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st plant resistance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77초

멜론괴저반점바이러스-Me의 몇 가지 특성과 멜론 품종의 저항성 선발 (Some Characteristics of Melon necrotic spot virus-Me and Resistance Screen to the Virus in Melon Cultivars)

  • 최국선;조점덕;정봉남;조인숙;권순배
    • 식물병연구
    • /
    • 제16권3호
    • /
    • pp.254-258
    • /
    • 2010
  • Melon necrotic spot virus (MNSV)는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멜론(Cucumis melo)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다. 2009년 전남 나주 멜론재배단지에서 괴저반점을 나타내는 멜론 잎에서 MNSV를 분리 동정하였다. 지표식물 반응, immuno captured(IC) RT-PCR 및 염기서열 상동성 비교 등 몇몇 분석으로 이 분리주를 MNSV-Me로 명명하였다. 멜론 시판 35품종에 대한 MNSV-Me의 저항성 선발을 위하여 유묘의 자엽에 인위적 즙액 접종 방법을 이용하였다. 접종된 모든 품종의 자엽에서는 괴저반점을 형성하였다. 이들 중 25품종은 상엽으로 괴저 증상의 이행 또는 일부 개체에서는 접종 약 40일 후 줄기에 3 cm 이상의 괴저를 나타내는 감수성 반응을 나타냈다. 5품종은 상엽으로 잘 이행이 되지 않지만 줄기에 3 cm 미만의 괴저증상을 형성하는 중간 저항성을 발현하였다. 접종한 상엽으로는 바이러스 증상이 발현되지 않고, 단지 줄기에 희미한 괴저가 형성되는 얼스타이탄, 얼스럭서리, 베타리치 하계, 베타리치 및 원더플하계1호가 저항성을 나타냈다.

벼 도열병 단일 저항성 유전자를 이용한 도열병균의 병원형 분류 (Pathotype Classification of Korean Rice Blast Isolates Using Monogenic Lines for Rice Blast Resistance)

  • 김양선;강인정;심형권;노재환
    • 식물병연구
    • /
    • 제23권3호
    • /
    • pp.249-255
    • /
    • 2017
  • 벼 도열병은 벼를 재배하는 지역에서는 가장 중요한 병 중 하나이다. 특히, 벼 도열병균은 기주인 벼와 Gene-for-Gene 상호작용이 적용 가능한 대표적인 모델 식물병원성 곰팡이다. 우리나라는 1980년 이래로 벼 도열병균의 레이스를 분석하기 위해 8개의 판별 품종을 이용한 시스템을 구축하여 분류하였다. 그러나 이 판별 품종이 어떤 저항성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지에 관해 명확한 정보가 없어 새로운 레이스의 출현이나 병 저항성 붕괴 등에 대하여 과학적인 분석이 어려웠다. 최근 병원균의 레이스와 벼의 저항성 유전자의 상호작용 이해를 돕기 위해 LTH 품종에 단인자 저항성 계통을 각각 다르게 도입한 판별시스템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1995년부터 2015년까지 분리된 4개의 다른 레이스 KI101, KI201, KI401 및 KJ101로부터 총 50개 균주를 선발하여 LTH 품종에 기반한 단인자 저항성 계통에 접종하여 그 결과를 이전 레이스와 비교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한국형 판별시스템으로 분류된 동일 레이스내의 균주들이 단인자 계통에서 서로 다른 반응을 보였다. 이 결과 동일 레이스에 속하는 균주들이 서로 다른 비병원성 유전자를 지닌 것을 의미하며, 더 나아가 새로운 저항성 벼 품종 육종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어려울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연구 결과 현재의 판별시스템과 더불어 단인자 저항성 품종을 통한 판별시스템 도입이 요구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향후 한국의 판별시스템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Genetic Stability of Magnaporthe oryzae during Successive Passages through Rice Plants and on Artificial Medium

  • Park, Sook-Young;Chi, Myoung-Hwan;Milgroom, Michael G.;Kim, Hyo-Jung;Han, Seong-Sook;Kang, Seog-Chan;Lee, Yong-Hwa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6권4호
    • /
    • pp.313-320
    • /
    • 2010
  • Genetic instability of the rice blast fungus Magnaporthe oryzae has been suggested as a major factor underlying the rapid breakdown of host resistance in the field. However, little information is available on the mechanism of genetic instability.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stability of repetitive DNA elements and several key phenotypic traits important for pathogenesis after serially transferring two isolates though rice plants and an artificial medium. Using isolate 70-15, we obtained a total of 176 single-spore isolates from 10 successive rounds of culturing on artificial medium. Another 20 isolates were obtained from germ tubes formed at the basal and apical cells of 10 three-celled conidia. Additionally, 60 isolates were obtained from isolate KJ201 after serial transfers through rice plants and an artificial medium. No apparent differences in phenotypes, including mycelial growth, conidial morphologies, conidiation, conidial germination, appressorium formation, and virulence, or in DNA fingerprints using MGR586, MAGGY, Pot2, LINE, MG-SINE and PWL2 as probes were observed among isolates from the same parent isolate. Southern hybridization and sequence analysis of two avirulence genes, AVR-Pita1 and AVR-Pikm, showed that both genes were also maintained stably during 10 successive generations on medium and plants. However, one reversible loss of restriction fragments was found in the telomere-linked helicase gene (TLH1) family, suggesting some telomere regions may be more unstable than the rest of the genome. Taken 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phenotype and genotype of M. oryzae isolates do not noticeably change, at least up to 10 successive generations on a cultural medium and in host plants.

Mycorrhiza 처리가 Ardisia pusilla의 생육 및 내건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ycorrhiza on Plant Growth and Drought Resistance in Ardisia pusilla)

  • 백이화;백정애;이윤정;남유경;손보균;이재선;장매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32-136
    • /
    • 2009
  • 균근을 이용한 Ardisia pusilla의 내건성 증진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내생균근 Glomus spp.을 접종하여 생육상에서 30일 동안 재배한 후 수분스트레스처리를 실시하였다. 수분스트레스처리는 5일간 무관수 상태로 두었다가 관수하는 방법으로 60일 동안 반복 처리하였다. 식물생육은 균근처리시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관수시 스분스트레스의 회복력도 빨랐다. 식물체내 양분함량은 지하부의 Fe, Mn, 및 Cu의 함량의 경우 균근 접종 식물이 대조구에 비해 현저하 높았으나 이에 반하여 프롤린 함량은 대조구에서 균근 접종식불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Assessment of Resistance Induction in Mungbean against Alternaria alternata through RNA Interference

  • Hira Abbas;Nazia Nahid;Muhammad Shah Nawaz ul Rehman;Tayyaba Shaheen;Sadia Liaquat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40권1호
    • /
    • pp.59-72
    • /
    • 2024
  • A comprehensive survey of mungbean-growing areas was conducted to observe leaf spot disease caused by Alternaria alternata. Alternaria leaf spot symptoms were observed on the leaves. Diversity of 50 genotypes of mungbean was assessed against A. alternata and data on pathological traits was subjected to cluster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genotypes of mungbean were grouped into four clusters based on resistance parameters under the influence of disease. The principal component biplot demonstrated that all the disease-related parameters (% disease incidence, % disease intensity, lesion area, and % of infection) were strong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Alt a 1 gene that is precisely found in Alternaria species and is responsible for virulence and pathogenicity. Alt a 1 gene was amplified using gene specific primers. The isolated pathogen produced similar symptoms when inoculated on mungbean and tobacco. The sequence analysi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a 600 bp fragment amplified using specific primers, ITS1 and ITS2 showed 100% identity with A. alternata. Potato virus X (PVX) -based silencing vector expressing Alt a 1 gene was constructed to control this pathogen through RNA interference in tobacco. Out of 50 inoculated plants, 9 showed delayed onset of disease. Furthermore, to confirm our findings at molecular level semi-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was used. Both phenotypic and molecular investigation indicated that RNAi induced through the VIGS vector was efficacious in resisting the pathogen in the model host, Tobacco (Nicotiana tabacum).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study has been reported for the first time.

오이 덩굴쪼김병에 대한 효율적인 저항성 검정 방법 (Efficient Screening Method for Resistance of Cucumber Cultivars to Fusarium oxysporum f. sp. cucumerinum)

  • 이지현;김진철;장경수;최용호;최경자
    • 식물병연구
    • /
    • 제20권4호
    • /
    • pp.245-252
    • /
    • 2014
  • 본 실험은 Fusarium oxysporum f. sp. cucumerinum에 의해 발생하는 오이 덩굴쪼김병의 효율적인 저항성 검정 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ITS와 TEF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과 멜론, 참외, 오이 및 수박을 포함한 박과 작물에 대한 기주 특이성 분석을 통해 KR5 균주를 F. oxysporum f. sp. cucumerinum으로 동정하였다. 그리고 덩굴쪼김병균 KR5에 저항성 정도가 다른 오이 네 품종과 오이용 대목 두 품종을 선발하여 유묘의 생육 시기, 뿌리 상처, 접종원 농도 및 접종 후 재배 온도에 따라 이들 여섯 품종의 덩굴쪼김병 발생을 조사하였다. 저항성 품종의 덩굴쪼김병 발병도는 접종 후 재배 온도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으며, 저항성 품종들은 접종 후에 $20^{\circ}C$보다 $25^{\circ}C$$30^{\circ}C$에서 재배하였을 때 높은 저항성을 보였다. 그리고 유묘의 생육 시기 중 파종 후 7일된 유묘에 덩굴쪼김병균을 접종하였을 때 가장 큰 저항성과 감수성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오이 덩굴쪼김병에 대한 저항성을 효과적으로 검정하는 방법으로 파종하고 7일 동안 재배한 유묘의 뿌리로부터 흙을 제거하고, 이들을 $1.0{\times}10^6-1.0{\times}10^7$ conidia/ml 농도의 F. oxysporum f. sp. cucumerinum 포자현탁액에 침지하여 접종한 후에 건전한 원예용 상토에 이식하고 $25^{\circ}C$ 생육상에서 3주간 재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사탕무씨스트선충의 기주범위 검정 (Host Range Screening of the Sugar Beet Nematode, Heterodera schachtii Schmidt)

  • 김동환;조명래;양창열;김형환;강택준;윤정범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389-403
    • /
    • 2016
  • 사탕무씨스트선충(Heterodera schachtii)의 피해가 2011년에 배추 주산지인 강원도 지역에서 확인되었다. 이 선충은 암컷이 씨스트를 형성하는 특성을 가지므로 농약에 의한 효과적인 방제가 어렵다. 따라서 사탕무시스트선충에 대한 비기주 작물을 선정하여 감염지역의 배추를 대체할 작물을 추천하고자 총 17과(科) 276품종의 식물에 대한 사탕무씨스트선충의 저항성을 검정하였다. 사탕무씨스트선충 접종 후 씨스트 발생 정도에 따라 감수성(susceptible), 중감수성(moderately susceptible), 저항성/비기주(resistant/immune)로 구분하였다. 검정 결과 감수성 106품종, 중감수성 40품종, 저항성/비기주 130품종으로 구분되었다. 씨스트가 전혀 형성되지 않은 작물은 가지, 토마토, 상추, 들깨, 당근, 셀러리, 수박, 참외, 오이, 호박, 부추, 양파, 파, 도라지, 더덕, 잔대, 콩 등이었다. 가지과, 국화과, 명아주과, 화본과 작물은 작물 및 품종에 따라 약감수성 또는 저항성/비기주 식물이 혼재하였다. 본 시험에서 사탕무씨스트선충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저항성/비기주식물로 밝혀진 130품종은 사탕무씨스트선충 감염지의 배추를 대체할 작목을 추천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Variability in Responses to Phoma medicaginis Infection in a Tunisian Collection of Three Annual Medicago Species

  • Mounawer Badri;Amina Ayadi;Asma Mahjoub;Amani Benltoufa;Manel Chaouachi;Rania Ranouch;Najah Ben Cheikh;Aissa Abdelguerfi;Meriem Laouar;Chedly Abdelly;Ndiko Ludidi;Naceur Djebali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9권2호
    • /
    • pp.171-180
    • /
    • 2023
  • Spring black stem and leaf spot, caused by Phoma medicaginis, is an issue in annual Medicago speci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esponse to P. medicaginis infection in a collection of 46 lines of three annual Medicago species (M. truncatula, M. ciliaris, and M. polymorpha) showing different geographic distribution in Tunisia. The reaction in the host to the disease is explained by the effects based on plant species, lines nested within species, treatment, the interaction of species × treatment, and the interaction of lines nested within species × treatment. Medicago ciliaris was the least affected for aerial growth under infection. Furthermore, the largest variation within species was found for M. truncatula under both condition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hierarchical classification showed that M. ciliaris lines formed a separate group under control treatment and P. medicaginis infection and they are the most vigorous in growth.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 ciliaris is the least susceptible in response to P. medicaginis infection among the three Medicago species investigated here, which can be used as a good candidate in crop rotation to reduce disease pressure in the field and as a source of P. medicaginis resistance for the improvement of forage legumes.

Strobilurin계 살균제에 대한 잿빛곰팡이병균 Botrytis cinerea의 저항성 검정 (Monitoring for the Resistance of Strobilurin Fungicide Against Botrytis cinerea Causing Gray Mold Disease)

  • 김아형;김선보;한기돈;김흥태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61-167
    • /
    • 2014
  • Strobilurin계 살균제인 azoxystrobin에 대한 잿빛곰팡이병균 Botrytis cinerea의 저항성 발현 여부를 조사하였다. B. cinerea 균주는 $1.0{\mu}g\;mL^{-1}$의 azoxystrobin에 대한 반응을 기준으로 실험 균주 중에서 46.5%가 감수성 균주로, 53.5%가 저항성 균주로 판명되었다. 병원균을 분리한 지역별로 저항성 균주의 출현 비율은 경기, 경남, 부산에서 28.6, 41.9, 36.8%이었으며, 충남에서 81.1%로 다른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기주별로 저항성 균주는 딸기, 오이, 토마토에서 분리한 균주에서는 각각 68.0, 40.0, 50.0%, 고추에서는 9.1%만이 나타났다. Azoxystrobin에 대해서 감수성이었던 B. cinerea 11-20은 kresoxim-methyl과 trifloxystrobin에 대해서도 감수성 반응을 보였으며, 저항성 균주인 11-74는 3종의 살균제 모두에 대해서 교차 저항성이 있음을 보여 주었다. 본 실험의 결과 실험에 사용한 B. cinerea 균주의 53.5%가 저항성 반응을 보일 정도로 높은 저항성 출현율을 보였으며, 동일 계열의 살균제에 대한 교차 저항성 반응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포장에서 strobilurin계 살균제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요구되어진다.

기온변동이 벼 도열병균의 엽신에의 침입과 발병에 미치는 영향 II. 접종전 및 접종시의 온도처리에 의한 침입$\cdot$균사신전$\cdot$병반형성 차이 (Effect of Temperature Treatments on the Penetration and Disease Development in the Leaf Epidermis by the Rice Blast Fungus, Pyricularia oryzae Cavara II. Difference in Percent Penetration, Hyphal Growth and Lesion Formation by Pre­ and Postdisposing Temperatures)

  • 김장규;무목정부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22-127
    • /
    • 1985
  • 도열병 저항성유전자 $Pi-\alpha$를 가지고 있는 Aichi-asahi, Toyotama, Yamabiko를 공시하여 접종전$\cdot$접종후 $23/15^{\circ}C\;,\;29/21^{\circ}C$에 각각 3일간 처리하였다. 도열병균 6개 균주를 접종한 후, 도열병균의 침입$\cdot$균사신전$\cdot$병반수를 조사한 결과, $29/21^{\circ}C$에 처리한 유균에서 침입율이 높고 형성 병반수도 많았다. 균사신전도와 피침입세포수는 $29/21^{\circ}C$ 경우 접종후 72시간에서 96시간 사이에 현저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23/15^{\circ}C$에 처리한 유균에서 침입$\cdot$균사신전이 억제되어 병반형성이 지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