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BL 활용 수업이 중학교 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과 그래프 작성 및 해석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BL-Used Instruction on Scientific Inquiry Skill and Graph Construction and Interpreting Abilit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 최성봉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Choi, Sung-Bong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Busan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8.10.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7학년 "해수의 성분과 운동" 단원에서 MBL 실험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과 그래프 작성 및 해석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연구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6차시에 걸쳐 MBL 수업을 실시하고 사후 t-검정을 통해 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과학탐구 능력 결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MBL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향상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사후 t-검정을 통해 학생들의 그래프 작성 및 해석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그래프 작성능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그래프 해석능력에서는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MBL을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그래프 해석능력의 향상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BL experiment instruction on the 7th graders' scientific inquiry skills and graph construction and interpretation ability in the unit "Elements and movement of sea wate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n students' scientific inquiry skill after having six MBL instructional classes. The resul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ientific inquiry skill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hich implies that the instruction using MBL was an effective way to improve students' scientific inquiry skills. Second,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influence on students' abilities to construct and interpret graphs. The resul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ability to construct graphs. But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bility to interpretgraphs, which means that instruction using MBL was an effective way to improve students' ability to interpret graphs.

키워드

참고문헌

  1. 구혜원, 1993, 과학과 수업에 적용한 MBL실험 방식의 효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78 p
  2. 김태선, 배덕진, 김범기, 2002, 중학생의 그래프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및 과학 탐구 능력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 725-739
  3. 박금홍, 구양삼, 고석범, 2005, 컴퓨터 기반 실험교육(MBL)이 과학과 관련된 탐구능력과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과학교육논총, 30, 93-103
  4. 박상용, 박재근, 여상인, 2006, 과학 실험 수업에서 MBL의 적용이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도 및 과학 관련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학회지, 25, 454-464
  5. 송인범, 2004, 물질의 상태 변화 수업에 적용한 MBL 실험 의 효과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8 p
  6. 유병길, 2006, 초등학생의 컴퓨터 기반 실험 수업 효과. 초등과학교육, 25, 1-7
  7. 이향미, 2002, 고등학생의 역학적 에너지 보존 학습에서 컴 퓨터를 기반으로하는 상호작용적 시범실험 수업의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8 p
  8. 전재록, 2004, 운동 제 2법칙에서 MBL의 현장 적용에 관 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2 p
  9. Adams, D.D. and Shrum, J.W., 1990, The effects of microcomputer- based laboratory exercises on the acquisition of line graph construction and interpretation skills by high school biology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 777-787 https://doi.org/10.1002/tea.3660270807
  10. Brassel, H.M., 1990, Graphs, graphing, and graphers. In Rowe, M.B., (ed), What Research Says to the Science Teacher.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Washington, D.C., USA, 69-85
  11. Burn, J.C., Okay, J.R., and Wise, K.C., 1983, Integrated Process Skill Test II: TIPS II [J].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2, 169-177 https://doi.org/10.1002/tea.3660220208
  12. Friedler, Y., Nachmias, R., and Linn, M.C., 1990, Learning scientific reasoning skills in microcomputer-based laboratori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 173-191 https://doi.org/10.1002/tea.3660270208
  13. Gangoli, S.G., 1995, A study of the effect of a guided open-ended approach to physics experi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7, 233-241 https://doi.org/10.1080/0950069950170207
  14. McKenzie, D. and Padilla, M., 1986,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the test of Graphing in Science (TOG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3, 369-383
  15. Mokros, J.R. and Tinker, R.F., 1987, The impact of microcomputer- based labs on children's ability to interpret graph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4, 269-383
  16. Nakhkeh, M.B., 1994, A review of microcomputer-based labs: How have they affected science learning? Journal of Computer in Mathematics and Science Teaching, 13, 361-381
  17. Thotnton, R.K., 1987, Tools for scientific thinking microcomputer- based laboratories for physics teaching. Physics Education, 22, 230-238 https://doi.org/10.1088/0031-9120/22/4/005
  18. Thornton, R. and Sokoloff, D., 1990, Learning motion concepts using real-time microcomputer-based laboratory tools. American Journal of Physics, 58, 858-866 https://doi.org/10.1119/1.16350

피인용 문헌

  1. Graph Interpretation Ability and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nd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in Earth Science vol.31, pp.4, 2010, https://doi.org/10.5467/JKESS.2010.31.4.378