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 activation

검색결과 1,251건 처리시간 0.031초

이, 미용사 국가기술 자격증 취득 선호도 및 동향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ference and Trend Analysis of Barber and Hairdresser Acquisition of National Technology Certificate)

  • 오정선;이숙자;박장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637-643
    • /
    • 2022
  • 현대사회의 미용은 예술과 과학이 융합적으로 접목된 전문 직종으로서 이, 미용인으로 입문하기 위하여 국가기술 자격증 취득은 일상적 통관 절차이다. 또한 예비 미용인이 선호하는 이, 미용 국가기술 자격증과 취업 분야에 대한 객관적 자료 제시가 필요한 시점이기 때문에 미래 미용산업에서 성공을 설계하는 뷰티아카데미 수강생들이 선호하는 이, 미용 국가기술 자격증에 대한 인식과 동향을 다각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선호하는 국가기술 자격증과 희망하는 취업 분야는 매우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남성, 젊은 연령층, 미혼자, 학생층에서는 개인의 적성과 흥미를 우선순위로 선택한 반면 30대 이상, 기혼자나 이혼자, 자영업자, 회사원, 주부에서는 취업 전망의 선택 비율이 월등히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미용 인재의 본질적 성향과 발전 방향에 대한 모색을 도모할 수 있으며, 향후 국가기술 자격증 교육에 대한 바람직한 연구개발의 방향을 설정하고 뷰티아카데미 시장의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하리라 사료한다.

피부 마이크로바이옴의 요인과 상호작용이 유해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Influencing Factors and Interactions among the Skin Microbiomes in Affecting Detrimental Bacteria)

  • 임혜성;임영석;조창익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97-212
    • /
    • 202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민 20 ~ 49 세 연령군 가운데 289 명을 대상으로 피부 마이크로바이옴의 요인들인 유익균, 상재균, 여드름균이 유해균에 미치는 영향과 상호작용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피부 마이크로바이옴의 바이오 빅데이타를 활용하여 다중회귀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피부 마이크로바이옴의 차이를 통제한 경우, 유익균은 유해균에 부(-)의 영향을 나타내었고, 상재균과 여드름균은 정(+)의 영향을 나타냈다. 특히 유익균이 유해균에 미치는 부(-)의 영향은 상재균의 수준에 따라 여드름균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익균의 활성화가 유해균을 억제하며, 피부 마이크로바이옴이 유해균에 미치는 영향은 독립적인 영향과 함께 상호작용을 통해서 피부 마이크로바이옴의 균형을 이루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검증한 것이다. 따라서 개인 맞춤형 화장품 제조산업에서 유익균의 증식을 돕고 유해균을 억제하는 피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제품을 연구할 때, 반드시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요인들의 독립적인 영향과 상호작용을 함께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당귀(當歸) 추출물이 피부 각질형성세포의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ngelicae Gigantis Radix for Inflammatory Response in HaCaT Cells)

  • 허정;박호연;김엄지;김은영;손영주;정혁상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9-19
    • /
    • 2022
  • Objectives : Angelicae Gigantis Radix (AG) is a plant of the Ranunculus family. AG have been reported to have various pharmacological effects on human health which include uterine growth promotion, anti-inflammatory, analgesic, and immune enhancement. However, research on dermatitis disease is insufficient.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G on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interferon-γ (IFN-γ) stimulated HaCaT cell. Methods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G on HaCaT cell, HaCaT cells were pre-treated with AG for 1 hour and then stimulated with TNF-α/IFN-γ. After 24 hours, media and cells were harvested to analyze the inflammatory mediators. Concentration of human interleukin-1beta (IL-1β),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MCP-1),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GM-CSF), and TNF-α in the media were assessed by ELISA. mRNA expression of human thymus and activation-regulated chemokine (TARC), IL-6, and IL-8 were analyzed by RT-PCR. Additionally, the mechanisms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and nuclear factor kappa-light-chain-enhancer of activated B cells (NF-κB) signaling pathway were investigated by Western blot. Results : The treatment of AG inhibited gene expression levels of IL-6, IL-8, and TARC and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IL-1β, MCP-1, and GM-CSF. Also, AG significantly reduced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phosphorylation and NF-κB translocation in TNF-α/IFN-γ stimulated HaCaT cell. Conclusions :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AG can alleviate inflammatory diseases such as atopic dermatitis by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Also, it suggest that AG may a promising candidate drug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 such as atopic dermatitis.

Andersen과 Newman의 행동모델을 적용한 경로당 이용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자 만족도 매개효과 분석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Senior Center Applying Andersen and Newman's Behavior Model: Analysis of Mediating Effect of User Satisfaction)

  • 김정근
    • 한국노년학
    • /
    • 제40권2호
    • /
    • pp.291-309
    • /
    • 2020
  • 본 연구는 Andersen과 Newman(1973)의 행동모델을 적용하여 지역사회 노인들의 경로당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이용자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경로당 이용 노인의 만족도 향상 및 경로당 운영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실천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부산지역 2,283개소 경로당 이용 노인 578명이다. 연구결과, 경로당 총 이용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선행요인 중 연령, 가능성 요인 중 경로당 유형으로 분석되었으며, 1주일간 경로당 총 이용일 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선행요인 중 성별, 연령, 교육수준으로 나타났다. 매개변수인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선행요인 중 성별, 연령, 욕구요인 중 주관적 건강상태로 분석되었다. 이용자 만족도 매개효과 검증 결과, 연령과 경로당 총 이용기간 사이에는 부분 매개효과, 성별과 1주일간 경로당 이용일 수 사이에는 완전 매개효과, 연령과 1주일간 경로당 이용일 수 사이에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의 목적과 주요 결과에 따라 경로당 이용자 만족도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실천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로당 이용자 특성에 따른 프로그램 개발과 지원이 요구된다. 둘째, 경로당 유형 및 지역적 환경에 따라 경로당을 특성화 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경로당 운영비 지원 기준 개선과 인상이 필요하다.

Hederagenin의 뼈 형성 관련 작용 기전 연구 (Molecular mechanisms of hederagenin in bone formation)

  • 서현주;권인숙;권재희;심예진;조영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6호
    • /
    • pp.617-629
    • /
    • 2022
  • 본 연구는 속단으로부터 단일 화합물로 분리한 Hed의 조골세포 활성 효능과 작용 기전 규명을 위해 수행되었다. Hed는 MC3T3-E1 세포의 증식과 ALP 효소 활성을 자극하여 세포외 기질에 인산과 칼슘 이온 침착을 증가시켰다. Hed는 BMP-2/Smad 신호 전달 경로를 활성화하여 Runx2, ALP, OPN 및 ProCOL의 mRNA와 단백질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시켜 조골세포의 성숙과 분화를 유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Hed는 조골세포 활성 효능을 가진 것으로 판단되며 항골다공증 기능성 소재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유산소운동이 제1형 당뇨쥐의 췌장 세포질 GAPHD 및 미토콘드리아 MnSOD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erobic Exercise upon Cytosolic GAPHD and Mitochondrial MnSOD Activity of Pancreatic Cells in the Type 1 Diabetic Rats)

  • 이상학;윤진환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1권3호
    • /
    • pp.437-445
    • /
    • 2012
  • 이 연구는 유산소운동이 1형 당뇨쥐의 체장세포질 GAPDH 및 미토콘드리아 MnSOD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실험동물로는 SD계열 흰쥐를 대상으로 strepzotosine을 주입하여 당뇨를 유발시킨 후 수영운동을 8주간 적용시켰다. 실험 종료 후 췌장조직을 적출하여 시료를 분리한 다음 Western Blotting을 실시하여 GAPDH와 MnSOD를 분석하였다. 본 실험결과 췌장세포질 GAPDH의 그룹 간 활성정도는 정상 대조군(CON)과 당뇨군(D.M) 및 당뇨 운동군(D.M-Ex)의 MnSOD 활성 정도는 각 그룹 간 유의한 활성차이를 나타냈다[F(3, 27) = 57.9, P = .000].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당뇨그룹의 활성은 나타났으며, 당뇨운동그룹 또한 대조군에 비해 낮은 활성을 나타냈다. 반면 당뇨운동그룹은 당뇨그룹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췌장의 미토콘드리아 MnSOD 활성 또한 유사한 결과를 보여 이들 또한 각 그룹 간 유의한 활성차이를 나타냈다[F(3, 27) = 572.472, P = .000].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유산소운동에 의한 GAPDH와 MnSOD 활성증가는 당뇨병 병소와 관련된 다양한 경로의 활성을 억제하고 미토콘드리아 기능회복에 긍정적인 영양을 미쳐 당뇨병 발병의 진행을 막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C2C12 근육모세포의 분화에서 p-anisaldehyde의 역할 (Role of p-anisaldehyde in the Differentiation of C2C12 Myoblasts)

  • 김달아;공경혜;조현정;이미란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184-194
    • /
    • 2023
  • 골격근은 대사, 열기반 온도 조절, 그리고 전반적인 체내 균형을 위해 필수적인 조직이고 근발생(myogenesis)이라는 다단계 과정을 거쳐서 근관세포를 형성한다. p-아니스알데하이드(p-anisaldehyde, PAA) (4-메톡시벤잘데하이드)는 아니스 씨에서 추출된 에센셜 오일의 주성분이지만, 골격근에서의 기능은 아직까지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우리는 마우스 C2C12 근육모세포를 이용하여 근육분화가 PAA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를 연구하였다. C2C12 근육모세포의 분화를 유도하기 위해 이 세포를 분화배지에서 5일동안 배양하였고, 매일 PAA (50 또는 200 ㎍/mL)를 포함하는 새로운 배지로 교체하였다. 대조군으로서 PAA가 포함되지 않은 배지를 사용하였다. 우리는 분화시작 후 1, 3, 5일째에 근관세포의 길이와 지름을 측정함으로써 PAA가 근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고,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분석을 통해 PAA가 근육 표지인자(myoblast determination protein 1, myogenin, myocyte enhancer factor 2C, muscle creatine kinase, 및 myosin heavy chain)와 근육위축 관련 유전자(atrogin-1과 muscle ring finger-1 [MuRF-1])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주요 근육형성 키나아제인 protein kinase B (Akt)의 인산화를 웨스턴 블롯을 이용해 관찰하였다. 그 결과 PAA가 더 작고 얇은 근관 형성을 유의하게 유발하며 근육 표지인자의 발현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atrogin-1과 MuRF-1의 발현이 PAA에 의해서 감소하였는데, 이는 Akt 인산화의 감소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PAA가 Akt 인산화와 활성화를 감소시킴으로써 C2C12 세포에서의 근육 분화를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증명한다.

식품첨가물 E171이 수생물에 미치는 독성 평가 (Toxicity assessment of food additive(E171) in aquatic environments)

  • 송인규;김강희;윤학원;박준우
    • 환경생물
    • /
    • 제41권1호
    • /
    • pp.41-53
    • /
    • 2023
  • 식품첨가제로 주로 사용되는 이산화타이타늄 혼합물인 최근 E171은 체내 축적 및 유전 독성을 야기할 수 있다는 사실이 입증되어, 현재 규정 개정을 통해 E171의 식품첨가물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E171의 인체 위해성 연구는 많이 진행된 반면, E171의 환경생물에 미치는 독성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우려되는 잠재적 독성물질인 E171의 환경적 위해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생태계를 대표하는 물벼룩(Daphnia magna)과 제브라피쉬(Danio rerio)를 대상으로 나노물질의 특성을 반영한 최신 표준문건을 활용하여 기존 시험법의 한계점을 보완한 최적의 독성시험을 수행하였다. 독성시험 결과, 실제 환경적 현실성을 고려한 농도범위의 E171에 노출된 물벼룩에서 유영저해가 발생했지만, 어류의 경우 치사나 이상행동개체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산화스트레스 관련 분자생물학적 분석 결과, E171이 물벼룩과 어류에 모두 산화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이의 방어작용으로 항산화효소의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항산화효소 관련 유전자의 발현 여부는 생물종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E171은 실제 환경적 현실성을 고려한 농도에서 수생물에 산화스트레스를 유도할 수 있으나, 생물체의 종류에 따라 가시적인 독성의 정도와 산화스트레스 관련 유전자 발현에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시험법의 한계점을 보안한 최적의 독성시험을 통해 E171이 수생물에 미치는 위험성을 확인하였으며, 이 결과는 E171의 환경 위해성 평가를 위한 과학적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주간의 지구성 트레이닝과 thiamine 섭취가 골격근 내 PDH 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iamine and endurance training of 4weeks for PDH activity in skeletal muscle)

  • 황혜정;김지수;장지웅;임기원;정승삼;최성근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3호
    • /
    • pp.649-658
    • /
    • 2016
  • 본 연구는 지구성 트레이닝과 thiamine(thiamine tetrahydrofurfuryl disulfide: TTFD)의 투여가 골격근 내 글리코겐과 PDH(Pyruvate dehydrogenase), 그리고 PDH 활성에 관여하는 효소의 단백질인 PDK4(Pyruvate dehydrogenase kinase 4)와 PDP1(PDH phosphatase 1)의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6주령의 ICR 마우스를 대상으로 비운동집단(Sedentary; CON, TH), 운동집단(Exercise; EX, THEX)으로 나누어 4주간의 지구성 트레이닝과 체중 kg 당 50 mg의 thiamine을 경구투여 하였다. 4주간의 지구성 트레이닝은 간과 근육 내 glycogen의 저장량에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지만 thiamine 투여에 따르는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골격근 내 PDH와 PDH 조절에 관련한 PDK4, PDP1의 단백질 발현을 측정한 결과 4주간의 지구성 트레이닝에 따르는 효과는 관찰되었지만, thiamine 투여에 집단간 유의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장기간 지구성 트레이닝에 따른 골격근의 적응으로 인하여 thiamine 투여에 따른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지구성 트레이닝의 기간을 고려한 thiamine의 섭취 타이밍 그리고 탄수화물의 복합투여에 따른 PDH와 관련 단백질의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델파이기법을 이용한 안무저작권의 보호범위 (Scope of Protection of Choreography Copyright utilizing the Delphi Techniques)

  • 홍미성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6호
    • /
    • pp.625-641
    • /
    • 2016
  • 이 연구는 안무저작물의 보호범위에 대한 통합된 기준을 정립하고 안무저작권 보호의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무용전문가와 저작권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전문가 인터뷰, 델파이 방법과 AHP 분석을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순수무용저작물과 대중무용저작물이 '동일한 기준(50%), 다른 기준(45%)에서 보호받아야 한다'로 나타났다. 둘째, 안무저작물의 성립요건으로 어떤 매체에 고정되어야 한다(55%), 고정되지 않더라도 표현되면 된다(40%)로 나타났다. 또한 안무저작물의 성립요건 중 창작성의 인정요건으로 독자적으로 창작될 것+창조적 개성이 반영될 것(65%)으로 나타났다. 저작권법에 무용저작물이 독립저작물로 규정되어야 한다(70%). 규정될 필요가 없다(25%)순으로 나타났다. 보호범위의 중요도는 동작패턴(85%), 창작성과 구체성이 있는 플롯(75%), 동작이나 스텝의 결합(70%), 특정 공간과 결합한 동작패턴(45%)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저작권 발전방안의 대분류에서의 우선순위는 '저작권관련 교육', '무용저작권 위탁관리단체 활성화', '저작권 등록', '사회적 관심 유도'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발전 방안 전체 우선순위는 '무용저작권 위탁관리단체에 적극적인 참여', '무용인의 저작권에 대한 인식 제고, '저작물 등록 유도', '저작권 교육 강화'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