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stimation of the Demand of Newly Married Couples for Public Rental Housing in Chungnam

충남 신혼부부의 공공임대주택 수요 추정과 정책적 함의

  • Received : 2022.03.19
  • Accepted : 2022.04.12
  • Published : 2022.04.30

Abstract

This paper estimates the demand of newly married couples for public rental housing in Chungnam. This research attempts to overcome data limitations by linking survey data with administrative data for analysis. First, the results of a binary logit model that analyzes newly married couples' intention to move into public rental housing, based on the Chungnam Social Survey 2019, reveal that residential location, educational level, housing type, and tenure type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By combining the estimated coefficients with another dataset, the statistics of newly married couples for administration purposes acquired from Statistics Korea, this research estimates the demand for public rental housing among the newly married couples in Chungnam. The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the total demand for public rental housing in Chungnam is 11,424 units among 43,705 newly married couples. The total demand of 21,685 newly married couples who occupy rental housing is estimated to be 9,436 units. The policy for providing public rental housing to newly married couples in Chungnam aims to increase their fertility rates. Hence, further research should be followed up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supply of public rental housing on fertility rates. Also, a research method should be developed to control for possible endogeneity between the demand for public rental housing and childbirths.

본 논문은 충남 신혼부부의 공공임대주택에 대한 수요를 추정한다. 이는 조사자료와 행정자료를 연계하여 분석함으로써 자료의 한계를 일정 부분 극복한다는 점에서 관련 선행연구와 차별화될 수 있다. 먼저, 충남사회조사 2019년 자료를 이용한 신혼부부의 공공임대주택 입주의향에 대한 이항로짓모형 추정결과는 거주지, 학력수준, 주택유형, 차가 주택점유 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제시한다. 추정된 계수들을 행정을 위한 통계청의 신혼부부통계에 연결하여, 충남 신혼부부의 공공임대주택에 대한 수요량을 추정할 수 있다. 추정결과에 의하면, 충남 전체 신혼부부 43,705쌍의 공공임대주택에 대한 수요는 11,424호이며, 차가주택을 점유하고 있는 신혼부부 21,685쌍에 의한 수요는 9,436호로 추정된다. 향후, 충남도에서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고자 하는 주된 이유가 이들의 출산율을 제고하기 위함임을 고려할 때, 공급에 따른 출산율 제고의 효과에 대한 추정을 고민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만, 공공임대주택에 대한 수요와 자녀 출산 간 나타날 수 있는 내생성 문제를 통제하기 위한 방법론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관계부처합동(2020),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2. 김주현.안용진(2016), "공공 임대주택 입주의향 인식 변화에 영향을 미친 요인: 신혼가구를 대상으로", 「국정관리연구」, 11(3): 241~259. https://doi.org/10.16973/JGS.2016.11.3.010
  3. 박천규.이영(2010), "결혼 후 3년 이내 출산이 주택소비에 미치는 영향", 「주택연구」, 18(1): 27~39.
  4. 배호중(2019), "주거비 부담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2000년 이후 혼인 가구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50(1): 35~70. https://doi.org/10.16999/KASWS.2019.50.1.35
  5. 보건복지부(2019), "제2차 사회보장기본계획(2019~2023)".
  6. 신영식.이현석(2017), "신혼부부의 주택점유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부동산도시연구」, 9(2): 135~150.
  7. 이상포.노정현(2017), "신혼부부 가구의 주거만족도와 주거환경요인과의 구조적 관계분석", 「집합건물법학」, 22: 37~58.
  8. 이창효.장성만(2016), "점유형태 선택과 주거환경 및 주거의식의 관련성 분석", 「지역연구」, 32(2): 31~44. https://doi.org/10.22669/KRSA.2016.32.2.031
  9. 정기성.기윤환(2018), "수요 특성별 공공임대주택 거주 의향 분석 -인천광역시 청년, 육아가족, 노인 계층 중심으로-", 「주택연구」, 26(4): 29~52.
  10. 정윤혜.신화경(2018), "신혼부부 주거안정을 위한 주택정책 개선에 필요한 신혼부부 가구의 특성과 주거현황에 관한 분석",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18(4): 53~63.
  11. 충청남도(2019), "충남사회지표조사" 원자료
  12. 통계청(2021), "2020년 인구동향조사 출생.사망통계 잠정 결과" 보도자료(2021.2.24.)
  13. 통계청(2021), "신혼부부통계로 살펴 본 혼인 후 5년간 변화 분석 - 출산.경제활동.주택소유 중심으로 -".
  14. 한영민(2010), "신혼가구의 주거선택에 미치는 요인 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15. 홍성효.임준홍(2020), "아산시 청년층의 '충남형 더 행복한 주택'에 대한 수요와 정책적 함의", 「지역개발연구」, 52(2): 115~133.
  16. OECD (2017), Better Life Index - Edition 2017 https://stats.oecd.org/Index.aspx?DataSetCode=BLI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