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t-air drying

검색결과 427건 처리시간 0.046초

건조 방법에 따른 느타리버섯과 새송이버섯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Pleurotus ostreatus and Pleurotus eryngii Hot Water Extracts by Drying Methods)

  • 김나미;박종대;최윤상;이명희;성정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64-73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β-glucan content of extracts extracted by varying the temperature at 30, 55 and 80℃ after hot air drying or freeze drying of Pleurotus ostreatus and Pleurotus eryngii. For the analysis antioxidant activity of each mushroom, β-glucan, total phenol, flavonoid contents, and DPPH·ABTS+·Nitrite assay were measured. Also, the β-glucan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and ABTS+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with freeze drying rather than hot air drying, and increased with increasing extraction temperature in both mushrooms. However, the total phenol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with hot air drying rather than freeze drying, and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in both mushrooms. DPPH scavenging activity was not significant in both mushrooms, but decreased with increasing extraction temperature. Pearson's correlations between total flavonoi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were r=0.719~0.753 (p<0.01). As a result, the β-glucan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and ABTS radical cation scavenging activity were highest during freeze drying and extraction at 80℃. And the highest total phenol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were obtained during hot air drying and extraction at 30℃.

건조조건에 따른 오디분말을 첨가한 마들렌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deleine Added with Mulberry Powder According to Drying Conditions)

  • 이민애;박미란;변광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3-24
    • /
    • 2013
  • 본 연구는 냉동오디를 냉동건조와 열풍건조 방법으로 건조 후 분말화하여 마들렌에 첨가하여 제품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냉동건조와 열풍건조로 냉동오디를 건조 후 분말화하여 각각의 시료의 일반성분과 이화학적 특성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마들렌은 제과기능사 실기시험에 출제되는 레시피를 토대로 각각의 시료를 밀가루 양에 대비하여 0%(control), 1%, 3%, 5%, 7%를 첨가하여 만들어 pH, 색도, 텍스쳐를 측정하고 관능검사를 통하여 소비자의 기호도를 파악하였다. 먼저 pH는 열풍건조오디분말 첨가군이 낮게 나타났으며, 색도에서 명도(L값)는 냉동건조오디분말과 열풍건조오디분말의 첨가율이 증가할수록 대조구와 비교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적색도(a값)는 열풍건조오디분말을 첨가했을 때가 냉동건조오디분말을 첨가했을 때보다 적색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색도(b값)는 오디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냉동오디분말 첨가군은 경도(Hardness)와 탄력성(Elasticity)은 오디분말의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응집성(Cohesiveness)과 검성(Gumminess)은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열풍건조오디분말을 첨가한 마들렌의 경도(Hardness)는 오디분말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탄력성(Elasticity)은 오디분말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며, 응집성(Cohesiveness)은 첨가량이 줄어들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검성(Gummines)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의 기호도 결과는 냉동건조오디분말 5% 첨가군과 열풍건조오디분말 7% 첨가군의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건조방법에 따른 표고버섯의 품질변화 (Changes in Quality of Shiitake Mushroom(Lentinus edodes) by Different Drying Methods)

  • 백형희;김동만;김길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45-148
    • /
    • 1989
  • 건조표고버섯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열풍, 원적외선 및 냉동 건조시 건조조건이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45-70^{\circ}C$ 범위에서 열풍건조시 온도가 증가할수록 부피유지율은 높았으나 복수율은 낮았으며 5'-GMP 함량은 $50^{\circ}C$에서 건조한 것이 가장 많았다. 원적외선 전조는 같은 온도에서의 열풍건조에 비해 복수율은 높았으나 부피유지율이 낮았다. 냉동건조시 냉동속도에 따른 부피유지율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지만 복수율은 $-18^{\circ}C$에서 냉동시킨 것이 가장 높았으며 건조속도에 의한 영향은 건조속도가 빠를수록 복수율이 증가하였다. 또한 냉동속도와 건조속도가 빠를수록 5'-AMP, 5'-GMP 와 5'-XMP 함량이 모두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 PDF

건조방법에 따른 홍삼 절편의 품질 변화 (Quality change of sliced ginseng depending on different drying methods)

  • 박종진;박대희;이원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61-36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원적외선 건조 조건에 따른 홍삼 절편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았다. TPC, TFC, DPPH의 경우 65도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이후에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건조온도를 65도로 고정한 후 0-90분 간 원적외선 건조를 진행했을 때, 60분에 약 10% 수분함량을 보였으며 TPC는 60-90분, TFC는 60분, DPPH는 75분에서 최고값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홍삼 절편에 원적외선, 열풍, 감압, 동결건조를 60분 간 처리한 후 비교했을 때, TPC와 TFC는 감압 및 원적외선 건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으며, DPPH의 경우 열풍건조를 했을 때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건조 방법에 따른 홍삼 절편의 색도를 비교하였을 때, L, a, b 값은 원적외선, 열풍, 감압 건조 시 감소하였고, 동결 건조 시에는 증가하였다.

건조방법에 따른 초석잠(Stachys sieboldii Miq.)의 항산화 활성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 (Antioxidant and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s of Stachys sieboldii Miq. according to drying methods)

  • 오희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320-1326
    • /
    • 2018
  • 건조방법을 달리한 초석잠(Stachys sieboldii Miq.)을 열수 및 70% 에탄올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후 추출물 농도에 따른 총 flavonoid 및 총 polyphenol 함량, DPPH radical 소거활성, ABTS radical 소거활성,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의 신경세포 보호효과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초석잠 추출물들의 총 flavonoid와 총 polyphenol 함량은 동결건조 열수 추출물에서 각각 가장 높았다(p<0.05).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1,000{\mu}g/mL$ 농도에서는 동결건조 열수추출물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대조군인 비타민 C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신경세포 보호효과는 열품 및 동결건조 열수추출물에서 농도의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대조군인 비타민 C에 비해 낮았다(p<0.05). 본 연구를 통하여 열풍건조에 비해 동결건조 초석잠의 열수추출물이 총 flavonoid와 총 polyphenol 함량이 더 높게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활성 및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의 신경세포 보호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내는 것이 관찰되었다.

온실을 이용한 홍고추의 건조 (Red Pepper Drying with Solar Energy in Greenhouse)

  • 윤용철;서원명;강종국;조화태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1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256-260
    • /
    • 2001
  • This study was initially performed to investigate current red-pepper drying methods commonly being adopted on red-pepper cultivation farm area. Based on the informations obtained from the field survey, an experiment of red-pepper drying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actual drying potential of plastic covered solar house similar to the conventional pipe frame greenhouses covered with one or two layer of plastic film. Some results obtained from field survey and drying experiment for red-pepper are summarized as follows; 1. Various patterns of red-pepper drying process were found; 1) complete natural drying with red-pepper exposed in outdoor air, 2) hot air drying by dry chamber only, 3) combination drying by hot air dryer together with plastic covered passive solar house, 4) drying with plastic covered solar house unit. 2. The average air temperatures of outdoor and solar house during drying experiment period were $26.9-30.8\;and\;28.6-33.8^{\circ}C$, respectively, and the maximum air temperatures of those two were $34.2-36.4\;and\;39.8\;-52.3^{\circ}C$, respectively. Horizontal solar intensity during experiment period was $18.49-23.96\;MJ/m^{2}$, and relative humidity of outdoor and experimental solar house were 56 - 66% and 64 - 70%, respectively. 3. The weight of red-pepper during drying experiment period was decreased almost linearly from initial moisture content of 85% to final moisture content of 14%.

  • PDF

전처리 조건에 따른 배암차즈기(Salvia plebeia R. Br.)의 주요 성분의 함량 및 항산화 (Active Ingredi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alvia plebeia R. Br. According to Pretreatment Conditions)

  • 김용주;정지숙;박노진;고근배;손병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2호
    • /
    • pp.1948-1953
    • /
    • 2014
  • 본 연구는 배암차즈기를 건조, 데침 및 발효에 따라 항염증 효능성분인 rosmarinic acid, homoplantaginin, luteolin의 함량 변화와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Rosmarinic acid는 열풍건조 시 16.42 mg/g, 데친 후 열풍건조 시 10.19 mg/g 순으로 검출되었으며, 동결건조 한 잎과 뿌리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음건 및 동결건조 시에는 각각 8.69와 8.15 mg/g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발효 후에는 0.05 mg/g으로 감소하거나 검출되지 않았다. 동결건조, 음건 및 열풍건조 한 배암차즈기는 $500{\mu}g/mL$의 농도에서 98.5% 이상의 ABTS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데친 후 열풍건조 시에도 87.3%의 우수한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뿌리는 잎에 비하여 ABTS radical 소거능이 낮았다. SOD 유사활성은 $1,000{\mu}g/mL$ 농도에서 6.1~27.8%로 측정되어 ABTS radical 소거능과 차이가 있었다. 배암차즈기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물질이며 항염증 효능 물질로 알려진 rosmarinic acid와 homoplantaginin은 차발효에 의해 거의 소실되기 때문에 배암차즈기를 기능성 차 또는 가공식품 원료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차발효(산화발효)보다 동결, 냉풍 및 열풍건조가 적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건조방법에 따른 아로니아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in Aronia melanocarpa depending on drying methods)

  • 이슬;문혜경;이수원;문재남;김종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1018-1025
    • /
    • 2016
  • 건조방법에 따른 아로니아의 생리활성 물질을 비교하기 위해, 진공동결건조, 열풍건조 및 냉풍건조를 실시하였다. 건조방법에 따른 아로니아의 생리활성 측정결과,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_{50}$와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_{50}$은 각각 진공동결건조에서 0.72 mg/mL, 0.38 mg/mL로 열풍건조 및 냉풍건조와 비교하였을 때 가장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총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탄닌 함량은 진공동결건조에서 각각 6.19 g GAE/100 g, 3.10 g QE/100 g, 2.46 g TE/100 g으로 열풍건조와 냉풍건조보다 높은 함량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열풍건조 및 냉풍건조 시 생과에 비해 줄어들었지만 진공동결건조에서는 약 4.5배 증가하였다. 총 프로안토시아니딘 함량은 진공동결건조 6.21 g CE/100 g>열풍건조 3.18 g CE/100 g>냉풍건조 2.60 g CE/100 g>생과 0.71 g CE/100 g 순으로 나타났다. Chlorogenic acid 함량 및 neochlorogenic aicd 함량은 진공동결건조에서 각각 180.08 mg/100 g, 125.09 mg/100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위의 실험결과, 진공동결건조가 아로니아의 생리활성을 강화시키는데 가장 적합한 방법일 것으로 생각된다.

군산해역에 있어서 소규모 바다목장화를 위한 해양저질 환경 평가 (Environmental Evaluation of Sediment Quality for Small Scale Marine Ranch around the Gunsan Coastal Areas)

  • 김종화;김종규;박병수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0권3호
    • /
    • pp.508-519
    • /
    • 2008
  • Hot air drying is a method that let moistures evaporate by heat exchange between heating air and dry target. This way is dominating more than about 70% of dryers that the use extent is wide fairly, and is established in domestic than dryer that use conduction or radiation etc. Most of research about drying had been emphasized in size of device through analysis for these dry phenomenon plain, heating topology, and aspect of form and so on by dry target's special quality, and research about device development or waste heat withdrawal technology in energy utilization efficiency side is slight real condition. Therefore, in this study, Investigated numerically about thermal efficiency elevation that is leaned against as that change the temperature of inlet and outlet in heat exchanger of the hot air drying tower.

Reduction of Pesticide Residues in the Production of Red Pepper Powder

  • Chun, Mi-Hwa;Lee, Mi-Gy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1호
    • /
    • pp.57-62
    • /
    • 2006
  • Six organophosphorus, one organochlorine, and three synthetic pyrethroid pesticides were analyzed for their residues during washing and hot-air drying of red peppers conducted in the production of powder. The residue ratio in organophosphorus pesticides was 33% in chlorpyrifos, 31 % in diazinon, 50% in methidathion, 80% in EPN, 28% in fenitrothion, and 60% in profenofos. The ratio in pyrethroids was 109% in cypermethrin, 102% in deltamethrin, and 106% in fenvalerate. That in organochlorine was 56% in ${\alpha}$-endosulfan and 90% in ${\beta}$-endosulfan. The results were greatly different between organophosphorus and pyrethroid pesticides. UV irradiation along with hot-air drying brought about a remarkable reduction of the residues, up to 70% as compared with hot-air drying only. The removal effect was most remarkable in pyrethroids, which are hardly removed by hot-air drying. The color of the pepper was not changed during UV irradiation. The use of oxidizing agents such as hydrogen peroxide or chlorine dioxide during washing did not show a remarkable removal of residues. The residue ratio was not affected whether the pesticide is contaminated artificially or natur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