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patic enzyme activities

검색결과 394건 처리시간 0.029초

쌀 배아와 흑미 미강 색소 첨가 배아젤리가 고콜레스테를 식이 흰쥐의 지질대사와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ice Embryo and Embryo Jelly with Black Rice Bran Pigment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y in High Cholesterol-Fed Rats)

  • 조민경;김미현;강미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3호
    • /
    • pp.200-206
    • /
    • 2008
  • 본 연구는 쌀 배아를 활용한 만성 대사성질환 예방용 제품 및 건강기능성 식품 개발의 일환으로써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하여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흰쥐에서 15%의 배아와 25%의 흑미 미강색소 배아젤리의 첨가가 혈장과 간 조직의 지질 대사와 항산화효소의 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실험 식이를 6주 간 급여한 결과, 배아와 흑미 미강색소 배아젤리 첨가는 실험동물의 식이섭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배아군과 흑미 미강색소 배아젤리군은 고콜레스테롤 급여 대조군에 비해 혈장의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및 간의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키고, HDL-콜레스테롤 농도와 HDL-C/TC 비는 증가시켰으며, 동맥경화지수는 감소시켜 체내 지질대사의 개선 효과가 있었다. 혈장 GOT와 GPT 수치는 배아와 흑미 미강색소 배아젤리를 첨가하였을 때 감소하여 고콜레스테롤혈증 상태에서 간 기능 보호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또한 배아와 흑미 미강색소 배아젤리는 고콜레스테롤 급여로 인해 증가된 혈장과 간 내의 지질과산화를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반면, 항산화 효소인 간 조직의 SOD와 CAT활성은 배아와 배아젤리 첨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배아와 흑미 미강색소 배아젤리는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의 간 조직에서의 항산화 활성을 강화시키고 산화적 손상을 억제시키는 자용이 있으며 현장과 간조직의 지질대사를 개선하여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 및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동충하초 균사체가 흰쥐의 성장률, 지질대사 및 단백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ycelium of Cordyceps militaris on Growth, Lipid Metabolism and Protein Levels in Male Rats)

  • 고진복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85-690
    • /
    • 2002
  • 인공 재배한 동충하초 밀리타리스의 균사체가 성장기 흰쥐의 영양 생리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생후 5주령된 흰쥐를 대상으로 실험군은 대조식이군, 대조식이에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을 각각 2%, 3% 및 4% 첨가한 식이군(균사체군) 등 4군으로 나누고, 각 실험식이로 5주간 사육한 후 여러 영양생리적 지표를 측정하였다. 실험동물의 성장률, 식이효율, 식이섭취량 및 각 장기의 무게는 2%, 3% 및 4% 균사체군은 대조군과 비슷하여 균사체 섭취에 따른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간의 콜레스테롤 및 인지질 농도는 각 수준별 균사체군은 대조군과 비슷하였으나, 간의 총 지질 및 중성지질 농도는 3%와 4% 균사체군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혈청의 총 지질,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인지질 농도 및 동맥경화지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각 수준별 균사체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여 동충하초균사체가 혈청의 지질 농도를 낮추는 효과가 나타났다. 혈청의 HDL-졸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농도 및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 비율은 대조군과 각 수준별 균사체군이 비슷하였다. 혈청의 총 단백질, 알부민, creatinine및 혈색소 농도와 GPT, ${\gamma}$-GTP 및 ALP 등의 효소활성은 각 수준별 균사체군과 대조군이 비슷하여 동충하초 섭취에 따른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혈청의 GOT및 LDH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각 수준별 균사체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혈청의 요소 농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각 수준별 균사체군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β-Carotene의 섭취가 당뇨 유도 흰쥐의 간조직 항산화효소 활성과 Glutathione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β-Carotene on Hepatic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and Glutathione Concentration in Diabetic Rats)

  • 장정현;이경순;서정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8호
    • /
    • pp.1092-109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의 치료에 중요한 저해요인으로 제기되고 있는 당뇨합병증을 예방하고자 녹황색 채소 등을 통해 식사 시 한국인들이 쉽게 섭취할 수 있는 ${\beta}$-carotene의 혈관계 합병증 예방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간 미토콘드리아에서의 catalase 활성은 ${\beta}$-carotene을 급여한 비당뇨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당뇨군에서는 ${\beta}$-carotene 급여에 의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간 사이토졸 내의 superoxide dismutase 활성은 ${\beta}$-carotene을 급여하지 않은 당뇨군에서 그 활성이 가장 저하되었으나 ${\beta}$-carotene 공급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간 사이토졸 내의 glutathione-S-transferase 활성은 ${\beta}$-carotene의 급여에 의한 차이가 없었다. 간 마이크로솜에서의 glucose-6-phosphatase 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beta}$-carotene을 급여하지 않은 당뇨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beta}$-carotene을 급여한 당뇨군에서는 활성이 유의적으로 저하되었다. 간조직의 환원형 glutathione 함량은 당뇨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당뇨군에서 ${\beta}$-carotene의 급여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beta}$-carotene의 섭취는 당뇨 유도에 의한 산화스트레스가 증가된 생리적 상태에서 glutathione의 소모를 감소시키고, 항산화 효소계 중 특히 superoxide dismutase 활성을 유도하여 과산화 라디칼을 환원시킴으로써 활성산소에 의해 유발되는 산화적 손상의 일차적 방어에 관여한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인체시험 등을 통한 후속연구와 연계하여 ${\beta}$-carotene 수준을 적절하게 보충 섭취한다면 당뇨로 인한 항산화계 활성의 변화를 조절함으로써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보호효과를 나타내어 당뇨병 합병증의 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두릅열수추출물이 당뇨유발 흰쥐의 간조직 중 유해 활성산소 대사효소계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ralia elata Water Extracts on Activities of Hepatic Oxygen Free Radical Generating and Scavenging Enzyme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김명주;조수열;이미경;신경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53-658
    • /
    • 2004
  • Wistar계 흰쥐에게 두릅열수추출물을 7주간 급여하였으며 당뇨유발은 희생 2주전 streptozotocin을 투여하여 혈당이 300 mg/dL 이상인 흰쥐를 대상으로 유해 활성 산소 대사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간조직 중의 유해 활성산소 생성계인 P-450 함량과 XO 및 AD 활성은 정상군에 비하여 당뇨대조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된 반면, AH 활성은 증가 되었다. 두릅열수추출물 급여로 이들 유해 활성 생성계 효소 활성 변화가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OD, CAT, GSH-Px 및 GST, GR과 같은 유해 활성산소 제거계와 G6PD 효소들은 당뇨유발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으나, 두릅열수추출물 급여군에서는 이들 효소 활성이 낮았다. 당뇨유발로 항산화물질인 글루타티온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된 반면 지질과산화물 생성은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그러나 두릅열수추출물 급여는 당뇨대조군의 이들 함량 변화를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두릅열수추출물 급여는 STZ 투여로 인한 유해 활성산소 대사계 변화를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지질과산화물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당뇨합병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결명자 에탄올 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체내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ssia tora Ethanol Extract on the Lipid Levels of Serum and Liver in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

  • 하태열;조일진;성기승;이상효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171-1176
    • /
    • 2001
  • 결명자의 에탄올 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횐쥐의 체내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정상식이군, 고콜레스테롤 대조군,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결명자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0.25%와 0.5%씩 첨가하여 공급하는 실험군으로 나누어 4주간 사육한 후 혈청 및 간장의 지질 함량,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와 malic enzyme 활성변화, 혈청 AST, ALT활성 및 지질과산화물의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체중증가량과 식이섭취량은 추출물을 공급한 실험군에서 높았으나, 식이효율은 각 군간 차이가 없었다. 결명자 추출물군의 혈청 총콜레스테롤, 유리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 유리지방산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간장중의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함량은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의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결명자 추출물을 첨가함으로서 증가된 간장 지질함량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간장의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와 magic enzyme 활성 을 측정한 결과, 결명자 추출물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활성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추 출물의 첨가농도가 높을수록 현저하였다. ALT, AST 활성 역시 결명자 추출물군은 고콜레스테롤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간장 조직중의 지질과산화물 함량도 결명자 추출물을 첨가함에 따라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으나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 PDF

Effects of Extrahepatic Cholestasis on Liver and Serum $\beta$-D-Mannosidase Activities in Ethanol Intoxicated Rats

  • Bae, Si-Woo;Kwak, Chun-Sik;Yoon, Chong-Guk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5-42
    • /
    • 2004
  • Liver and serum $\beta$-D-mannosidase activities were determined in ethanol intoxicated rats with extrahepatic cholestasis induced by common bile duct ligation (CBD) to manifest the biochemical background of alcohol drinking hazard under the hepatobiliary disease. Liver $\beta$-D-mannosidase activity and its Vmax value in CBD ligated rats with chronic ethanol intoxica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that in CBD ligation alone. However, the difference of Km value on above hepatic enzyme was not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On the other hand, serum $\beta$-D-mannosidase activity in CBD ligated rats with chronic ethanol intoxication was increased more than that in CBD ligation alon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biosynthesis of the hepatic $\beta$-D-mannosidase decreases and the serum $\beta$-D-mannosidase activity increases in cholestasis combined with chronic ehtanol intoxication, reflecting damage of aggravated hapatocytic membrane. Accordingly, the resulting data supported the fact that alcoholic drinks were enzymologically harmful to the hepatobiliary disease.

  • PDF

월국환(越鞠丸) 물 추출물이 Acetaminophen으로 유도된 마우스의 급성 간손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Wolguk-whan Water Extract on Acute Oxidative Liver Injury Induced by Acetaminophen)

  • 이채중;박선동;문진영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5-146
    • /
    • 2003
  • Objectives : Wolguk-whan has been used as a prescription of natural drug for the treatment of stress digestive system disease. Recently, we reported that Wolguk-whan methnol extract (WGWM) exerted a significant protective effect against oxidative damage to the liver of ICR mice. This study was purpo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olguk-whan water extract (WGWW) on liver injury induced by oxidative stress. Methods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GWW on acute liver injury, ICR mice were pretreated with WGWW for 6days, starved for 24hrs, and administerated acetamirtophen(500mg/kg, i.p.). In the liver homogenates, lipid peroxide and glutathione(GSH) levels were measured. In addition, activities of hepatic enzyme, such as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GSH-Px), glutathione S-transferase(GST) were measured in the hepatic mitochondrial and cytosolic fractions. Results : In vivo administeration of WGWW showed effective inhibition of acetaminophen induced lipid peroxidation, and showed elevations of GSH level, catalase, GSH-Px, GST activitie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WGWW might suppress the formation of oxidative metabolites, and prevent acetaminophen induced hepatotoxicity.

  • PDF

해조류 추출물과 페놀성화합물의 in vitro 및 in vivo 간보호활성 (Hepatoprotective Effect of Extracts and Phenolic Compound from Marine Algae in Bromobenzene-treated Rats)

  • 최재수;송상호;최명락;김광용;최종원;박종철
    • 생약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39-246
    • /
    • 1997
  • The methanol extracts of some marine algae were tested for investigating the effects on the formation of lipid peroxide and the activities of free radical generating enzyme in vitro in bromobenzene-treated rat. The extracts of Enteromorpha compressa, Capsosiphon fulvescens, Gelidium amansii, Hizikia fusiformis, Sargassum siliquastrum and Sargassum thunbergii which decreased the formation of lipid peroxide, inhibited the activity of xanthine and aldehyde oxidases by adding of each extracts. Phloroglucinol isolated from Ecklonia stolonifera reduced bromobenzene-induced hepatic lipid peroxidation. This compound administered daily over one week before intoxication with bromobenzene did not affect the activities of aminopyrine N-demethylase, aniline hydroxylase and glu tathione S-transferase. Epoxide hydrolase activity was decreased by bromobenzene, which was restored by pretreatment of phloroglucinol,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bromobenzene-induced hepatic lipid peroxidation by phloroglucinol is reduced by enhancing the activity of epoxide hydrolase.

  • PDF

Sargassum coreanum extract alleviates hyperglycemia and improves insulin resistance in db/db diabetic mice

  • Park, Mi Hwa;Nam, Young Hwa;Han, Ji-Sook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9권5호
    • /
    • pp.472-479
    • /
    • 2015
  • BACKGROUND/OBJECTIVES: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argassum coreanum extract (SCE) on blood glucose concentration and insulin resistance in C57BL-KsJ-db/db mice. MATERIALS/METHODS: For 6 weeks, male C57BL/KsJ-db/db mice were administrated SCE (0.5%, w/w), and rosiglitazone (0.005%, w/w). RESULTS: A supplement of the SCE for 6 weeks induc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blood glucose and glycosylated hemoglobin concentrations, and it improved hyperinsulinemia compared to the diabetic control db/db mice. The glucokinase activity in the hepatic glucose metabolism increased in the SCE-supplemented db/db mice, while 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 and glucose-6-phosphatase activities in the SCE-supplemented db/db mic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diabetic control db/db mice. The homeostatic index of insulin resistance was lower in the SCE-supplemented db/db mice than in the diabetic control db/db mice.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supplement of the SCE lowers the blood glucose concentration by altering the hepatic glucose metabolic enzyme activities and improves insulin resistance.

오디, 뽕잎 및 누에의 혼합비율에 따른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에서의 항산화 효과 및 지질대사개선 효과 (Antioxidant Effects and Improvement of Lipid Metabolism of Mulberry fruit, Mulberry Leaves and Silkworm Powder with Different Mixing Ratio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권은혜;정명애;이순재;최상원;조성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9권2호
    • /
    • pp.91-99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ulberry fruit, mulberry leaves and silkworm powder with different mixing ratios on hepatic antioxidative system and lipid metabolism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Sprague-Dawley male rats weighing $100{\pm}10g$ were induced diabetic by 50 mg/kg bw streptozotocin and randomly assigned to following experimental groups; normal diet group (DM), 0.3% and 0.6% mulberry fruit diet groups (F and 2F), 0.3% mulberry leaves diet group (M), 0.3% silkworm powder diet group (S), 0.15% mulberry fruit+0.15% mulberry leaves diet group (FM), 0.15% mulberry fruit+0.15% silkworm powder diet group (FS), 0.1 % mulberry fruit+0.1 % mulberry leaves+0.1% silkworm powder diet group (FMS). The experimental diets were fed for 4 weeks. Hepatic SOD activity was not changed significantly by any of single or combined supplementations of mulberry fruit, leaves and silkworm powder but GSH-px and catalase activities were increased by the groups supplemented with two or three of the test ingredients (FM, FS, FMS) as compared with the DM group. Hepatic TBARS value was not reduced significantly by any of the supplementations but lipofuscin content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FM, FS and FMS groups as compared with the DM group. Hepatic mitochondria and microsomal carbonyl values were reduced by the single and combined supplementations of the test ingredients. Hepatic HMG-CoA reductase activities were increased in the all supplementation groups as compared with the DM group. Hepatic total lipid and triglyceride contents were increased but cholesterol contents reduced in the supplemented groups. The effects on the enzyme activities, peroxide or its products and lipid contents were most remarkable in the FMS group. In conclusion, mulberry fruit, mulberry leaves and silkworm powder have the favorable effects on antioxidative system and lipid metabolism in the diabetic liver and the mulberry fruit, leaves and silkworm powder with equal ratio exert the synergistic effect expectedly to prevent diabetic com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