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rd seed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38초

자몽종자추출물, 구연산, 사과산 그리고 염화벤잘코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스프레이형 소독제의 조류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 대한 살바이러스 효과 (Virucidal Efficacy against Avian Influenza Virus of a Disinfectant Spray Containing Grapefruit Seed Extracts, Citric Acid, Malic Acid and Benzalkonium Chloride)

  • 차춘남;박은기;정지윤;유창열;김석;이후장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66-273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the virucidal efficacy against avian influenza virus (AIV) of a disinfectant spray containing 0.25% grapefruit seed extract, 0.2% citric acid, 0.0625% malic acid and 0.0125% benzalkonium chloride. Methods: The disinfectant spray was diluted several times with hard water (HW) and organic matter (OM). Two point five mL of each diluent was added into each test tube, and 2.5 mL of AIV suspension was inserted into each test tube. After 30 minutes of virus-disinfectant contact reaction at $4^{\circ}C$, 2.5 mL of 10% inactivated fetal bovine serum was added into each test tube to neutralize the sanitizer efficacy. The neutralized solutions were serial 10-fold dilutions with phosphate buffer solution, and 0.2 mL of the diluents was injected into the allantoic cavity of five ten-day-old-chickens per dilution time. After incubation of the embryos for five days, the viability of the AIV was examined by hemagglutination titer. The valid dilution of the disinfectant spray was estimated according to the dilution time that the virus titer was inactivated more than $10^4$ 50% egg-infective dose (EID50)/mL compared with pathogen control. Results: In HW and OM conditions, the valid dilutions of the disinfectant spray against AIV were seven- and three-fold dilutions, respectively. The AIV titer of the pathogen control was more than 6.1 log10EID50/mL, and there was no embryonic toxicity.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this disinfectant spray has effective virucidal activity against AIV.

기온과 일도시간 분석에 의한 가시오가피의 파종적지 선정 (Using Air Temperature and Sunshine Duration Data to Select Seed Production Site for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

  • 박문수;김영진;박호기;장영선;이중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44-450
    • /
    • 1995
  • 최근 새로운 약용식물로 주목받고 있는 가시오갈피 (Eleutherococcur sentico년 Max. )는 국내에서는 꽃이 피어 열매가 익어가다가 여름철 고온에 의해 거의 탈락되어 실생번식을 위한 종자채종이 안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 종자가 채종되고 있는 일본 북해도 지역의 기상과 국내 각 지역의 기온과 일조시간 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우리 나라에서의 가시오갈피 채종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시오갈피가 채종되고 있는 북해도 지역은 8월에 개화되어 8월 하순~10월에 등숙이 이루어졌으며, 이 지역과 기온양상이 비슷한 곳은 대관령이다. 2. 가시오갈피의 맹아는 평균기온 7~8.5$^{\circ}C$에 출현하였고, 꽃은 17$^{\circ}C$ 이상에서 피었으며 개화기는 장수는 6월 중순경, 북해도는 8월 중순으로 2개월 정도의 차이가 있었다. 3. 7~8월의 평균 최고기온은 북해도는 24.4$^{\circ}C$ 대관령은 21.2$^{\circ}C$로서 장수의 27.4$^{\circ}C$ 보다 약 3~6$^{\circ}C$ 정도 낮았으며, 특히 대관령은 6월~9월까지 평균 최고기온이 21$^{\circ}C$ 전후로 계속 지속되므로 가시오갈피의 개화 및 등숙에 유리하여 채종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4. 가시오갈피 등숙기간중 유효적산온도(5$^{\circ}C$ 이상)는 장수 1,524$^{\circ}C$, 북해도 807$^{\circ}C$, 대관령 964$^{\circ}C$ (추정치)로 등숙에 알맞는 유효적산온도는 1,00$0^{\circ}C$ 내외이다. 5. 가시오갈피의 작물기간(평균기온 15$^{\circ}C$ 이상 출현일수)은 장수는 135일, 북해도는 79일, 대관령은 85일로 물질생산에는 장수가 유리하였으나 채종에는 불리하였다. 5. 가시오갈피의 개화 및 등숙 초기인 7~8월의 월 일조시간은 북해도는 83.5~85.4시간으로 장수의 174.6~177.2시간 보다 크게 적어 낙화 및 낙과를 줄여 채종하는데 유리하였으며, 대관령은 121.7~128시간이지만 고온기의 평균 최고기온이 낮아 채종 가능 지역으로 추정되었다.

  • PDF

Effect of sowing italian ryegrass using unmanned helicopter under the established rice field on labour saving and rice growth

  • Kim, Young-Gwang;Seong, Deok-Gyeong;Nam, Jin-Woo;Choi, Young-Jo;Hong, Kwang-Pyo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68-268
    • /
    • 2017
  • Common sowing method of italian ryegrass (IRG) has been using the backpack seed sprayer (BSS) in Korea. It has weak point including a hard work and a little sowing a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sowing IRG using unmanned helicopter (UH) under the established rice field. We checked the labour saving of sowing IRG and the growth and yield of rice after using IRG as forage crop. Two sowing implements(using by UH and backpack seed sprayer (BSS)) were tested for the ability of sowing IRG. For proper pretreatment of IRG seeds for aerial sowing using with UH, we tested one-day soaking seeds, iron-coated seeds, coated seeds sold in stores and untreated seeds. Aerial sowing of IRG seeds using UH was tested under the speed 10 km/h and flying altitude 3~4m. We tried to confirm the effects on rice growth in a paddy field after IRG had been used as forage in mid May. In 6 hours of seeding per day, UH had a seeding area of 21.8 hectares, three times wider than BSS. UH had a decrease of about 63 percent of sowing-seed cost in comparison with BSS. In the IRG aerial sowing using UH, coating seeds had the wider sowing width of 5~6 meter than 3~4 meter untreated seeds. Residual dry matter of IRG after using forage had 4.5 ton per hectare and 20 percent of top dry matter. The amount of nitrogen remaining in residual IRG in the soil was 12 kg per hectare, and the other nutrients such as calcium and potassium was incorporated into the soil with less than 10 kg/ha. The rice yield after the harvesting IRG was 5 percent higher than that of rice single cropping. Consequently, IRG sowing using UH was effective in reducing sowing time and sowing cost compared with conventional methods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a positive effect on the rice cultivation compared to rice single cropping.

  • PDF

자몽씨 추출물을 함유한 Eudragit E100 미세캡슐의 제조 및 김치에 대한 영향 (Preparation and Effect of Eudragit E100 Microcapsules Containing Grapefruit Seed Extract on Kimchi)

  • 김한수;정성기;조성환;구재관;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239-1244
    • /
    • 2003
  • 김치의 과숙성을 조절한 고품질화를 위하여 pH 5.0이하의 산성에서 용해되는 Eudragit E100으로 자몽씨 추출물(GFSE)을 함유한 미세 캡슐을 아세톤/액체 파라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분산제로 첨가한 aluminium tristearate의 함량에 따라 89.39∼92.13%의 수율을 나타내었으며, aluminium tristearate의 양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첨가한 aluminium tristearate함량이 증가할수록 미세캡슐의 크기는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12%의 aluminium tristearate가 존재할 때, GFSE를 함유한 Eudragit E100 미세캡슐은 200 $\mu\textrm{m}$이상이 50.42%, 150∼200 $\mu\textrm{m}$의 범위 내의 것이 36.11%, 100∼150 $\mu\textrm{m}$ 범위의 것이 11.28%, 100 $\mu\textrm{m}$ 이하의 것이 0.17%의 입자 분포를 나타내었다. Eudragit E100 미세 캡슐은 전자현미경으로 구형으로 관찰되었다. Eudragit E100을 pH를 달리한 완충용액에 저장하였을 때, 함유된 GFSE는 pH 3, 4, 5, 6의 조건에서는 1일 만에 내부의 GFSE가 모두 용출되었고 pH 7에서는 9일 후에 약 70%의 GFSE가 용출되었다. 또한, 김치에 첨가하여 저장하였을 때, GFSE 함유 Eudragit E100 미세캡슐의 양이 증가할수록 저장 기간 2일까지는 김치의 pH 저하를 완화시켰으나, 3일 이후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총균수와 젖산균의 경우에서도 GFSE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각각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pH에 의한 엄밀한 방출은 관찰되지는 않았다.

단경 다수성 녹두 품종 '문평' (Mungbean Cultivar, 'Munpyeong', with a Short Stem and High Yield)

  • 김동관;최진경;권오도;이경동;서민정;김현태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85-489
    • /
    • 2018
  • 녹두 품종 '문평'은 '금성'과 'IT163157'을 교배하여 2013년에 전라남도농업기술원에서 육성되었다. '문평'의 초형은 직립이고 잎 모양은 심장형이며 배축은 녹색이다. 성숙한 꼬투리는 곧고 검정색이며 종피는 광택이 없는 녹색이다. '문평'의 경장은 60 cm로 표준품종인 '어울'보다 6 cm 작고, 꼬투리수는 25개로 3개 많으며 천립중은 45 g으로 4 g 낮다. '문평'의 바이러스, 갈색무늬병 및 흰가루병 포장저항성은 '어울'과 비슷하고, 도복 포장저항성은 강한 편이다. '문평'의 경실 비율은 3.2%로 표준품종과 비슷하고 나물 수율은 7.54배로 9% 높다. '문평'의 수량은 1.93 톤/ha로 '어울'보다 21% 많다(품종보호권등록번호: 제5878호, 2016년 2월 1일).

숙지의 생장조절제 처리 및 녹지의 삽목시기가 한국 자생 조팝나무류의 발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s for Hard Wood and Cutting Time for Soft Wood on Rooting of Korean Native Spiraea spp.)

  • 이정호;송천영;우효진;권오웅
    • 화훼연구
    • /
    • 제19권2호
    • /
    • pp.103-109
    • /
    • 2011
  • 한국 자생 조팝나무류 숙지삽의 발근율은 꼬리조팝 및 공조팝이 11.3%와 17.7%이었고, 갈기조팝나무, 더블조팝나무, 일본조팝나무, 능수조팝나무 및 참조팝나무는 5%내외로 발근율이 낮았다. 꼬리조팝과 공조팝의 숙지삽에 발근촉진제 IBA $125{\sim}1,000mg{\cdot}L^{-1}$, NAA $125{\sim}1,000mg{\cdot}L^{-1}$ 및 Rootone 처리는 농도에 관계없이 15%이상 발근율을 향상시켰으므로 이들의 적당한 농도는 $125mg{\cdot}L^{-1}$이었다. 갈기조팝나무, 꼬리조팝나무, 조팝나무, 가는잎조팝나무 및 참조팝나무 등 자생 조팝 5종에 대한 5월 7일부터 9월 17일까지 일주일 간격의 녹지 삽목에서, 발근율은 신초가 경화되고 발근 온도가 적당한 9월 17일이 가장 양호하였다. 자생 조팝나무류의 발근율은 5월 7일부터 8월 중순까지는 20%이하로 낮았으나, 9월 17일에는 그 이상을 나타냈고, 특히 꼬리조팝나무 및 참조팝나무는 70%이상이었다.

주요 외래잡초의 생태적 특성 및 방제에 관한 연구 1. 조사료 포장에 발생하는 주요 외래잡초의 분포 및 생태적 특성 (Studies 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ontrol of Exotic Weeds 1. Distribu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exotic weeds in forage crop field)

  • 박근제;윤세형;이종경;김영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97-102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weed distributions in 6 areas(Suwon, Seonghwan, Seosan, Taekwanryeong, Namwon and Yeongam) and to investigate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exotic weeds from 1997 to 1999. Total 44 species in 15 families of exotic weds were observed in grassland and forage crop field. Among them 4 species in 1 family were monocotyledonous and 40 species in 14 families were dicotyledonous weeds. Most common species among exotic weeds examined in this study were Rumex acetosella, Rumex crispus. Chenopodium album, Abutilon theophrasti, Amaranthus retroflexus, Polygonum orientale etc. Inedible weeds with hairs, prickles, fetor or poison were Solanum carolinense Xanthium strumarium, Datura stramnium, Erechtites hieracifolia, Anthemis cotula, Phytolaca americana etc. The relative density of Phytolaca americana increased with decreament of soil pH and content of available phosphate, and that of Solanum carolinense increased with decreament of soil pH and increament of available phosphate. Most of exotic weed seeds germinated well under light condition with $25~30^{\circ}C$, and some of those were hard or dormant seed.

  • PDF

석류 종자유로부터 얻어진 Conjugated Linolenic Acid를 함유한 기능성 고체지의 효소적 합성 및 이화학적 특성 연구 (Enzymatic synthesis of structured lipids containing conjugated linolenic acids extracted from pomegranate seed oil and thei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 이구;신정아;이기택
    • 농업과학연구
    • /
    • 제39권3호
    • /
    • pp.395-405
    • /
    • 2012
  • 기능성 지방산인 CLnA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석류 종자유로부터 합성된 가수분해물과 고체지인 팜 스테아린을 기질로 사용하여 Lipozyme TL IM 효소를 촉매로 하여, 기능성 고체지들을 무용매 반응(NH-SL)과 n-hexane 반응(H-SL)조건에서 합성하였다. 합성은 기질 비율 1:6 몰(w/w, PS:HPSO)로, 각 12, 24, 72 hr 동안 반응하여 이루어졌다. 합성 후 반응물은 탈산과정을 수행한 후 각 기능성 고체지들의 이화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총 지방산 조성분석결과, 반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NH-SL에서 CLnA의 함량은 34.38%, 37.68%, 40.63%의 함량으로 유의적 차이를 보이며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H-SL에서 CLnA의 함량은 36.81%, 41.19%, 45.83%으로 유의적 차이를 보이며 증가하였다(p<0.05). TAG 조성분석 결과, 기능성 재구성지질들(NH-SL, H-SL)에는 LnLnLn(PN=36), LnLnL(PN=38), LnLL과 LnLnP(PN=40), LLL(PN=42), PLP(PN=46), OOLn과 PLO, POP, PPS(PN=48), LOO, POS(PN=50)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반응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NH-SL의 경우 LnLnLn의 함량이 1.63%에서 11.54%로 증가하였고, H-SL의 경우 5.89%에서 18.45%로 증가하였다. 또한 주된 TAG 조성인 LnLnP의 경우 각각 23.15~33.77%(NH-SL)와 28.76~36.44%(H-SL)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합성한 석류종자유 가수분해물의 산가는 200.46이었으며, 합성 후 탈산한 기능성 고체지들의 산가는 1.05~1.41로 낮았다. 또한 불포화도를 나타내는 요오드가 측정결과, 무용매 반응과 용매 반응 모두에서 반응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요오드가가 점차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반응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CLnA의 함량이 높아졌기 때문에 IV가 점차로 높아지는 결과를 얻은 것으로 사료된다. 기능성 고체지들의 total tocopherol 함량 측정결과, 반응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NH-SL의 경우 3.37~2.13 mg/100 g으로 다소 감소하였으며, H-SL의 경우 3.89~2.51 mg/100 g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기능성 고체지들의 SFI 측정결과, H-SL의 경우 $10^{\circ}C$에서 NH-SL보다 고체지 함량이 낮았으며, $25^{\circ}C$에서는 거의 액체 상태를 유지하였다. 이는 융점이 낮으며 불포화지방산인 CLnA의 함량이 비교적 높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마가린과 같은 적절한 spreadability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무용매 반응(NH-SL)에서 12 hr과 24 hr 반응을 통하여 생성된 기능성 고체지들이 적합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72 hr 동안 반응하여 생성된 기능성 고체지들(NH-SL, H-SL)의 경우, $3.86{\AA}$에서 낮은 강도를 나타내어, 주로 ${\beta}$'의 결정형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Bactericidal Efficacy of a Disinfectant Spray Containing a Grapefruit-seed Extract, Citric acid, Malic acid and Benzalkonium Chloride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and Brucella ovis

  • Cha, Chun-Nam;Park, Eun-Kee;Jung, Ji-Youn;Yoo, Chang-Yeul;Kim, Suk;Lee, Hu-Jang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99-303
    • /
    • 2016
  • 살모넬라증과 부루셀라증은 가축 및 사람에 심각한 피해를 유발하는 질병으로, 축산업과 식품산업에 많은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몽종자추출물, 구연산, 사과산 그리고 염화벤잘코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스프레이형 소독제의 Salmonella Typhimurium과 Brucella ovis에 대한 효력시험을 수행하였다. 살균효력시험은 배지희석법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스프레이형 소독제와 시험 세균들을 처리조건에 따라 경수와 유기물로 희석하여 반응을 시켰다. 유기물 조건에서, Salmonella Typhimurium과 Brucella ovis에 대한 스프레이형 소독제의 살균력은 경수조건에서의 살균력과 비교하여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유기물들에 의한 소독제의 살균 유효성분에 대한 저해작용에 따른 것으로 사료된다. 스프레이형 소독제는 Salmonella Typhimurium과 Brucella ovis와 같은 인수공통전염병 유발 병원균들에 대해 살균효과를 나타내어, 살모넬라증과 브루셀라증과 같은 세균성 질병의 확산을 제어하는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고농도의 불소를 포함하는 과포화용액이 apatitic crystal growth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SUPERSATURATED SOLUTIONS CONTAINING HIGH CONCENTRATIONS OF FLUORIDE ON SEEDED CRYSTAL GROWTH)

  • 권중원;금기연;이승종;정일영;이찬영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4권2호
    • /
    • pp.330-336
    • /
    • 1999
  • In biological systems, the mineral that forms hard tissue is of an apatitic nature, and hydroxyapatite($Ca_5OH(PO_4)_3$: HA) is generally considered as the prototype for such a mineral. Thus, the precipitation of HA, having biological implications, has been the subject of several investigations. Crystal growth studies using HA seeds in supersaturated solutions have enhanced our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and mechanism involved in seeded crystal growth. From these studies, it has become apparent that the precipitation rate of HA onto the seed crystals depends on the various conditions, especially on the additives. The relation between the supersaturated solution containing fluoride and the process of HA crystal growth enhances the understanding of mechanism of HA crystal growth. Until recently, the studies have been on the crystal growth of enamel minerals and synthetic HA seeds in the supersaturated solution containing 1~2 ppm fluorid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is to study the effect that fluoride of high concentration has on the crystal growth kinetics of HA. In order to produce the composition found in the secretory enamel fluid, experimental solutions of 1mM Ca, 3mM P, and 100mM Tris as background electrolyte were used. Then this experimental solutions were added to 0, 2, 4, 6, 8, 10 ppm fluoride. The effect of fluoride at high concentrations on the precipitation was examined in a bench-top crystal growth model adopting a miniaturized reaction column. Chemical analysis was employed for characterization of working solution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ation. Remarkable findings were : 1) the amount of crystal growth was gradually accelerated as the fluoride concentration increased until 6 ppm, but decreased in 8 and 10 ppm fluoride; 2) the amount of fluoride ion consumed in crystal formation was constant despite the increase in fluoride concentr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