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교육과학기술부(2011).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별책 9]
|
2 |
교육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 9]
|
3 |
교육인적자원부(2007).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별책 9]
|
4 |
고은성, 이경화(2007).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비례 추론능력 분석: 2명의 사례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7(4), 359-380.
|
5 |
국가표준기본법 시행령(2018). [별표 2] <개정 2021. 1. 5.> 국가표준기본법 [시행 2018. 12. 13.] [법률 제15643호, 2018. 6. 12., 일부개정]
|
6 |
김경선, 박영희(2007). 초등학생의 비례적 추론 지도에 관한 연구. 학교수학 9(4). 447-466.
|
7 |
김정원, 방정숙(2013).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곱셈적 사고에 따른 비례 추론 능력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3(1), 1-16.
|
8 |
남지현, 장혜원(2017). 시각과 시간에 대한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분석. 학교수학, 19(3), 513-531.
|
9 |
박상우, 장지은, 임성만, 김은애, 이소리, 송윤미, 김양희, 박세희, 김성운, 남지연, 김민경(2014). 초등과학교과서 비교 분석.연구. 2013년도 수학.과학교육 내실화 사업 연구보고서. 한국과학창의재단
|
10 |
박선영, 이광호(2018). 초등 수학 교과서 비와 비율 단원의 모델 비교 분석: 비례에 대한 곱셈적 사고 및 비례 상황의 구조를 중심으로. 초등수학교육, 21(2), 237-260.
|
11 |
박성선, 조영미(2002). 초등학교 수학수업에 나타난 수학교실문화 분석. 교육과학연구, 33(1), 65-83.
|
12 |
성창근(2015). 수학에서 과학으로의 전이학습프로그램의 효과. 초등수학교육, 18(1), 31-44.
|
13 |
송미영, 임해미, 최혁준, 박해영, 손수경(2013).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2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3-6-1
|
14 |
안병곤(2017). 초등학교 수학과 성취기준에 따른 계산기의 활용 방안. 학교수학, 19(4), 713-729.
|
15 |
엄선영, 권혁진(2011). 학업성취도에 따른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비례 추론 능력 및 전략 분석. 수학교육논문집, 25(3), 537-556.
|
16 |
이범홍 외 12명(2005). 과학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연구보고 RRC 2005-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17 |
이수아, 전영석, 홍준의, 신영준, 최정훈, 이인호(2007). 초등 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초등과학교육, 26(1), 97-107
|
18 |
이종욱(2006). 4학년 아동의 비와 비례 개념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6(2), 157-177.
|
19 |
임재훈, 이형숙(2015). 비례 추론을 돕는 시각적 모델에 대하여: 초등 수학 교과서의 비례식과 비례배분 실생활 문제를 대상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5(2), 189-206.
|
20 |
장영록 외 55명(2015).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시안개발연구(I, II). 연구보고서 BD 15070002. 한국과학창의재단
|
21 |
정연준, 최은아(2017).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의 속력에 대한 고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1(4), 599-620.
|
22 |
정영옥(2015). 초등학교에서 비례 추론 지도에 관한 논의. 수학교육학연구, 25(1). 21-58.
|
23 |
정하나, 전영석(2015). 수학과 과학을 통합 지도한 초등학교 '물체의 속력' 수업에서 학생의 학습 성취 분석. 초등과학교육, 34(4), 372-381.
|
24 |
정영옥, 정유경(2016).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의 비례추론 능력 분석. 학교수학, 18(4), 819-838.
|
25 |
정은실(2003). 비 개념에 대한 교육적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3(3), 247-265.
|
26 |
정하나, 전영석(2014). 초등학교 '물체의 속력' 단원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이 느끼는 교수.학습곤란도 분석. 초등과학교육, 33(1), 172-180.
|
27 |
조영미, 임선혜(2010). 시간 지도에 관한 초등수학교과서 비교 연구: 한국, 싱가포르, 일본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2), 421-220.
|
28 |
최은아, 정연준(2018). 한국, 일본, 싱가포르, 미국의 초등 교과서에 제시된 속력 개념의 비교.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2(4), 453-473.
|
29 |
Arons, A. B. (1997). Teaching Introductory Physics. New York: John Willey & Sons, Inc.
|
30 |
Butterfield, H. (1965). The Origins of Modern Science: 1300-1800. New York :Free Press,
|
31 |
Duschl, R. A., Schweingruber, H. A., Shouse, A. W., &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7). Taking Science to School: Learning and Teaching Science in Grades K-8.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
32 |
Eichinger, J. (2009). Activities Linking Science with Mathematics, Grades K-4.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Pearson Education, Inc.
|
33 |
Feynman, R. P. (1969). What is science. The Physics Teacher, 7, 313.
|
34 |
Gould, D. L., Robles, R., & Rillero, P. (2021).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using graphing as a tool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ing science. Innovations in Science Teacher Education, 6(1). https://innovations.theaste.org/preservice-elementary-teachers-using-graphing-as-a-tool-for-learning-teaching-and-assessing-science/ (2021. 10. 10. 접속)
DOI
|
35 |
Matsuda, F. (2001). Development of concepts of interrelationships among duration, distance, and speed.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5(5), 466-480.
DOI
|
36 |
Kali, Y., & Linn, M. C. (2008). Designing effective visualizations for elementary school science.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109(2), 181-198.
DOI
|
37 |
Kamii, C., & Russell, K. A. (2012). Elapsed time: Why is it so difficult to teach?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3(3), 296-315.
DOI
|
38 |
Long, K., & Kamii, C. (2001). The measurement of time: Children's construction of transitivity, unit iteration, and conservation of speed.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1, 125-132.
DOI
|
39 |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Committee on a Conceptual Framework for New K-12 Science Education Standards. Board on Science Education, Division of Behavioral and Social Sciences and Education.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
40 |
NGSS Lead States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
41 |
Sattler, B. (2020). The Concept of Motion in Ancient Greek Thought: Foundations in Logic, Method, and Mathematic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