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phic design trend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6초

패션 디자인에서 표현된 그래픽 디자인 트렌드에 관한 연구 -2004년~2006년을 중심으로- (Analysis of Graphic Design Trend in Fashion Design)

  • 서유진;하지수
    • 복식
    • /
    • 제57권10호
    • /
    • pp.156-168
    • /
    • 2007
  • Brands started to manufacture consumer-oriented products and look for active methods to appeal their brands to consumers, in the 1990s. As a result, actively adopting graphic design to clothing designs has recently become an important strategy among others. Graphic design has important significance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in the aspect that it has expanded the range of expressive methods by bringing over expressive methods of visual design, and has led to an increase in sales due to consumer satisfaction, but it has been vaguely handled together with textiles design, and research on the topic has been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clearly define the idea of graphic design based on documentary research, and analyze applying case and formative features of graphic design expressed in clothing, through case studies from 2004 to 2006, and derive the trends of graphic design expressed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images that reflect recent graphic design trends in fashion design are hand writing and irregular composition, and images that actively pursued these pointes were retro and craft images, and modern and sporty images reflected these graphic design trends in a comparatively passive manner. It is important to maintain style differentiation rather than indiscreetly adopting graphic design trends to clothing, and to appropriately apply trend characteristics of fashion design and other design areas. Expressive methods of design are expected to expand through appropriate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graphic design, and can potentially provide a new solution to brand differentiation.

모션그래픽의 환경과 경향분석에 관한 연구 -모션그래픽 출현의 역사적 배경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rend Analysis St Environment of Motion Graphic. -Focused on Historical Backgrounds of Motion Graphic Appearance-)

  • 김재명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5-14
    • /
    • 2005
  • 그래픽디자인은 인류와 함께 하여 왔으며 인간은 동영상으로 사물을 파악한다. 그리고 꿈에서조차 영상으로 꿈을 꾼다. 도구의 발전은 인간의 신체 연장선상에서 발전하였다. 눈의 연장선에서 본다면 카메라, 비디오, 캠코더 등은 인간의 눈을 대신하는 도구들이고 결과물은 영상이다. 종이 위에 그려진 그림이나 이미지에 시간이 더해져 움직임이 부여 된다면 '움직이는 그림' 즉 모션 그래픽이 된다. 하지만 이 모션 그래픽은 애니메이션, 영상, 또는 영화라고 불리어 왔다. 이제 모션 그래픽은 영상 또는 영화, 애니메이션과 구별되어야 하는 시점이다. 영화와 애니메이션은 고유 영역을 확보하고 있으며 영상은 이들을 통합한 의미이지만 이 용어들이 '일러스트레이션이 동영상으로 움직인다면?'의 해답을 제공하기에는 부족해 보인다. 다양한 영역과 표현을 가진 일러스트레이션 또는 그래픽에 시간이 더해져 나타나는 결과물을 '모션 그래픽'이라 부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모션 그래픽은 다각적인 관점, 다양한 방법의 접근 그리고 해석 가능한 모든 방법과 표현이 종합적으로 시도되면서 매체간의 융합과 합성(meta-synthesis), 각기 다른 종과 종의 융합과 합성(media hybrid) 그리고 감각적 합성을 통해 변화하고 있다. 모션그래픽은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도가 늘어나면서 하나의 분야로 자리 잡아 그래픽디자인 영역에서 독자적 장르로 성장하고 있으며 시각으로 인지되는 인식정보, 청각으로 인지되는 감성정보 그리고 몸 전체로 접촉되는 촉각정보가 통합(convergence)되는 새로운 국면으로 전개되고 있다. 모션 그래픽은 이러한 시대적 변화와 요구에 대처하는 신 메타포가 움직임의 결과로 출현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식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 PDF

20세기 그래픽 디자인의 미니멀 경향 (Minimal Graphics in Twentieth-Century Design)

  • 강현주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123-132
    • /
    • 2003
  • 본 연구는 1990년대 후반 이후 다시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그래픽 디자인에서의 미니멀한 경향을 디자인사적인 맥락에서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제1장 에서는 "적을수록 많다", "적을수록 지루하다", "나는 적음과 많음을 믿는다" 등의 세 개의 디자인 경구를 통해 20세기 디자인의 전개 과정과 그 주제들을 살펴보았고, 제2장에서는 그래픽 디자인에 나타난 미니멀한 디자인 경향과 그 특성들을 시기별로 고찰해보았다. 최근의 미니멀 그래픽스 경향은 그래픽 디자이너들이 20세기 후반의 사회적ㆍ문화적 기술적 변화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분야의 전문성과 정체성을 새롭게 재정의해 가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기 등장한 것이다. 이제 디자인의 내용과 형식, 스타일, 작업논리와 학문적 체계의 구성 등에 대해 보다 심화되고 확장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라 생각된다.보다 심화되고 확장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라 생각된다.

  • PDF

테마별 이미지 Make-up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Image Make-up according to Theme)

  • 김효숙;강인애
    • 패션비즈니스
    • /
    • 제7권1호
    • /
    • pp.72-83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20th century fashion and make-up culture, analyze trend of the modern fashion and make-up, creat a cyber make-up model according to themes and also it will find out how to use make-up as a part of fashion genre. As a result of this study is 1. Looking over change-process in 20th century fashion and make-up history, we can find the popular make-up color and pattern reflecting the society and cultural environments. And also make-up culture reflecting their sense of values and way of thinkings. 2. Analyzing fashion and make up color trend of 2002 F/W, we can find a similarity between fashion and make-up color trend by comparing with hue&tone chart. All of theme have a tendency to be natural, veiled, feminine by neutral color and artifical highlighted, illuminate, transparant by clear-high saturation color. 3. Creating imagemaps, color palletes and cyber model of 4 trend themes by computer graphic, It can give more visual and interesting effect on the cyber space, and also it can help to expect make-up will be dizitalized, visualized and informationalized.

티셔츠 원 포인트 그래픽에 나타난 Mix & Match 시각 이미지 분석 (The Analysis of Mix & Match Visual Image of One-Point Graphic Appeared in T-shirt)

  • 이미연
    • 복식문화연구
    • /
    • 제13권5호
    • /
    • pp.777-789
    • /
    • 2005
  • Mix & Match Visual Image, appearing in T-shirt one-point graphics, is a new visual image emerged as a result of several trends: development of cutting-edge machinery and computer programs, various needs of consumers, and an international trend of fusion concept. Thus, a concrete research of Mix & Match Visual Images is demanding. This paper studies one-point graphic, which appeared in the SamsungDesignNet, Interfashion Planning, and firstviewkorea, with a focus on apparel T-shirt of women's wear and casual wear from 2001 to 2004. The study shows that the most preferred independent visual image in Mix & Match Visual Images is a typography, and next is in the order of marks, symbols, geometric diagrams and abstract shapes, animals and plants, characters, materials, and collages. As Mix & Match of independent visual images was mainly combined typography with other independent visual images, we need to develop more Mix & Match Visual Images using various independent visual images's mix and match. Then, T-shirt will be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items in Korean fashion trend that enable consumers to express their characters, escaping from the old-fashioned concept that T-shirt is just a T-shirt.

  • PDF

모바일 인터넷 표준 GUI 개발을 위한 사용성 평가 기술 연구 -감성만족도 향상을 위한 디자인 평가 기술 개발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Usability Evaluation Method for the Mobile Internet GUI -Based on design evaluation method development for improvement of Emotional satisfaction-)

  • 김종덕;정봉금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253-264
    • /
    • 2004
  •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의 사용편의성을 높이는 데 있어 그래픽디자인 평가 방법론을 개발하고, 인터페이스 디자인에서의 사용자 니즈(needs)를 예측할 수 있는 측정모델을 개발하며, 평가기반을 시스템화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GUI 디자인 평가 방법론의 핵심 내용을 시스템화하여 프로토타입(Prototype) 설계 및 평가과정을 직접 지원하는 UI 설계지원 시스템으로 구현하였다. Small Screen이라는 제한된 display 환경에서는 사용자가 인지의 과부하 없이 단시간에 임무를 완성하도록 조작정보의 흐름을 즉각적이고 함축적인 방법으로 알려줄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시각언어-이미지를 이용하여야 하며, 또한 UI 설계에 반영함에 있어서는 객관성을 높여야만 한다. 이에 모바일 인터넷의 사용편의성을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디자인 평가 방법론은 매우 중요하며, 특히 사용자의 디자인 니즈 및 트렌드(Trend)를 예측할 수 있는 그래픽디자인 평가모델은 사용자의 감성적인 측면을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반영할 수 있다는 특성으로 해서 그 의의가 매우 크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디자인 평가라는 결과를 토대로 모바일 인터넷 표준 GUI가 설계되었으며, 차후 유비쿼터스(Ubiquitous) 환경의 GUI 개발에도 활용이 될 수 있는 기초가 되었으면 한다.

  • PDF

의상(衣裳) 디자인의 줄무늬(Stripe Pattern) 연구(硏究) - 20세기(世紀) 이후(以後) 서양(西洋) 여성(女性) 패션을 중심(中心)으로 - (Study of Stripe Pattern Appeared in Apparel Design - Focusing on Western Women's Fashion after 20th Centuries -)

  • 김주은;조규화
    • 패션비즈니스
    • /
    • 제6권4호
    • /
    • pp.99-112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various types of stripes pattern and to review its' design expression by analysing stripe pattern and visual effect appeared in western women's fashion after 20th centuries. As regards the visual effect of stripe pattern, on the basis of the stripe pattern's direction laid out, we made an investigation of it by classfying it into verticality, horizontality, slant line and mixture of them according to its' gap and thickness. Here are the 4 features of the stripe pattern appeared in modern fashions. The first, graphic variation based on diverse variation and reconstruction and combination between other motives is being onthe rise as a new expression. The second, colorful stripes of Missoni can be exanpled as the trend of diversification of color. The third, as regards the trend of mismatch in pattern, coordination through mismatch can produce experimental and post-modern image. The fourth, as for the expression of draping effect, we find that stripe pattern can maximaze visual effect through draping by inducing visual stimulus, as well as can express human body in a beautiful manner.

게임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의 미니멀리즘(Minimalism)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inimalism on GUI in Game)

  • 김윤경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1호
    • /
    • pp.249-266
    • /
    • 2013
  • 본 논문은 컴퓨터 게임에서 보여지는 게임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미니멀리즘 사례를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게임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미니멀 경향을 분석하기 위해 분석대상으로 삼은 컴퓨터 게임들은 페르시아의 왕자, 미러스 엣지, 스플린터 셀, 기어즈 오브 워, 콜 오브 듀티4, 메트로 2033, 크라이시스2이며 위의 게임들은 미니멀리즘의 특성을 활용한 독특한 형태로 게임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1960년대 시각예술 분야에서 출현하여 예술전반에 다양한 영향을 끼치며 발전한 미니멀리즘은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며 다양한 스타일로 표현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니멀리즘을 통해 게임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나타나는 최소화 현상을 바탕으로 미니멀리즘의 대표적 표현경향인 '단순성'과 '최소성'을 중심으로 게임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나타나는 미니멀리즘의 영향력을 고찰하고자 한다.

A Research into Deconstructive Features in Visual Communication Design

  • Hong Dong-Sik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3호
    • /
    • pp.207-218
    • /
    • 2006
  • 21st century is called digital and information era. The visual communication become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centuries. Visual communication design has been represented in varied images from ancient society up until the present time. Especially graphic design, which has experienced artistic upheaval from modernism and postmodernism, has been enabled to deliver messages in a more developed and sensuous appearances. Deconstructionist design wasn't well received by modernism, an advocate of practicality and effectiveness; however, as the beginning of subsequent postmodernism, it started to earn a warm welcome from a number of designers. Postmodernism made it possible for deconstruction to be a new paradigm appreciating neutral respect for varied expressions and designers' idiosyncrasy. Corresponding to this new trend, Edward Fella published his artwork 'Letters on America', which introduced a variety of vernacular design works in America. It was the result of years of research, and included materials which were not something completely new to field of communication design but rather symbolic, deconstructive images available everywhere around us. Deconstruction broke away from the previous modernism's unity and standards, and sought to achieve a new tensional deliverance. As a consequence, images were created in destructive and incomplete forms. Graphic design also complied with this new code and its advent fascinated the artists in the fields of advertising, editorial and poster designs. This paper contends that contemporary graphic design still maintains a deconstructive representation, examines its locality in design works from an aesthetic viewpoint, and researches theoretical approaches to deconstructionist and case studies conducted domestically. There has been incessant critical contradiction in terms of the heritage of deconstruction. I would like to present you with a moment in which you can struggle to decide whether it is a result of an effort to get away from modernism or an offspring of postmodernism.

  • PDF

아바타의 그래픽 표현에 나타난 문화적 스토리텔링의 특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Storytelling in the Graphic of Avartars)

  • 장호현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157-170
    • /
    • 2004
  • 아바타는 가상공간 상의 가상신원으로 2D, 3D등의 다양한 그래픽형태로 표현된다. 아바타는 단순히 캐릭터의 조합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시대나 사회의 문화적인 아비투스를 드러내게 되는데 이는 세대나 계층에 따라 차별화 혹은 대중문화의 무의식적인 선택에 의한 취향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현대는 대중문화의 영향을 절대적으로 받고 있으며 이는 현실세계 뿐만 아니라 가상공간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되어 패션의 트렌드, 문화적인 취향, 혹은 개인의 행동양식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아바타 캐릭터의 그래픽활용사례를 분석해 기술적인 아바타 표현방법과 문화적인 측면에서, 적용된 의상, 소품과 배경의 사용과 선택에 따른 대중문화의 전반적인 트렌드와 개인의 생활패턴, 취향을 살펴보고 아바타 소비에 있어 서 키치적인 특성을 알아보도록 한다. 또한 이에 따른 대중의 사이버공간 상의 개인의 정체성이 아바타의 표현과 소비가 단순히 이미지의 무의미한 선택 조합이 아닌 사이버 상에서 자신의 존재를 알리는 가상신원으로서의 발전적인 모습으로서 아바타의 모습을 기대해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