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Newlyweds' Birth Plan - Focused on Newlyweds' housing and residential area characteristics using HLM -

신혼부부의 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HLM을 활용한 신혼부부의 주거특성과 지역특성을 중심으로

  • 박서연 (인천연구원 도시경영연구실)
  • Received : 2019.03.11
  • Accepted : 2019.03.18
  • Published : 2019.03.31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low fertility and population decline which threaten national competitiveness. Therefore, a comprehensive analysis was attempted on the impact of housing characteristics and residential area characteristics of newlyweds on their birth plan. To this end,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was implemented using '2016 Korea Newlyweds' Housing Survey' data.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irth plan of newlyweds is affected not only by housing characteristics, but also residential area characteristics such as the average housing price, average private education expenses and the number of local child centers. Second, the use of housing loans and the housing tenure have an interaction effect with the average housing price and the number of local child centers among the residential area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the use of housing loans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birth plan if the housing price is high in the area, and being renter household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birth plan if the number of local child centers is high in the area.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overnmental effort to raise the birthrate of newlyweds should take into account their housing characteristics as wells as residential area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저출산 및 인구절벽 현상 등으로 인해 국가경쟁력에 위협이 되는 사회적 현상에 주목하고 있다. 따라서 신혼부부가구를 대상으로 위계적 구조를 갖는 신혼부부가구의 주거특성 및 거주지역 특성이 신혼부부가구의 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합적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신혼부부가구 주거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선형모형(HLM)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혼부부가구의 출산계획에는 가구의 주거특성뿐만 아니라 지역의 평균 주택가격, 사교육비, 지역 아동센터수와 같은 지역특성이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혼부부가구의 주거특성 중 주택대출상품 이용 여부와 점유형태는 지역특성 중 주택가격과 지역 아동센터 수와 상호작용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주택 대출상품을 이용할 경우 지역의 주택가격이 높다면 오히려 출산계획을 감소시키는 부정적인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 아동센터 수가 높은 지역에서는 자가가구보다 임차가구일 경우 출산계획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신혼부부가구의 출산율을 제고하기 위해 주거특성과 지역특성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는 점과, 어떠한 요소들을 토대로 출산지원정책을 마련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정구.마강래, 2017, 지역의 주택가격이 초혼시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9(2), pp.97-110.
  2. 국토교통부, 2016, 3차년도 신혼부부가구 주거실태 패널조사 연구보고서.
  3. 김경아, 2017, 결혼 여성의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문화와 융합, 39(6), pp.895-924.
  4. 김민영.황진영, 2016, 주택가격과 출산의 시기와 수준: 우리나라 16개 시도의 실증분석, 보건사회연구, 36(1), pp.118-142. https://doi.org/10.15709/HSWR.2016.36.1.118
  5. 김승권, 2004, 최근 한국사회의 출산율 변화원인과 향후 전망, 한국인구학, 27(2), pp.1-34.
  6. 김한곤, 1993, 한국 출산력 변화의 원인과 전망, 경북: 영남대학교 출판부.
  7. 문정희.최청락.김하진, 2016, 출산친화적인 지역사회 환경구축 방안, 부산여성가족개발원.
  8. 민인식.최필선, 2013, STATA 패널데이터 분석, 지필미디어.
  9. 박상미.조성일.이석민, 2009, 서울시 기혼부인의 추가 자녀 출산의향과 지역적 특성, 한국모자보건학회지, 13(1), pp.73-83.
  10. 박준오, 2014, 주거실태와 출산.혼인력 관계분석: 결혼차수를 중심으로, 통계청.
  11. 박태원.천현숙.한연오, 2016, 근린주거환경이 가임기 여성의 거주 만족과 출산 의사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국토연구, 89, pp.111-130.
  12. 배호중.한창근.양은모, 2017, 친정과의 거리와 자녀출산: 2000년 이후 혼인가구를 대상으로, 보건사회연구, 37(2), pp.5-40.
  13. 서미숙, 2013, 주택가격 변화에 따른 여성 출산율에 관한 연구, 여성경제연구, 10(1), pp.63-79.
  14. 송헌재, 2012, 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한 우리나라 가구의 출산결정요인 분석, 응용경제, 14(3), pp.51-78.
  15. 엄명용.김효순, 2011, 미혼 남녀의 향후 일.가정 양립 방안, 부부 성역할 태도, 저출산 문제에 대한 견해 간 관계 탐색 연구, 한국인구학, 34(3), pp.179-208.
  16. 유계숙, 2009, 저출산 대응정책이 출산순위별 출산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2), pp.191-201.
  17. 이삼식, 2013, 주거환경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과제, 보건복지 Issue & Focus, 183, pp.1-8.
  18. 이삼식, 2015, 출산율 반등세로의 전환을 위한 대응전략 마련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 이삼식.최효진, 2012, 결혼-출산간의 연관성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 이삼식.최효진.서문희.박세경.윤홍식.진미정, 2009, 2009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 심층분석: 저출산원인과 정책방향, 보건복지가족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1. 이상포.노정현, 2017, 주거환경이 신혼부부 출산 결정에 미치는 영향 분석, 대한부동산학회지, 35(1), pp.273-289.
  22. 이진경, 2009, 가구소득대비 부담가능주택 특성분석: 서울시 5대 권역, 주택유형, 주택 노후도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44(7), pp.97-108.
  23. 이형민, 2012, 후속출산계획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의 영아기 자녀를 둔 가구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70, pp.1-31.
  24. 이희연.노승철, 2013, 고급통계분석론-이론과 실습, 서울: 문우사.
  25. 임세희, 2016, 주거비 과부담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 68(3), pp.29-50.
  26. 장진희.박성준, 2015, 서울시 여성의 출산영향요인 분석을 통한 정책방안 연구,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27. 정의철, 2012, 주거비용이 청년층의 가구형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부동산학연구, 18(2), pp.19-31.
  28. 천현숙, 2012, 저출산 추세에 대응하는 주거지원 정책방향, 국토, 366, pp.22-30.
  29. 천현숙.오민준, 2014, 출산과 도시주거환경의 연관성과 시사점, 국토정책 Brief, 489, pp.1-6.
  30. 천현숙.이길제.김준형.윤창원, 2016, 주택과 출산 간의 연계성에 관한 거시-미시 접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국토연구원.
  31. Bell, P. A., Fisher, J. D., & Loomis, R. J., 1978, Environmental Psychology, Philadelphia: WB Saunders Company.
  32. Curry, J. P., & Scriven, G. D., 1978, The relationship between apartment living and fertility for Blacks, Mexican-Americans, and other Americans in Racine, Wisconsin. Demography, 15(4), pp.477-485. https://doi.org/10.2307/2061200
  33. Ermisch, J., 1981, Economic opportunities, marriage squeezes and the propensity to marry: An economic analysis of period marriage rates in England and Wales, Population Studies, 35(3), pp.347-356. https://doi.org/10.1080/00324728.1981.10404388
  34. Ermisch, J., 1999, Prices, parents, and young people's household formation, Journal of Urban Economics, 45(1), pp.47-71. https://doi.org/10.1006/juec.1998.2083
  35. Gordon, R. A., & Hognas, R. S., 2006, The best laid plans: Expectations, preferences, and stability of child-care arrangement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8(2), pp.373-393.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6.00259.x
  36. Hofmann, D. A., 1997. An overview of the logic and rationale of hierarchical linear models. Journal of management, 23(6), pp.723-744. https://doi.org/10.1177/014920639702300602
  37. Hox, J., 2010, Multilevel Analysi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New York: Routledge.
  38. Kulu, H., & Vikat, A., 2007, Fertility differences by housing type: The effect of housing conditions or of selective moves?, Demographic Research, 17(26), pp.775-802. https://doi.org/10.4054/DemRes.2007.17.26
  39. Mulder, C., & Billari, F., 2010, Homeownership regimes and low fertility, Housing Studies, 25(4), pp.527-541. https://doi.org/10.1080/02673031003711469
  40. Murphy, M. J., & Sullivan, O., 1985, Housing tenure and family formation in contemporary Britain,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1, pp.230-243. https://doi.org/10.1093/oxfordjournals.esr.a036390
  41. Paydarfar, A. A., 1995, Effects of multi-family housing on marital fertility in Iran: Population policy implications. Social Biology, 42(3-4), pp.214-225. https://doi.org/10.1080/19485565.1995.9988902
  42. Peled, Z., 1969, Problems and Attitudes in Family Planning, Mimeo: The Israel Institute of Applied Social Research.
  43. Pollard, M. S., & Morgan, P., 2002, Emerging parental gender indifference: Sex composition of children and the third birth.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7(4), pp.600-613. https://doi.org/10.2307/3088947
  44. Simon, C. J., & Tamura, R., 2008, Do higher rents discourage fertility? Evidence from U.S. cities, 1940-2000. Regional Science and Urban Economics, 39(1), pp.33-42. https://doi.org/10.1016/j.regsciurbeco.2008.08.002
  45. Vignoli, D., Rinesi, F., & Mussino, E., 2013, A home to plan the first child? Fertility intentions and housing conditions in Italy. Population, Space and Place, 19(1), pp.60-71. https://doi.org/10.1002/psp.1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