • 지역연구
    • /
    • 제35권1호
    • /
    • pp.59-72
    • /
    • 2019
  • 본 연구는 저출산 및 인구절벽 현상 등으로 인해 국가경쟁력에 위협이 되는 사회적 현상에 주목하고 있다. 따라서 신혼부부가구를 대상으로 위계적 구조를 갖는 신혼부부가구의 주거특성 및 거주지역 특성이 신혼부부가구의 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합적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신혼부부가구 주거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선형모형(HLM)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혼부부가구의 출산계획에는 가구의 주거특성뿐만 아니라 지역의 평균 주택가격, 사교육비, 지역 아동센터수와 같은 지역특성이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혼부부가구의 주거특성 중 주택대출상품 이용 여부와 점유형태는 지역특성 중 주택가격과 지역 아동센터 수와 상호작용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주택 대출상품을 이용할 경우 지역의 주택가격이 높다면 오히려 출산계획을 감소시키는 부정적인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 아동센터 수가 높은 지역에서는 자가가구보다 임차가구일 경우 출산계획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신혼부부가구의 출산율을 제고하기 위해 주거특성과 지역특성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는 점과, 어떠한 요소들을 토대로 출산지원정책을 마련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수도권 아파트 거주자의 그린홈에 대한 인식 및 그린주거생활 실천 실태 (Green Life of Apartments Residents in Seoul Metropolitan Area)

  • 김환준;이현정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61-266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residents on green home and their green residential life.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items consisted of whether green home was perceived and how well green residential life was maintained in 6 types of environments. A total 118 responses of residents living in apartments of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used for data analysis. Using statistical program SPSS Win 18.0,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factor analysis was employ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slightly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were aware of green home, and the vast majority were in favor of the green home policy; 2) most of the respondents carried out guidelines of green residential life, and in particular, green living on air environment was well done, followed by consumption, waste, energy, traffic and water; 3) the six kinds of environments were subcategorized by using factor analysis, and 3 to 5 factors were included in each category of environment. Also, it was found that age, educational level, employment status of respondents, housing tenure and duration were related to the degree of green residential life. In midst of global movement toward sustainability, environmentally friendly living is not optional but mandatory, so it's important to change each individual's value on the relation between people and environment and to facilitate more environmentally conscious behaviors.

  • PDF

고층아파트의 저층과 고층의 자살률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Suicide Rates of Upper and Lower Floors of High-rise Apartment)

  • 김영욱;지봉근;김주영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8호
    • /
    • pp.57-64
    • /
    • 2019
  • This study attempts to analyse the effects of high-rise living on suicide rates. All the apartments in the City A and every suicide were examined in detail.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a database including tenure type and number of residents in all apartment complexes was created. Second, apartments were categorized into two income groups of private apartments and social housing, and spatial configuration characteristics of a typical apartment were analysed. Third, differences in suicide rates were analysed for lower and upper levels in both apartment categories.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and lower levels of apartments with their spatial configuration characteristics and suicide rates was compared. The analysis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lower and upper floors living residents' suicide rates. It can be stated that the low-income residents are more sensitive to living in high-rise environment. Also, it suggests the need to improve the high-rise living environment of vulnerable social groups. In addition, spatial integration decrease in upper floors of high-rise buildings, and it can be interpreted that spatial configuration may affect residents' pathological disorders or even suicidal behaviors.

다문화 가족의 주거만족도에 관한 실증연구 -안산시 중국동포를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Multi-Cultural Family's Housing Satisfaction -With focus on Korean-Chinese in Ansan City-)

  • 이무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323-335
    • /
    • 2017
  • 최근 한국은 다문화사회로 빠르게 변화하는 추세이며 인구증가와 주변의 환경이 많이 변하고 있다. 특히 안산시 다문화가족의 인구유입은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이들의 주거환경은 아직도 열악한 상황이다. 다문화가족에 대한 주거정책과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이에 이러한 문제를 어떻게 개선해야 되는지, 현실적으로 어떤 정책적 대안이 더욱 필요한지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안산시 거주 중국동포의 주거만족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몇 가지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안산시 거주하는 중국동포 다문화가족을 중심으로 설문지를 통해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교차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도구로는 통계 패키지인 SPSS 20.0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부주거정책의 인지도가 부족하며 둘째, 도시개발과 도시재생으로 인하여 집값이 상승하는 문제로 인하여 주거에 대해 더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고, 셋째, 주거점유형태가 자가보다는 전 월세에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중국동포 다문화가족의 주거환경개선과 정책적지원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다문화가족의 향후 상호호혜적인 실천 방안 및 전략적 대안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영국 사회주택정책의 변화 연구 - 보수당 집권기간(1979-1997)을 중심으로 - (Changing Face of the British Social Housing Policy - Under the Conservative Government, 1979-1997)

  • 이영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5권
    • /
    • pp.289-317
    • /
    • 1998
  • 본 연구는 18년간의 보수당 정권 하에서 영국의 사회주택정책이 겪은 변화의 주요 내용과 결과를 고찰함으로써 그 성격을 파악하고 무리 나라에 유용한 정책적 합의를 획득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연구자는 연구를 위하여 1년 동안 영국에 머물면서 주제와 관련된 1,2차 자료들은 물론, 현지 학자들의 의견에 직접 접할 기회도 활용하였다. 사회주택정책의 변화는 70년대 경제 위기 이후의 영국 복지국가 재편작업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보수당 정부는 시영주택의 대규모 매각 등 민영화와 시장화 정책을 정열적으로 추진하였으며, 공공지출의 삭감과 보조금 제도의 개혁 등을 통하여 이를 뒷받침하였다. 정책변화의 결과 주거유형의 분포와 지방정부의 역할 등에서 가시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며, 사회정책적으로는 주택부족, 공공부문의 잔여화 현상, 주거비 부담의 증대, 보조금 배분의 역진성, 의존의 증가 둥 부정적 현상이 두드러졌고, 목적했던 공공지출의 삭감도 달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복지국가 위기에 대한 신자유주의적 대응은 국가역할의 철폐가 아닌 재 정향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를 복지국가의 변화된 모습 둥은 우리나라 사회주택정책의 정립과 복지국가 모델의 형성을 위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

  • PDF

가계의 경제적 안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nancial Stabilityof households)

  • 황덕순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1권2호
    • /
    • pp.69-82
    • /
    • 1993
  • Financial stability of households is the basic and most important factor of the quality of life. It affects emotional psychological mental and social aspects of family personal develop-ment and family healths etc.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data on financial stability of households.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466 house-holds in Kwangju area were analyzed. As statistical methods Frequency Percentile. Anova Duncan-test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 Education job status housing tenure type numbers of income source assets income and income flexibility have positive effects on financial stability. Especially numbers of income sources has most important effect.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financial stability and economic pressures mental healths financial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and coping behaviors were revealed respectivel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inancial stability of household is severely considered. To be financially stable providing various income sources is more desirable than having regular and fixed incom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