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Senior Center Applying Andersen and Newman's Behavior Model: Analysis of Mediating Effect of User Satisfaction

Andersen과 Newman의 행동모델을 적용한 경로당 이용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자 만족도 매개효과 분석

  • Received : 2020.01.03
  • Accepted : 2020.01.26
  • Published : 2020.05.30

Abstract

In this study, the behavioral model of Andersen and Newman(1973) was appli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use of senior centers by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user satisfaction was improved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seniors using the Senior Center and operate the Senior Center.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policy and practical alternatives for activation. The subjects were 578 elderly people using 2,283 senior centers in Busan. As a resul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total usage period of the Senior Center were analyzed by age and type of potential factors among the leading factors,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total number of days of senior center usage during the week were gender, age, and education level among the preceding factors. Appeared. Factors affecting user satisfaction as a parameter were analyzed as subjective health status among gender, age, and desire factors among preceding factors. As a result of verification of mediating effect of user satisfaction,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age and total use of Senior Center, full mediating effect between gender and days of Senior Center use, and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age and Senior Center use days. Analyzed.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main findings of the study, the policy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activating the satisfaction and use of Senior Center are as follows. First, program development and suppor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enior center users are required. Second, there is a need to characterize per-path according to senior center type and regional environment. Third, there is a need to improve and raise the support standards for senior center operating expenses.

본 연구는 Andersen과 Newman(1973)의 행동모델을 적용하여 지역사회 노인들의 경로당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이용자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경로당 이용 노인의 만족도 향상 및 경로당 운영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실천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부산지역 2,283개소 경로당 이용 노인 578명이다. 연구결과, 경로당 총 이용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선행요인 중 연령, 가능성 요인 중 경로당 유형으로 분석되었으며, 1주일간 경로당 총 이용일 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선행요인 중 성별, 연령, 교육수준으로 나타났다. 매개변수인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선행요인 중 성별, 연령, 욕구요인 중 주관적 건강상태로 분석되었다. 이용자 만족도 매개효과 검증 결과, 연령과 경로당 총 이용기간 사이에는 부분 매개효과, 성별과 1주일간 경로당 이용일 수 사이에는 완전 매개효과, 연령과 1주일간 경로당 이용일 수 사이에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의 목적과 주요 결과에 따라 경로당 이용자 만족도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실천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로당 이용자 특성에 따른 프로그램 개발과 지원이 요구된다. 둘째, 경로당 유형 및 지역적 환경에 따라 경로당을 특성화 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경로당 운영비 지원 기준 개선과 인상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은주, 장소현, 배은주. (2018). 청소년 정신건강서비스 중복이용 영향요인. 청소년학연구, 25(7), 33-65. doi.org/10.21509/kjys.2018.07.25.7.33
  2. 권용신, 김정엽, 김정표. (2017). 노인 따돌림 예방을 위한 경로당 활성화 방안 연구. 경북행복재단.
  3. 김성호. (2015). 한국 내 외국인 이주노동자들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인식 및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다문화콘텐츠연구, 18, 255-297.
  4. 김용석. (2009). 사회복지 서비스 이용자 만족도 척도의 개발과 평가.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1(3), 127-160. https://doi.org/10.22944/KSWA.2009.11.3.005
  5. 김은영, 남은숙, 채영란, 이혜경. (2008). Anderson 행동모형에 근거한 한국노인의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의사 결정요인 분석. 한국노년학, 28(3), 585-602.
  6. 김은정, 정은아. (2012). 지역사회서비스 이용자의 서비스 품질평가와 지속이용 의향 : 대구시 문제해동아동조기개입서비스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6(1), 331~352.
  7. 김인. (2009). 사회서비스 바우처프로그램의 효과성 및 고객만족도 영향요인: 산모신생아도우미서비스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3(4), 127-151.
  8. 김인, 신학진. (2009). 노인요양시설의 서비스품질이 서비스만족과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9(2), 579-591.
  9. 김정근. (2015).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서비스의 재이용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이용자 만족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0. 김정근, 이민홍. (2019). 부산시 경로당 기능개선 및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부산복지개발원.
  11. 김진구. (2007). 저소득층의 의료 이용과 이용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복지연구, 34, 29~53.
  12. 김춘남. (2016). 아침이 기다려지는 경로당 특화프로그램 개발연구. 경기복지재단.
  13. 김희연, 장윤배. (2011). 고령사회에서 경로당 기능전환 및 대안 탐색. 경기복지재단
  14. 맹상위, 정인수. (2017). 완주군 경로당의 실내환경과 이용자들의 특성 및 만족도.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19(1), 23-34. https://doi.org/10.14577/KIRUA.2017.19.1.23
  15. 민소영. (2013). 지역거주 정신장애인을 위한 공식 및 비공식 지원 간의 상호관계와 영향요인.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41(1), 5-31.
  16. 박경숙. (2003). 노인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실태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기도 국민기초생활보장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55, 283-307.
  17. 박경효, 정윤수. (2001). 시민만족도평가제도의 조사모형과 방법론의 발전방안.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197-212.
  18. 박상연, 전영미, 성정혜, 이선희. (2013). 노인의 역할활동과 자아존중감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노인간호학회지, 15(1), 43-50.
  19. 박창제. (2011). 베이비부머의 노후를 대비한 사적 재무적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보장연구, 27(4), 327-351.
  20. 보건복지부. (2019). 2019년 노인보건복지사업안내.
  21. 부산광역시. (2019). 2019년 복지시책.
  22. 부산복지개발원. (2013). 사회복지시설 고객만족도 평가지표 개발.
  23. 서울연구원. (2012). 경로당 프로그램 모니터링 및 개선방안 연구 : 요약보고서.
  24. 염태준, 주재성, 김하늘, 박미진, 곽동화. (2018). 재해 시 도시지역 경로당의 임시주거시설 활용을 위한 설계제안 : 인천 구월3동 경로당 설계안을 통해서. 주거환경, 16(4), 257-270.
  25. 오영희, 이윤경(2004). 경로당 운영실태 및 기능재정정립방안. 보건복지포럼, 94, 62-72.
  26. 유병선, 양한모, 김춘남. (2013). 경기도형 경로당 모델 개발 : 신개념 융통형(flexible) 경로당 디자인 매뉴얼 중심으로. 경기복지재단.
  27. 이가옥, 이미진. (2001). 노인의 재가복지서비스 이용의향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 21(2), 113-214.
  28. 이기영, 임혁. (2008). 서비스 질과 클라이언트 만족도가 정신보건사회복지서비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8, 177-203.
  29. 이금룡. (2002). 한국노인의 사회활동. 한국성인교육학회, 5(2), 1-22.
  30. 이성신. (2013). 공공도서관 서비스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의 상관관계분석 및 매개변수. 한국비블리아 학회지, 24(1), 83-103. doi.org/10.14699/kbiblia.2013.24.1.083
  31. 이수진, 송미순. (2015). Rowe와 Kahn의 모델을 바탕으로 한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 지역사회 노인여가복지시설 활용별 집단간 비교분석.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5(2), 231-239. https://doi.org/10.4040/jkan.2015.45.2.231
  32. 이윤경. (2008). 노인장기요양보험 서비스 이용행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3. 이윤경. (2013). 노인여가복지시설 경로당의 운영현황 및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198, 56-66.
  34. 이재모. (2004). 노인의 경로당 이용 특성과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5, 101-120.
  35. 이재모, 이신영. (2007). 재가노인의 생활시설 이용의사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21, 51-72.
  36. 이재정. (2010). 장기요양보호노인의 시설입소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장기요양등급인정노인 가족부양자를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7. 이정수, 오영숙, 은동신. (2018). 경로당 건축물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실태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12), 313-320. https://doi.org/10.5762/KAIS.2018.19.12.313
  38. 이중섭. (2014). 경로당 운영방식에 따른 이용노인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6(4), 249-273. https://doi.org/10.22944/KSWA.2014.16.4.009
  39. 이화영, 이근홍. (2011). 경기도 경로당 운영 활성화 방안. 경기복지재단.
  40. 이환범, 이수창, 임중한. (2005). 지역사회 노인여가복지시설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한국행정학보, 39(3), 137-158.
  41. 임연옥, 윤현숙(2009). 노인의 노인복지서비스 이용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종단연구: 서울과 춘천 노인들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9(3), 1063-1085.
  42. 임정기. (2009). 재가노인요양서비스 종류별 이용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정책, 16(1), 193-234.
  43. 장경주. (2010). 경로당여가활동 프로그램이 여가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벤처 정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4. 전병주, 한애경. (2014). Andersen 모형을 이용한 노인의 사회서비스 이용 예측요인. 디지털융복합연구, 12(8), 19-27. doi.org/10.14400/jdc.2014.12.8.19
  45. 전준구. (2006). 사회복지서비스의 품질, 고객만족도, 후속행동과의 인과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8(2), 105-139.
  46. 정경희 외 10인. (2017).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7. 정무성, 노승현. (2006). 지역사회복지관의 서비스 질이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비영리연구, 5(1), 163-207.
  48. 정순둘, 김성원. (2013). 베이비부머와 예비노인의 신체적 노후준비 영향요인 : Andersen과 Newman 모델의 적용. 노인복지연구, 59, 237-256.
  49. 정연정. (2010).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의 서비스 이용 결정요인 연구 : 사회적 낙인인식에 대한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0. 정은아. (2012). 지역사회서비스 이용자 선택이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선택 중요성 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1. 조소영. (2001). 경로당 활성화를 위한 시범사업. 노인복지연구, 11, 53-86.
  52. 조우홍, 이동수. (2008). 노인요양시설 서비스 질이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노인복지연구, 40, 173-193.
  53. 최승아. (2009).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일반계층과 저소득층의 비교연구. 사회복지연구, 40(3), 213-242.
  54. 최예림, 박혜경. (2019). 재가노인 선호색채에 기초한 경로당 색채환경 특성 연구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색채학회논문집, 33(1), 22-32. doi.org/10.17289/jkscs.33.1.201902.22
  55. 한인섭. (2009). 성과지표와 고객만족도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43(2), 177-200.
  56. 행정안전부. (2019). 주민등록인구통계.
  57. Andersen, R. M., & Newman J. F. (1973). Societal and Individual determinants of Medical care Utilization in the United States. Health and Society, 51(1), 95~124. doi.org/10.1111/j.1468-0009.2005.00428.x
  58. Baron, R. M., & D. A. Kenny.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doi.org/10.1037/0022-3514.51.6.1173
  59. Cronin, J., & Taylor, S. (1992). Measuring Services Quality : A Reexamination and Extension. Journal of Marketing, 56(3), 55-68. doi.org/10.2307/1252296
  60. Geron, S. M. (1998). Assessing th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with long-term care services : measurement and design challenges for social work. Research on Social Work Practice, 8(1), 103-119. doi.org/10.1177/104973159800800108
  61. Hawes, D. K. (1978). Satisfaction Derived From Leisure Time Pursuits: An Exploratory Nationwide Survey, Journal of Research, 10. doi.org/10.1080/00222216.1978.11969365
  62. Kadushin, G. (2004). Home health care utilization : a review of the research for social work, Health and Social Work, 29(3), 219-244. doi.org/10.1093/hsw/29.3.219. doi.org/10.1093/hsw/29.3.219
  63. Kersting, R. C. (2001). Predictors of nursing home admission for old Black Americans.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ork, 35(3), 33-50. doi.org/10.1300/j083v35n03_04
  64. Lai, D. W. L. (2004). Use of home care services by elderly Chinese immigrants. Home HeaIth Care services Quarterly, 23(3), 41-56. doi.org/10.1300/j027v23n03_03
  65. Lebow, J. L. (1983). Research assessing consumer satisfaction with mental health Treatment: A review of findings.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6, 211-236. doi.org/10.1016/0149-7189(83)90003-4
  66. Mechanis, D. (1989), Painful choices: Research and essays on health care, New Brunswick, NJ: Transaction Publishers.
  67. Mitchell, J, & Krout, J, A. (1998). Discretion and service use among older adults: the behavioral model revisited. The Gerontologist, 38(2), 159-168. doi.org/10.1093/geront/38.2.159
  68. Oliver, R. L. (1980. A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tisfaction Decis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7, 460-469. doi.org/10.2307/3150499
  69. Oliver, R. L., & Bearden, W. O. (1985). Discontinuation process and consumer evaluations in product usag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13, 235-246. doi.org/10.1016/0148-2963(85)90029-3
  70. Parasuranman, A. V., Zeithaml., & Berry, L. (1985). A Conceptual model of service quality and i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Marketing, 49(4), 41-50. doi.org/10.2307/1251430
  71. Tinsley, T., & Kaufman, E. (1985). A System of Classification Leisure Activities in Terms of the Psychological Benefits of Participation Reported by Older Persons. Journal of Gerontology, 40(2), 172-178. doi.org/10.1093/geronj/40.2.172
  72. Walsh, T., & Lord, B. (2004). Client satisfaction and empowerment through social work intervention. Social Work in Health Care, 38(4), 37-56. doi.org/10.1300/j010v38n04_03
  73. 국민일보 2019. 12. 3일자 보도자료.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110982&code=11131418&cp=d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