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ph interpretation ability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4초

고등학생들과 예비교사들의 지구과학 그래프 해석 능력 및 인식 (Graph Interpretation Ability and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nd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in Earth Science)

  • 이진봉;이기영;박영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78-391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과 예비 교사의 지구과학 그래프 해석 능력과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구과학 그래프 해석 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9개 그래프 유형의 18문항으로 구성된 1개의 검사지를 개발하였으며, 지구과학 그래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2개의 설문지를 각각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등학생과 예비교사들은 선 그래프에 대한 해석 능력은 높은 반면, 중복 그래프와 방향성 변화 그래프에 대한 해석 능력은 낮은 것으로 나타나 그래프 해석 능력이 그래프의 유형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등학생과 예비교사 모두 학년에 따른 해석 능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에 비해 예비교사가 동일한 주제의 서로 다른 표현 방법의 그래프 차이를 더 잘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수의 고등학생과 예비교사는 지구과학 그래프가 타 과학 교과와 상당한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가장 많은 차이가 있는 그래프 유형은 방향성 변화 그래프, 분산 그래프, 등치선도, 영역 그래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그래프 지도 방략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Development of Numerical and Graph Interpretation Skills - Prerequisites for Statistical Literacy

  • Watson, Jane M.;Kelly, Ben A.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0권4호
    • /
    • pp.259-288
    • /
    • 2006
  • This study considers the performance of students in Grades 5 to 10 on four tasks assessing students' ability to evaluate data presented in numerical form, for example, in a list or table, or in graphical form, for example, in a frequency graph or scatter graph. The ability to tell a story from data or a graph is an important aspect of statistical literacy. The samples provide the opportunity to consider the association of two pairs of items, one from each type of interpretation, numerical and graphical.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outcomes and the classroom use of the items are considered.

  • PDF

과학영재학생의 수온-염분도에 대한 해석과 개념 이해 (Science Gifted Students'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of Concept about T-S Diagram)

  • 유은정;정득실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39-65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온-염분도를 분석하여 음속최소층을 유추하는 과정을 통해 과학영재들의 그래프 해석 능력과 해양의 물리적 개념 이해 정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에 과학영재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 총 106명의 영재학생을 대상으로 해양학 학술지에 게재된 수온-염분도를 이용하여 SOFAR (SOund Fixing And Ranging) channel의 깊이를 추정하는 논서술형 문항을 만들어 양적, 질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수온-염분도를 해석, 모델링, 변환하는 등 과학영재마다 그래프를 분석하는 수준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수온, 염분, 밀도 등에 관한 대안 개념도 노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과학영재들의 그래프 해석 수준을 이해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난 대안 개념을 토대로 해양 분야 교수-학습 방법 개선 프로그램 및 그래프 분석과 관련된 소재 발굴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MBL 활용 수업이 중학교 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과 그래프 작성 및 해석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BL-Used Instruction on Scientific Inquiry Skill and Graph Construction and Interpreting Abilit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 최성봉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487-494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7학년 "해수의 성분과 운동" 단원에서 MBL 실험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과 그래프 작성 및 해석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연구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6차시에 걸쳐 MBL 수업을 실시하고 사후 t-검정을 통해 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과학탐구 능력 결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MBL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향상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사후 t-검정을 통해 학생들의 그래프 작성 및 해석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그래프 작성능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그래프 해석능력에서는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MBL을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그래프 해석능력의 향상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생들의 과학 선 그래프 작성 및 해석 과정 분석 (Analysis of Children's Constructing and Interpreting of a Line Graph in Science)

  • 양수진;장명덕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1권3호
    • /
    • pp.321-333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difficulties in drawing and interpreting a line graph, and to present educational implications. Twenty five students(4th grader: 6, 5th grader: 9, and 6th grader: 10) at an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used a student's task which was about graphing on a given data table and interpreting his/her graph. The data table was on heating 200mL and 500mL of water and measuring their temperature at regular time intervals. We collected multiple source of data, and data analyzed based on the sub-variables of TOGS. The som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ve children (20.0%), especially two of 10 sixth graders (20.0%), could not construct a line graph about a given data table. Second, twenty students (80.0%) had the ability on 'Scaling axes' and on 'Assigning variables to the axes', however, only a student understood why the time is on the longitudinal axis and the temperature is on the vertical axis. Third, in the case of 'Plotting points', twelve children (48.0%) could drew two graphs on a coordinate. Fourth, in the case of 'Selecting the corresponding value for Y (or X)', twenty student had little difficulty. on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seventeen students (68.0%) understood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and temperature of wate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and amount of water. Finally, eleven students (44%) had the ability on 'Interrelating and extrapolation graphs.'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also presented in this paper.

CBR을 활용한 초등 영재 학생의 그래프 활동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the Graph Activity of Gifted Elementary Students Using CBR)

  • 강영란;조정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1호
    • /
    • pp.65-78
    • /
    • 2015
  • 본 연구는 그래프 해석에 대한 유사한 오류를 범하는 초등학교 5학년 수학 영재 학생 4명을 대상으로 CBR을 활용한 그래프 활동이 그래프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CBR을 활용한 그래프 활동 수업 설계를 하였으며 40분 동안 2차시에 걸쳐 영재 교사에 의해 수업이 진행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동영상 촬영, 학생과의 인터뷰 등을 수집하여 녹취록을 작성하였고, 2주 후 동일한 문항으로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연구 참여자의 그래프 해석에 대한 오류가 어떤 변화를 거치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은 그래프의 변화를 이해하고, 변인 간의 관계를 진술하며, 종속 변수 간 관련짓기를 할 수 있었다.

지구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그래프의 유형 및 특징 분석 (Analysis of Graph Types and Characteristics Used in Earth Science Textbooks)

  • 이진봉;이기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85-29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지구과학 그래프 유형을 분석하기 위한 기준을 만들고, 과학 교과서 비교 분석을 통하여 지구과학 그래프의 유형과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지구과학 교과서에서 그래프의 기능과 구조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지구과학 교과서 분석 결과, 선 그래프와 등치선도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 그래프 중에는 단순 선 그래프 이외에도 다중 선 그래프와 YX 그래프의 사용 비율이 특히 높았다. 다른 과학 교과의 그래프와 비교 분석한 결과, 지구과학 교과는 다른 과학 교과에 비해 사용되는 그래프의 수가 많고 그 유형이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다른 과학 교과에 비해 선 그래프의 비율은 낮은 반면 등치선도, 분산 그래프 등의 비율이 높았다. 선 그래프 중에서는 특히 YX 그래프의 비율이 다른 교과에 비해 매우 높아 지구과학 교과의 가장 특정적인 그래프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구과학 교과서에서 그래프의 구조와 기능면에서의 개선을 시사하며, 학생들의 그래프 해석 능력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

COMPUTER를 이용한 온${\cdot}$습도 판독법의 개발 (The Developement of Interpretation Method of Humidity and Temperature by Computerizing)

  • 김규호;허우영
    • 보존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05-111
    • /
    • 1996
  • In order to maintain and evaluate the adequate humidity and temperature of a museum, the data of these should be periodically monitored and accumulated. For this purpose, We have designed the interpretation method of charts of the widely used thermo hydrorecorder at the museum, and developed the computer-based program (name of the program : HATH interpretation program). This method is as follows;The recording of thermo hydrorecorder(model ; Sato R-704) Input a through scanner (UMAX type), and was transformed into numerical value and was processed the statistics by HATH interpretation program. Output can be present the numerical value and the graph which are classified by a day, a month, and a year. By this method, the humidity and temperature data which were taken from 12points in the exhibition case, storage and outdoor of the Ho-Am art Museum in 1995 were processed. At the results, its ability for fast processing, management and analysis of the data was proved to be excellent.

  • PDF

초등학교에서 속력 관련 단원의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 구성에 관한 논의 (Composition of Curriculums and Textbooks for Speed-Related Units in Elementary School)

  • 전영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4호
    • /
    • pp.658-672
    • /
    • 2022
  • 초등학교 과학에서 속력 관련 단원의 독특한 교수·학습 곤란은 주로 학생의 수학적 사고력 및 속력의 측정과 관련된 절차적 지식의 부족에 기인한 것으로, 교육과정 및 교과서는 이점을 고려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 속력 단원의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 구성과 관련된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2007 개정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3개 교육과정 및 이에 따른 교과서의 속력 관련 단원의 구성 체계와 내용을 살펴보고, 선행 연구에 비추어 적절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현재의 내용 구성은 이동 거리와 시간 및 속력 사이의 입체적인 관계를 파악하기 보다는 암기에 의한 기계적 알고리즘을 통해 물체의 속력만을 계산할 위험이 있어 이중 수직선과 같은 시각화 모형 및 간단한 수를 활용하여 속력의 의미를 단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이용하여 물체의 운동을 해석하는 활동보다는 실제 운동하는 물체의 이동 거리와 걸린 시간을 직접 측정하여 그래프로 나타내고 분석하도록 함으로써 과정 기능 등 탐구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적용 차시에서 현재의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는 일상생활과의 연계를 강조하고 있지만 단원의 주된 학습 내용인 운동학과는 다소 다르게 동역학과 관련된 내용을 다루고 있어 학습한 내용을 익히고 활용할 수 있도록 속력과 관련된 사례를 중심으로 내용을 새롭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밝혔다. 새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는 학습하기 어렵고 지도하기 까다로운 내용을 제외하기 보다는 과학의 가치를 깨닫고 과학 학습을 향유할 수 있도록 핵심 주제를 체계적으로 깊이 학습할 기회를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