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고은주, 장소현, 배은주. (2018). 청소년 정신건강서비스 중복이용 영향요인. 청소년학연구, 25(7), 33-65. doi.org/10.21509/kjys.2018.07.25.7.33
- 권용신, 김정엽, 김정표. (2017). 노인 따돌림 예방을 위한 경로당 활성화 방안 연구. 경북행복재단.
- 김성호. (2015). 한국 내 외국인 이주노동자들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인식 및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다문화콘텐츠연구, 18, 255-297.
- 김용석. (2009). 사회복지 서비스 이용자 만족도 척도의 개발과 평가.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1(3), 127-160. https://doi.org/10.22944/KSWA.2009.11.3.005
- 김은영, 남은숙, 채영란, 이혜경. (2008). Anderson 행동모형에 근거한 한국노인의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의사 결정요인 분석. 한국노년학, 28(3), 585-602.
- 김은정, 정은아. (2012). 지역사회서비스 이용자의 서비스 품질평가와 지속이용 의향 : 대구시 문제해동아동조기개입서비스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6(1), 331~352.
- 김인. (2009). 사회서비스 바우처프로그램의 효과성 및 고객만족도 영향요인: 산모신생아도우미서비스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3(4), 127-151.
- 김인, 신학진. (2009). 노인요양시설의 서비스품질이 서비스만족과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9(2), 579-591.
- 김정근. (2015).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서비스의 재이용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이용자 만족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김정근, 이민홍. (2019). 부산시 경로당 기능개선 및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부산복지개발원.
- 김진구. (2007). 저소득층의 의료 이용과 이용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복지연구, 34, 29~53.
- 김춘남. (2016). 아침이 기다려지는 경로당 특화프로그램 개발연구. 경기복지재단.
- 김희연, 장윤배. (2011). 고령사회에서 경로당 기능전환 및 대안 탐색. 경기복지재단
- 맹상위, 정인수. (2017). 완주군 경로당의 실내환경과 이용자들의 특성 및 만족도.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19(1), 23-34. https://doi.org/10.14577/KIRUA.2017.19.1.23
- 민소영. (2013). 지역거주 정신장애인을 위한 공식 및 비공식 지원 간의 상호관계와 영향요인.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41(1), 5-31.
- 박경숙. (2003). 노인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실태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기도 국민기초생활보장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55, 283-307.
- 박경효, 정윤수. (2001). 시민만족도평가제도의 조사모형과 방법론의 발전방안.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197-212.
- 박상연, 전영미, 성정혜, 이선희. (2013). 노인의 역할활동과 자아존중감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노인간호학회지, 15(1), 43-50.
- 박창제. (2011). 베이비부머의 노후를 대비한 사적 재무적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보장연구, 27(4), 327-351.
- 보건복지부. (2019). 2019년 노인보건복지사업안내.
- 부산광역시. (2019). 2019년 복지시책.
- 부산복지개발원. (2013). 사회복지시설 고객만족도 평가지표 개발.
- 서울연구원. (2012). 경로당 프로그램 모니터링 및 개선방안 연구 : 요약보고서.
- 염태준, 주재성, 김하늘, 박미진, 곽동화. (2018). 재해 시 도시지역 경로당의 임시주거시설 활용을 위한 설계제안 : 인천 구월3동 경로당 설계안을 통해서. 주거환경, 16(4), 257-270.
- 오영희, 이윤경(2004). 경로당 운영실태 및 기능재정정립방안. 보건복지포럼, 94, 62-72.
- 유병선, 양한모, 김춘남. (2013). 경기도형 경로당 모델 개발 : 신개념 융통형(flexible) 경로당 디자인 매뉴얼 중심으로. 경기복지재단.
- 이가옥, 이미진. (2001). 노인의 재가복지서비스 이용의향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 21(2), 113-214.
- 이기영, 임혁. (2008). 서비스 질과 클라이언트 만족도가 정신보건사회복지서비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8, 177-203.
- 이금룡. (2002). 한국노인의 사회활동. 한국성인교육학회, 5(2), 1-22.
- 이성신. (2013). 공공도서관 서비스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의 상관관계분석 및 매개변수. 한국비블리아 학회지, 24(1), 83-103. doi.org/10.14699/kbiblia.2013.24.1.083
- 이수진, 송미순. (2015). Rowe와 Kahn의 모델을 바탕으로 한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 지역사회 노인여가복지시설 활용별 집단간 비교분석.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5(2), 231-239. https://doi.org/10.4040/jkan.2015.45.2.231
- 이윤경. (2008). 노인장기요양보험 서비스 이용행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이윤경. (2013). 노인여가복지시설 경로당의 운영현황 및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198, 56-66.
- 이재모. (2004). 노인의 경로당 이용 특성과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5, 101-120.
- 이재모, 이신영. (2007). 재가노인의 생활시설 이용의사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21, 51-72.
- 이재정. (2010). 장기요양보호노인의 시설입소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장기요양등급인정노인 가족부양자를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이정수, 오영숙, 은동신. (2018). 경로당 건축물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실태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12), 313-320. https://doi.org/10.5762/KAIS.2018.19.12.313
- 이중섭. (2014). 경로당 운영방식에 따른 이용노인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6(4), 249-273. https://doi.org/10.22944/KSWA.2014.16.4.009
- 이화영, 이근홍. (2011). 경기도 경로당 운영 활성화 방안. 경기복지재단.
- 이환범, 이수창, 임중한. (2005). 지역사회 노인여가복지시설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한국행정학보, 39(3), 137-158.
- 임연옥, 윤현숙(2009). 노인의 노인복지서비스 이용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종단연구: 서울과 춘천 노인들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9(3), 1063-1085.
- 임정기. (2009). 재가노인요양서비스 종류별 이용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정책, 16(1), 193-234.
- 장경주. (2010). 경로당여가활동 프로그램이 여가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벤처 정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전병주, 한애경. (2014). Andersen 모형을 이용한 노인의 사회서비스 이용 예측요인. 디지털융복합연구, 12(8), 19-27. doi.org/10.14400/jdc.2014.12.8.19
- 전준구. (2006). 사회복지서비스의 품질, 고객만족도, 후속행동과의 인과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8(2), 105-139.
- 정경희 외 10인. (2017).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정무성, 노승현. (2006). 지역사회복지관의 서비스 질이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비영리연구, 5(1), 163-207.
- 정순둘, 김성원. (2013). 베이비부머와 예비노인의 신체적 노후준비 영향요인 : Andersen과 Newman 모델의 적용. 노인복지연구, 59, 237-256.
- 정연정. (2010).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의 서비스 이용 결정요인 연구 : 사회적 낙인인식에 대한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정은아. (2012). 지역사회서비스 이용자 선택이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선택 중요성 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조소영. (2001). 경로당 활성화를 위한 시범사업. 노인복지연구, 11, 53-86.
- 조우홍, 이동수. (2008). 노인요양시설 서비스 질이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노인복지연구, 40, 173-193.
- 최승아. (2009).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일반계층과 저소득층의 비교연구. 사회복지연구, 40(3), 213-242.
- 최예림, 박혜경. (2019). 재가노인 선호색채에 기초한 경로당 색채환경 특성 연구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색채학회논문집, 33(1), 22-32. doi.org/10.17289/jkscs.33.1.201902.22
- 한인섭. (2009). 성과지표와 고객만족도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43(2), 177-200.
- 행정안전부. (2019). 주민등록인구통계.
- Andersen, R. M., & Newman J. F. (1973). Societal and Individual determinants of Medical care Utilization in the United States. Health and Society, 51(1), 95~124. doi.org/10.1111/j.1468-0009.2005.00428.x
- Baron, R. M., & D. A. Kenny.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doi.org/10.1037/0022-3514.51.6.1173
- Cronin, J., & Taylor, S. (1992). Measuring Services Quality : A Reexamination and Extension. Journal of Marketing, 56(3), 55-68. doi.org/10.2307/1252296
- Geron, S. M. (1998). Assessing th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with long-term care services : measurement and design challenges for social work. Research on Social Work Practice, 8(1), 103-119. doi.org/10.1177/104973159800800108
- Hawes, D. K. (1978). Satisfaction Derived From Leisure Time Pursuits: An Exploratory Nationwide Survey, Journal of Research, 10. doi.org/10.1080/00222216.1978.11969365
- Kadushin, G. (2004). Home health care utilization : a review of the research for social work, Health and Social Work, 29(3), 219-244. doi.org/10.1093/hsw/29.3.219. doi.org/10.1093/hsw/29.3.219
- Kersting, R. C. (2001). Predictors of nursing home admission for old Black Americans.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ork, 35(3), 33-50. doi.org/10.1300/j083v35n03_04
- Lai, D. W. L. (2004). Use of home care services by elderly Chinese immigrants. Home HeaIth Care services Quarterly, 23(3), 41-56. doi.org/10.1300/j027v23n03_03
- Lebow, J. L. (1983). Research assessing consumer satisfaction with mental health Treatment: A review of findings.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6, 211-236. doi.org/10.1016/0149-7189(83)90003-4
- Mechanis, D. (1989), Painful choices: Research and essays on health care, New Brunswick, NJ: Transaction Publishers.
- Mitchell, J, & Krout, J, A. (1998). Discretion and service use among older adults: the behavioral model revisited. The Gerontologist, 38(2), 159-168. doi.org/10.1093/geront/38.2.159
- Oliver, R. L. (1980. A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tisfaction Decis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7, 460-469. doi.org/10.2307/3150499
- Oliver, R. L., & Bearden, W. O. (1985). Discontinuation process and consumer evaluations in product usag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13, 235-246. doi.org/10.1016/0148-2963(85)90029-3
- Parasuranman, A. V., Zeithaml., & Berry, L. (1985). A Conceptual model of service quality and i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Marketing, 49(4), 41-50. doi.org/10.2307/1251430
- Tinsley, T., & Kaufman, E. (1985). A System of Classification Leisure Activities in Terms of the Psychological Benefits of Participation Reported by Older Persons. Journal of Gerontology, 40(2), 172-178. doi.org/10.1093/geronj/40.2.172
- Walsh, T., & Lord, B. (2004). Client satisfaction and empowerment through social work intervention. Social Work in Health Care, 38(4), 37-56. doi.org/10.1300/j010v38n04_03
- 국민일보 2019. 12. 3일자 보도자료.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110982&code=11131418&cp=d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