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ppiness and education

검색결과 406건 처리시간 0.025초

조선시대 아동교육용 문헌에 나타난 정서과정에 대한 구범적 기대(II) (A Study on Normative Expectation of Emotional Process in Children′s Tectbooks of the Chosen Dynasty(II))

  • 신양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11호
    • /
    • pp.17-3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normative expectations of positive emotions such as happiness and pride in Korean culture by analyzing the children's textbooks in the Chosen Dynasty period.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document analysis and the materials for analysis were 'Dongmongsensp', 'Gyukmongyogyul', 'Myungimbogam', and 'Sohak', that were the textbooks for children's education and invoked the ethics of individual life based on Confucianism. The analysis was focused on the antecedent events, emotional consequences, and emotional regulation in the emotional process of happiness and pride. According to the analysis, happiness was caused by the accomplishment of cultural tasks such as supporting parents, observing laws, being moderate, improving oneself with reading good books, and modeling good deeds, as well as parents' love, which had desirable consequences. Hence, the emotional regulation was to enhance happiness, but far as immoderate experience of happiness, the regulatory rule was expected to suppress it. Also, the antecedents of pride were those demonstrating to have power or occupying a high social position, and the consequences of pride led to self-destruction, and pride was therefore not allowed to be expressed. Consequently, happiness was enhanced because it motivated individuals to accomplish cultural tasks of interdependence, whereas pride was inhibited because it tended to disengage self from social connectedness.

부모의 자존감과 행복감이 아동·청소년기 자녀의 자존감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rents' Self-Esteem and Happiness on the Self-Esteem and Happines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 곽수란;송미옥;김영호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1-25
    • /
    • 2021
  •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한 아동청소년패널 2018, 초4와 중1 패널 1차 데이터를 사용하여 아동·청소년기 부모와 자녀의 자존감과 행복감의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분석 맥락은 부모의 자존감과 행복감이 양육태도 미치는 영향, 더 나아가 자녀의 학업활동, 자존감 그리고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자존감과 행복감은 상호작용 요인이기 때문에 부모의 자존감과 행복감을 외생변수로 투입하여 상관관계로 확인하였으며, 자녀의 자존감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은 인과관계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기 정신건강 척도인 자존감과 행복감이 부모의 자존감과 행복감과 어떻게 연계되었는지 탐색할 수 있다. 또한 아동·청소년기 건강한 발달을 도모 하는데있어 가정 배경인 부모역할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학생의 소비행복 실천 수기의 질적분석과 함의 (Qualitative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Essays on Their Practices of Consumption Happiness and Implications)

  • 박미혜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825-842
    • /
    • 2014
  • This study is to analyze essays on the practices of consumption happiness which the students who took the class 'consumption and happiness' wrote. To do this, 108 essays which the students submitted in both semesters in 2013 were analyzed qualitatively. As a result, the 4 themes such as 'reflection on the life of consumption', 'practices', 'changes', 'recognized meanings of the class' were extracted. Firstly, some students were reflective on their acts of consumption in everyday life. They have consumed in an undisciplined, unthoughtful manner and have experienced various negative emotions in their consumption, and have the motive of change. Secondly, the study showed the consumption of clothes, eating, house, leisure, body, digital, wedding is variously included in their practices of consumption. In the category of common practices, 'sharing consumption giving a bigger happiness', 'sustainable consumption caring about the earth and the next generation', 'smart consumption through discipline', 'responsible consumption considering community and producer', 'field trips and consumption of experience as learning' are included, and 'meaningful feeling of happiness through practices' are extracted. Thirdly, they have experienced positive changes such as reduction in consumption desire and increased concern with mind, relationship and conscious consumption. Fourthly, students think of the class as a necessary, useful, practical subject, and have a precious opportunity to learn many aspects they don't think about before, and don't practice, and say that they persistently continue to practice. Therefore, to promote the happiness as a consumer and consumer citizen leader in the society, it's necessary to offer a related class in more universities.

일과 생활의 균형(WLB)과 상사신뢰가 직장행복감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ork-Life Balance(WLB) and Superior Trust on Workplace Happi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서영복;박찬권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115-130
    • /
    • 2021
  • 본 연구는 일과 생활의 균형(WLB)과 상사신뢰, 직장행복감, 조직몰입 간의 전체적인 구조적 관계를 연구하는 것이다. WLB와 상사신뢰는 직장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직장행복감은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그리고 직장행복감의 매개효과를 연구하는 것이다. 대기업 및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직장 재직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항목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인하고 경로분석 방식으로 연구가설을 검정하였다. 연구가설의 검정결과 WLB와 상사신뢰는 직장행복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직장행복감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또한 직장행복감은 WLB와 상사신뢰, 조직몰입 사이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검정 결과를 토대로 WLB와 상사신뢰의 수준이 높을수록 직장행복감은 높아지며, 직장행복감이 제고될수록 조직몰입의 수준 역시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기업 구성원들의 직장행복감과 조직몰입을 달성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누가 행복한 직장인인가?: 인구통계적·심리분석적 요인과 행복수준 간의 관계 (Who is Happy at Work?: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Psychographic Factors and Happiness Level)

  • 이종만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159-166
    • /
    • 2013
  •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누가 행복한 직장인인지를 파악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성별, 연령대, 결혼여부, 자녀수, 종교, 학력, 직급, 직업, 소득 등과 같은 인구통계적 요인, 외향성, 신경증적 예민함, 긍정신념과 같은 심리분석적 요인 그리고 행복 수준으로 구성된 이론모형을 제안하였고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첫째, 인구통계적 요인과 심리분석적 요인 모두 직장인의 행복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자녀수, 신경증적 예민함, 긍정신념은 직장인의 행복을 예측하는 주요 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직장인의 행복 수준을 증진시킬 수 있는 요인들을 실증했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

영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 및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Happiness among Early Ehildhood Teachers: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tress and Teaching Efficacy)

  • 이은숙;이경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21-238
    • /
    • 2015
  •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행복감이 사회인구학적인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행복감에 대한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 및 교사효능감의 직접적인 영향 및 정서지능과 행복감 간의 경로에서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영유아교사 246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일원변량분석, t-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경로분석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행복감은 연령, 학력, 경력, 소득, 결혼여부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행복감에 정서지능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를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며 가장 큰 인과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교사의 행복감에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써 영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효능감은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요인이며, 직무스트레스는 행복감을 감소시키는 요임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영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행복감 간의 경로에서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어 이는 정서지능은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게 하고 교사효능감은 높이게 하여 영유아교사의 행복감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행복감의 가장 중요한 선행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 행복 의미 구성 과정 (The Process of Meaning Construction on Children's Happiness by Mothers with Young children)

  • 최은아;정계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261-292
    • /
    • 2015
  •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 행복 의미 구성과정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 참여자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16명이었고, 2회에 걸친 1:1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어머니의 자녀 행복 의미 구성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근거이론방법의 개방코딩, 축코딩의 패러다임 분석, 과정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 행복 의미 구성과정은 분리되지 않은 욕망을 따라가기, 나의 욕망과 아이의 행복 돌아보기, 얽혀있는 욕망을 조정하기, 아이와 나의 행복 찾아가기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은 어머니의 개인적 맥락, 사회문화적 맥락, 시간체계와 상호영향을 주고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어머니가 자녀의 행복 의미를 구성해 가는 각 과정에서 나타나는 시간관, 자녀 양육과 교육에 대한 태도 및 행동과의 상호작용 특성, 행복 의미 구성에의 영향성을 논의하였다.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행복 유형 연구 (A study on happiness types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 유칠선;최유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358-367
    • /
    • 2019
  •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인식하는 행복의 유형별 특징을 제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행복감을 증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대상은 D지역의 유치원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어머니 32명을 임의 표집하였으며, 행복에 대한 인간의 주관성을 심층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행복에 대한 구조적 유형은 가족중심의 가치관을 가지고 자녀를 비롯한 가족을 통해 행복을 느끼는 가족중심형, 종교에 의지하여 절대자의 사랑을 느끼며 자신에게 주어진 상황과 작은 일에도 감사를 느끼며 살아가는 감사추구형, 가족 및 자녀가 다니는 유치원, 좋은 사람들과의 관계에 중요한 행복의 가치를 두는 관계지향형, 가정의 화목이나 자녀교육을 통한 행복도 중요하지만 개인으로서의 삶과 즐거움을 강조하는 개인향유형의 4개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4가지 행복 유형 간 공통 견해를 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가족과 친밀한 사람과의 관계, 개인의 가치 관계가 두드러지게 강조됨을 알 수 있었다.

유치원 교사의 행복에 대한 인식 : Q방법론적 접근 (Happiness of kindergarten teachers: A Q-methodology approach)

  • 류칠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433-441
    • /
    • 2016
  •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행복을 이해하고 구조적 유형을 분석하여 유치원 교사의 행복 유형별 특징을 제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유치원 교사의 행복감을 증진하여 유아교육의 질적수준을 증진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대상은 D지역의 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41명을 무선 표집하였으며, 행복에 대한 인간의 주관성을 심층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유치원 교사의 행복에 대한 구조적 유형은 자신이 하는 일의 세계에서 고유의 가치를 인정받고 실현하는 것에서 행복을 느끼는 자아 실현형, 행복은 지금 자신 안에 있으며, 자신에게 주어지는 모든 일에 기뻐하고 감사하며 살아가는 내적 만족형, 가족이나 좋아하는 사람 뿐 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다른 사람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과 사람들 간의 인간관계에 중요한 행복의 가치를 두는 사회 관계형, 다른 사람의 시선에 신경 쓰지 않고 하고 싶은 일을 하며 생활하는 것과 자유롭게 행동하며, 가족이나 친밀한 사람과 함께 지내는 개인중심의 신념과 태도를 강조하는 개인 신념형의 4개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교사용 25~36개월 영아 행복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25~36 Months Old Infant's Happiness Scale for Teachers)

  • 민선희;김용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30-143
    • /
    • 2019
  • 이 연구는 25~36개월 영아 행복감 구성요인을 확인하고 영아 행복감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 선행 측정도구 분석내용과 포커스그룹 인터뷰 내용을 통해 영아 행복감 구성요인과 문항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문항의 타당화를 위해 D지역 25~36개월 영아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구인타당도, 공인타당도,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이 연구에서 개발된 영아 행복감 척도의 구성요인과 문항은 문제행동(4), 몰입을 통한 성취(4), 친구와의 관계(4), 교사와의 관계(4), 물리적 환경(3), 긍정정서(4), 부정정서(3), 건강(3)의 총 8개 구성요인과 29문항이다. 둘째, 영아 행복감 척도의 구인타당도는 문항 적합도 CFI=0.89, TLI=0.88, RMR=0.05로 적합하였으며, 집중타당도와 판별타당도를 확보하였다. 공인타당도는 기존에 개발된 측정도구의 구성요인들과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신뢰도는 0.71-0.89로 나타나 이 연구에서 개발된 영아 행복감 척도는 영아의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갖춘 척도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영아 행복감 척도는 영아 행복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의 효과를 검증해주는 주요 검사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